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훤주의 ‘지역에서 본 세상’] 생태관광 1번지 창원 주남저수지의 모든 것(연재) (⏳3분)
일러두기
경남 창원에는 주남저수지가 있습니다. 1980년대부터 일찍이 철새 도래지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사람들이 일부러 만든 저수지이지만 자연경관이 인공저수지답지 않게 빼어납니다. 왜 그럴까요? 주변에는 드넓은 평야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120년 전만 해도 흔적조차 없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창원 주남저수지와 일대 평야가 어떻게 해서 들어서고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모르고 보면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기 쉽습니다. 반면 조금이라도 알고 보면 아 그렇구나 하면서 한 번 더 돌아보고 살펴보는 보람과 즐거움이 더해집니다.
2021년 12월 발행한 창원시의 비매품 책자 ‘주남저수지 이야기-주남저수지의 역사와 생태’에 담았던 내용입니다. 그런데 비매품은 제대로 유통이 되지 않아 사람들에게 충분히 알려지지 않고 누구나 손쉽게 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시점에 맞추어 일부 내용을 보완해서 열두 차례에 걸쳐 연재해 보려고 합니다.
어디를 좀더 둘러보면 좋을까
주남저수지를 찾아오는 사람들은 주로 자연을 즐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것도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지만 한 걸음 더 들어가면 이처럼 입체적으로 누릴 수 있는 유물이 풍성하게 많이 남아 있는 곳이 주남저수지이기도 합니다.
주남저수지 일대는 근대 농업 유산의 현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역사를 안고 있습니다. 흔히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합니다. 주남저수지에 담겨 있는 역사를 알게 된다면 다만 눈으로 즐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한 번 더 돌아보고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게 됩니다.
근대 농업 유산은 그 자체로 지역 농업의 형성과 변화·발전을 알려주는 산업 유산으로 작지 않은 의미를 갖습니다. 아울러 근대 식민지 시기의 역사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여기에 더해 주변에 있는 돌아볼 만한 곳을 곁들인다면 어느 곳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만큼 알찬 여행지가 될 수 있습니다.
다호리 고분군
- 동읍 다호리 237-3
2000년 전 초기 철기시대를 대표하는 가야 유적입니다. 개성이 뚜렷한 토종 옻칠, 문자 생활의 시작을 알려주는 붓과 긁개, 활발한 대외 교류를 보여주는 중국·일본계 유물, 옛날 화폐 구실을 했던 덩이쇠의 최초 무더기 출현, 쇠를 불렸던 쇠망치와 철광석, 2000년 된 통나무널 등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고분군은 발굴을 한 다음 다시 원래대로 묻어서 흔적이 없고 동읍사무소 방향에서 주남저수지로 들어가는 삼거리 도롯가에 그나마 몇몇을 알리는 안내판이 있습니다. 물론 고분군 일대 수풀 우묵한 사이로는 산책을 즐겨도 좋습니다.

주남돌다리(새다리)
- 동읍 월잠리 73-9
자연석으로 다릿발을 세우고 위에 평평한 면석을 얹었습니다. 주남저수지에서 낙동강으로 빠져나가는 주천강 위에 있는데 색다른 모습으로 주변 논밭과 잘 어울립니다. 언제 누가 왜 만들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이들과 더불어 왔다갔다 노닐면서 사진 찍기 좋은 장소입니다.

신방리 음나무군
- 동읍 신방리 652
신방초등학교 바로 옆 도롯가 언덕에 있습니다. 음나무는 삿된 기운을 쫓아내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다호리고분군의 주인공들이 활동하던 시절에는 인근 칠성그린아파트 일대까지 바닷물이 들어왔고 여기 항구를 통하여 바다로 나갈 수도 있었다고 합니다. 여기로 드나드는 문물과 사람이 오가는 현장에서 행여나 묻어 들어올 나쁜 기운을 내쫓는 역할을 이 음나무들이 했다는 얘기입니다. 자손목들이 띄엄띄엄 자라는 아래로 들어가 살펴보면 굵다란 둥치들의 굴곡진 모습이 아름답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합니다.


모암 당산숲
- 동읍 신방리 451
칠성그린아파트 옆 도롯가에 있습니다. 밖에서 바라보면 작은 것 같지만 안으로 들어가 보면 바위도 나무도 아주 제대로 대형입니다. 커다란 바위가 군데군데 갈라진 틈새로 푸조나무가 여러 그루 아름드리 자라나 있고 회화나무와 쉬나무도 함께 서 있습니다. 아직 깔끔하게 다듬어져 있지는 않지만 한 번쯤 들러 여기저기 살펴보면서 놀고 쉬어갈 만은 합니다.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 동읍 산남리 182-3
사철 모두 풍경이 그럴듯하고 둘러싼 논들도 색다른 경관을 철마다 연출해줍니다. 겨울에는 텅 빈 들판으로, 봄에는 하늘거리는 어린 모로, 여름에는 싱싱하고 풋풋한 벼포기로, 가을에는 누렇게 익어가며 고개를 숙이는 이삭으로 말입니다. 그러고 보니 메타세쿼이아 나무 자체도 철마다 모습을 달리합니다.
길이가 1km 남짓 되는데 원래는 일제강점기 촌정제방의 제9호 제방이었습니다. 1907년 처음 만들어지고 1911년 대대적으로 보강·증축 공사를 했습니다. 지금은 도로 구실을 하고 있어서 자동차들이 드문드문 다니고 있지만 원래는 낙동강에서 범람해 오는 홍수를 막는 역할이었다고 합니다.
주남저수지 근처에는 이곳 말고도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이 두 군데 더 있습니다. 동읍 죽동리 136 가까이에 있는 것은 250m 정도 되고 노연리 618-4 주변에 있는 메타세쿼이아길은 370m가량 됩니다. 길이는 촌정제방보다 짧지만 오가는 차량은 그보다 더 적고 한적해서 아이들이랑 사진 찍으며 놀기에는 더 나을 수 있습니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