[김훤주의 ‘지역에서 본 세상’] 생태관광 1번지 창원 주남저수지의 모든 것(연재) (⏳4분)
일러두기
경남 창원에는 주남저수지가 있습니다. 1980년대부터 일찍이 철새 도래지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사람들이 일부러 만든 저수지이지만 자연경관이 인공저수지답지 않게 빼어납니다. 왜 그럴까요? 주변에는 드넓은 평야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120년 전만 해도 흔적조차 없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창원 주남저수지와 일대 평야가 어떻게 해서 들어서고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모르고 보면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기 쉽습니다. 반면 조금이라도 알고 보면 아 그렇구나 하면서 한 번 더 돌아보고 살펴보는 보람과 즐거움이 더해집니다.
2021년 12월 발행한 창원시의 비매품 책자 ‘주남저수지 이야기-주남저수지의 역사와 생태’에 담았던 내용입니다. 그런데 비매품은 제대로 유통이 되지 않아 사람들에게 충분히 알려지지 않고 누구나 손쉽게 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시점에 맞추어 일부 내용을 보완해서 열두 차례에 걸쳐 연재해 보려고 합니다.
촌정제방
촌정제방은 촌정농장을 홍수에서 보호하기 위해 쌓은 제방인데 지금은 도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천강과 맞닿은 창원시 대산면 우암리 제1호제방에서 제동리와 대산면 소재지인 가술리를 거쳐 동읍 산남리의 죽동마을 제9호제방까지 반원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주천갑문과 닿는 부분이 끊어져 있지만 원래는 이어져 있었습니다.
촌정제방을 만든 목적은 홍수 때 낙동강이 역류하면서 생기는 범람을 막는 데 있었습니다. 1907년 낙동강의 연안에 점점이 있는 구릉을 이어붙였는데 전체 길이는 2리=7.85km입니다. 1908년부터 해마다 거듭된 홍수로 물에 잠기는 바람에 보강·증축 공사를 했습니다만 1911년 기록적인 대홍수에 제방이 터지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1911년 가을 제방을 쌓는 공사가 다시 시작돼 이듬해 봄에 마무리됐습니다. 강물에서 33척(약 10미터) 높이로 홍수 때 최고 수위보다 5~6척(1.5~1.8m) 높은 것을 표준으로 했다고 합니다. 지금은 촌정제방이라 하지만 처음 쌓은 제방에 대한 1915년의 기록을 보면 바깥에 있다는 뜻으로 그냥 외제방이라 일렀습니다.

주남 제방
1907년 대산평야의 서쪽과 남쪽의 산줄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농지로 들어오지 않도록 처음 쌓은 제방 가운데 하나가 주남 제방입니다. 주남 제방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는 원구·춘산·송용산·민포·밀포·서어지·동어지제방이 더 있습니다. 당시 기록을 보면 전체 길이가 5리=20km 안팎이었는데 외제방인 촌정제방보다 안쪽에 있다고 해서 내제방이라 했습니다.
지금 보면 송용산제방은 주남제방과 더불어 주남저수지를 이루었고 민포제방은 동판저수지를 감싸고 있습니다. 나머지 밀포·서어지·동어지제방은 김해시 진영읍 옛 진영역 북쪽 가까이에 있었는데 당시는 여기에도 제법 커다란 소택지가 있었습니다.
서쪽과 남쪽 산자락에서 쏟아지는 빗물이 농지로 들지 않도록 이처럼 제방을 둘렀지만 1908년부터 1911년까지 해마다 홍수에 잠겼으며 1910년에는 제방이 터지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해마다 수리·보강공사를 해야 했는데 제방의 높이가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은 1927년 현재 주남 18척과 춘산·원구 14척 등 세 군데입니다.
주남 제방은 주천강의 수위가 높아지면 물이 새는데다 무너질 우려도 있다는 이유로 동면수리조합이 1927년에 전체 길이 1452칸에 대해 높이를 4척 더하여 22척으로 증축 보수했습니다. 마지막 대규모 공사는 해방 이후인 1969년 9월 대홍수로 엄청난 수해가 들어서 산남·주남·동판저수지의 모든 제방에 대해 1970년 10월~1976년 11월 창원농지개량조합(지금 한국농어촌공사 창원지사)이 벌인 것이었습니다.
주남 수문
1976년 완공된 현재의 주남저수지 수문에서 도로를 건너면 주천강 방향 20m 지점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습니다. 창원농지개량조합 기록대로라면 대산수리조합에서 1924년에 준공했습니다. 그런데 실제 준공 시기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준공한 주체는 대산이 아닌 동면수리조합이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자세히 보면 아래쪽 절반과 위쪽 절반의 모양이 서로 다릅니다. 같은 시기에 만든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아래쪽은 주남저수지를 처음 축조할 때 만들었다면 위쪽은 그 이후 어느 시기에 새로 설치했습니다. 다만 공법 등을 보면 거의 비슷해서 만든 시기가 크게 다르지는 않은 것 같다고 합니다.

주남교 수문
창원시 동읍 판신마을과 대산면 고등포마을을 이어주는 다리가 주남교입니다. 높이는 4m, 너비는 5m, 길이가 20m가량인데 1916년에 측량한 지도에는 신교(新橋)로 나옵니다. 명칭으로 보아 촌정농장에서 새로 만든 다리로 짐작됩니다. 상판 표면은 콘크리트로 덮여 있고 양쪽에 난간이 있는 것은 여느 다리와 같지만 다릿발은 다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다리의 다릿발은 콘크리트로 되어 있고 가늘며 하천 바닥은 대부분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주남교는 다릿발이 모두 석재로 되어 있고 두께도 두툼한 편인데다 하천 바닥까지 석재를 다듬어 깔았는데 가로로 길게 홈이 파여 있습니다. 또 다릿발 사이 물이 드나드는 네 군데는 모두 무지개 모양으로 위쪽을 마감했는데 가장자리 둘은 바닥과 천장이 높고 가운데 둘은 낮게 되어 있어 색다릅니다.

주남저수지를 향한 상류쪽은 표면이 평평하지만 낙동강을 향하는 하류쪽은 다릿발에 해당되는 부분이 20cm 정도 튀어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거기에는 제법 두꺼운 철판을 끼울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습니다. 홍수가 졌을 때 낙동강이 역류해 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수문이 있었던 것입니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