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box type=”note”]

#. AP, 역사의 목격자들

  1. 천국 문 앞에서도 AP 기자를 만날까 봐 무섭군
  2. AP 특파원의 일곱 가지 조건
  3. AP, 미국이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결정한다
  4. AP 특파원의 ‘소름 끼치는 임무’
  5. ‘아랍의 봄’ 그 자리 남은 절망: 27살 아델 케드리가 분신한 이유
  6. 취재원의 여섯 가지 유형
  7. 언론의 권위는 현장에서 생긴다
  8. 현대전 역사상 가장 긴 포위전: 사라예보 포위전 (’92-’96)
  9. 멕시코 마약 전쟁: 마크 스티븐슨의 기록
  10. 팔레스타인 vs. 이스라엘 분쟁과 미디어 전쟁

[/box]

 

9·11 이후 미국이 해상과 공중의 경계를 강화하면서, 콜롬비아 등 남아메리카에서 생산되는 마약을 미국으로 밀수하는 해상·공중 통로가 모두 막히고 말았다. 이로써 남미에서 생산되는 마약은 모두 멕시코를 통해서만 들어가게 되었는데, 이로써 미국과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마약 밀수를 전문적으로 하는 갱단이 곳곳에서 생겨나기 시작한다.

마약 밀수를 통해 벌어들인 엄청난 돈으로 이들 갱은 조직을 키우고, 값비싼 무기로 무장하며, 세력을 불려나가면서 카르텔로 발전한다. 경찰은 물론 정·관계 주요 인사들도 매수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해나갔고, 결국 멕시코시티와 외국인(미국인)이 많이 오는 몇몇 주요 도시를 제외한 멕시코 전 지역을 장악해버렸다.

7fac8ff9a
카르텔이 형성되기 시작한 초기에 멕시코 정부는 군대를 투입하여 토벌 작전을 펼치기도 했으나 번번히 카르텔의 막강한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다. 결국, 멕시코 정부는 이들 마약 카르텔들을 지방 군벌로 인정하고 공존하는 길을 선택했다.

카르텔들은 자신을 비판하는 일반인은 물론 기자, 정부관료, 검사, 판사, 시장도 서슴없이 살육하기 때문에, 멕시코 내에서는 이들을 비판하는 발언을 하는 것조차 어렵다. 그랬다간 쥐도새도 모르게 납치되어 처참한 시신이 되어 돌아온다. 높은 실업률과 더불어 웬만한 직장보다도 높은 보수를 카르텔에서 지불하기 때문에 지금도 많은 청소년들은 카르텔 단원이 되고 싶어한다.

2008년 타키체오 시장이 된 마리아 산토스 고로스티에타(María Santos Gorrostieta Salazar; 1976-2012). 시장이 된 뒤 카르텔의 이권 제안을 거부했다가 2009년 카르텔의 공격을 받아 남편을 잃고, 카르텔의 공작으로 시장 재선에 실패한 뒤 연방정부의 보디가드 지원이 끊기자 2011년 그녀도 처참하게 살해당했다. 지금도 카르텔에 협조하지 않는 멕시코정치인들은 가차없이 피살되고 있다.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2008년 타키체오 시장이 된 마리아 산토스 고로스티에타(María Santos Gorrostieta Salazar; 1976-2012). 시장이 된 뒤 카르텔의 이권 제안을 거부했다가 2009년 카르텔의 공격을 받아 남편을 잃고, 카르텔의 공작으로 시장 재선에 실패한 뒤 연방정부의 보디가드 지원이 끊기자 2011년 그녀도 처참하게 살해당했다. 지금도 카르텔에 협조하지 않는 멕시코정치인들은 가차없이 피살되고 있다.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출입 금지 지역

마약 카르텔이 멕시코 전역을 장악하면서 멕시코 곳곳에 ‘가면 안 되는 지역’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군대나 경찰이 설치한 바리케이트를 넘어 한발짝이라도 들이는 순간, 아무런 통제도 받지 않는 무법 지대가 펼쳐진다. 한번은 카르텔 간에 대규모 전투가 벌어져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AP 특파원 마크 스티븐슨(Mark Stevenson)은 사상자들을 집단 매장한 곳을 찾아 샌페르난도로 가는 ‘섬뜩한 취재여행’에 나섰다.

“연방경찰의 호위를 받아 고속도로를 달렸는데, 어느 지점에 다다르자 경찰들은 곁길을 가리키며 ‘이 비포장도로를 따라가면 집단매장지가 나올 것’이라고 말하면서 멈추더군요. “당신들은 안 갈겁니까?” “네, 우리는 가지 않습니다. 당신들이 가고 싶어한다고 해서 와준 것뿐입니다.” 결국, 우리는 모두 자동차 한 대에 몰아타고 비포장도로를 달리기 시작했죠.” (마크 스티븐슨)

2014년 여름, 멕시코 정부가 마약 카르텔과 벌인 ‘총격전’에서 카르텔단원 22명을 사살하고, 정부군은 한 명만 경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카르텔의 엄청난 무장 상태를 고려할 때 발표 내용은 매우 의심스러운 것이었다. 스티븐슨은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사진 기자와 함께 총격전이 벌어진 산페드로리몬(San Pedro Limon)으로 들어가기로 했다. 이곳은 마약 카르텔이 장악한 매우 위험한 지역이었다.

스티븐슨은 산페드로리몬을 향해 가면서 나오는 마을마다 들러 정탐했다. 다양한 정보를 얻기 위한 것이기도 했지만, 과연 그곳에 들어가는 것이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 마을에서 만난 사람은 가는 길에 무장한 카르텔 단원이 위협을 하거든 자기 친척 이름을 대라고 알려주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스티븐슨과 사진기자는 사건현장까지 들어가는 데 성공했고, 거기서 정부 발표를 뒤집는 증거들을 상당수 발견했다. 특히 한 창고에서 발견한 탄흔과 혈흔은 ‘벽을 보고 서있는 사람을 가슴 높이에서 총으로 쏴 죽였다’는 것을 입증했는데, 이는 곧 카르텔군이 정부군을 처형한 것으로 여겨지는 증거였다.

마크 스티븐슨

시우다드후아레스 연쇄살인사건 (1993-2005) 

미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멕시코의 도시 시우다드후아레스에서는 1993년부터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300명이 넘는 여성들이 어느 순간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가 사막에서 시체로 발견되는 미스터리한 사건이 계속 발생했다. 2000년대 초반 스티븐슨은 이 죽음의 도시를 취재하러 들어갔다.

“경찰서로 들어갔는데, 미리 약속을 했던 것은 아니고 그냥 들어갔어요. 이런저런 사무실들을 하나하나 지나치다가, 문 앞에 ‘검사부'(servicio medico forense)라고 쓰여있는 사무실이 눈에 들어오더군요. 살짝 오싹해졌어요. 문을 빼꼼 열고 눈에 보이는 사람에게 무작정 말을 했죠. “안녕하세요, 저는 기자입니다. 여성들의 죽음에 대해 물어보고 싶은 게 있는데요.” 들어오라고 하더군요. 책상 서랍을 열더니 해골 하나를 꺼내서 책상 위에 올려놓더니 이렇게 말하더군요.

“여자들이 죽어가는 문제가 왜 해결되지 않는지 알고 싶어요? 이게 어제 되돌아왔어요. 부검을 의뢰했는데 검사를 해주지 않아요. 범죄 현장을 보전하지도 않아요. 그냥 이런 걸 집어다가 뒤죽박죽 쌓아 놓기만 해요. 해골 옆에 서서 담배를 피우고 담배꽁초를 아무데나 던져 놓죠. 현장에 경찰이 50명이나 있었는데, 그냥 쓰레기처럼 가방에 쓸어 담고는, 다른 현장에서 수집한 뼈들을 모아놓은 곳에 쏟아붓죠. 이러니 사건이 해결될 리 있겠습니까?” “지금 하신 말씀을 실명으로 기사에 써도 될까요?” “그러세요. 저는 내일 그만둘 거니까.”

그녀는 사막 여기저기에서 토막으로 발견되는 소녀들의 시신을 다시 짜맞추는 일을 하고 있었다. 그 여자는 스티븐슨에게 작업일지와 함께 썩어가는 시신들을 보여줬다.

“이제 막 신원을 확인한 송장을 보여주면서 가족에게서 확보한 그녀의 마지막 사진을 보여줬어요. 성인이 된 것을 축하하는 파티에서 예쁘게 차려입고 찍은 사진이었어요. 지금 내 눈 앞에서 썩어 가는 송장, 어여쁜 열여섯 살 소녀, 그녀와 인터뷰를 마칠 때쯤 정말 눈물이 마구 쏟아지더군요.”

취재를 하고 얼마 뒤 그녀도 카르텔에게 처참하게 살해당했다.

시우다드후아레스 연쇄살인사건은 1993년부터 2005년까지 멕시코 시우다드후아레스에서 일어난,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수 없는 연쇄살인사건이다. 사진은 1996년 신원불명의 시신 8구가 발견된 장소에 세워진 십자가들. (출처: 퍼블릭 도메인)
시우다드후아레스 연쇄살인사건은 1993년부터 2005년까지 멕시코 시우다드후아레스에서 일어난,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수 없는 연쇄살인사건이다. 사진은 1996년 신원불명의 시신 8구가 발견된 장소에 세워진 십자가들. (출처: 퍼블릭 도메인)

타마울리파스 학살사건 (2010) 

2010년 타마울리파스에서는 국경을 넘어 미국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난민들을 태우고 지나가는 버스를 향해 아무 이유없이 무차별 사격을 하여 무고한 승객 72명을 학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곳을 관할하는 제타스 카르텔은 무자비하게 살육을 하는 것으로 유명한 마약 카르텔이다. 이 사건을 취재하러 들어간 스티븐슨은 하던 중 운좋게 정부군을 만났다.

“그들(멕시코 정부군)은 무언가 작전을 펼치고 있었어요. 우리는 반가운 마음에 ‘하이!’ 하고 소리치며 다가갔죠. 누가봐도 우리는 외국인이고, 기자이기 때문에 당연히 우릴 보호해줄 거라고 생각했죠. 그런데 웬 걸, 우리를 향해 반사적으로 외치더군요. “물러나! 뒤로 돌아!” 총구를 겨누며 우릴 위협하는 거예요. 그때 깨달았죠. 이런 군대에게는 어떤 도움도 받을 수 없겠구나. 경찰도 마찬가지였어요. 너무 부패가 만연해서 누가 카르텔 편인지 전혀 알 수 없었죠. 경찰 제안은 늘 의심할 수밖에 없었어요. 정부에서 파견하는 연방 경찰은 나보다도 그 지역에 대해 아는 게 없더라고요. 멕시코시티에서 온 인간들이 뭘 알겠어요?” (마크 스티븐슨)

스티븐슨은 기사 속에서 이 암울한 멕시코 도시의 풍경을 디테일한 표현으로 생생하게 묘사한다.

[box]

이 마을의 외곽에 위치한 출장소는 총탄으로 벌집이 되어있었고, 그 앞 도로에는 탄피가 널려있었다. 더욱 흉포해지는 라이벌 마약 카르텔들 간의 전쟁, 그들 사이에서 맥을 못추는 정부를 이보다 드라마틱하게 보여주는 장면은 없을 것이다. 주정부와 연방정부는 이제 안전하니 돌아가라고 사람들에게 말한다. 한 관료는 여행자들을 다시 불러들이기까지 했다.

하지만 AP가 목격한 현장은 전혀 달랐다. 해가 떠있는 대낮에도 마을을 순찰하는 멕시코 정부군조차 순찰을 하면서 긴장의 끈을 놓지 못했다. 이 지역 전초기지 앞마당에 서있는 군용 픽업트럭에는 벌집처럼 총알자국이 나 있었다. 현지인들의 증언에 따르면, 지난 주말 매복 공격을 당해 이 트럭에 타고 있던 군인 네 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하지만 정부군은 이런 사건이 있었다는 사실을 부인한다. 이런 일에 놀라기에는 아직 이르다. 며칠 전 제타스 카르텔과 군인들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져, 카르텔단원 11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하는 지역으로는 어느 누구도 들어갈 엄두를 내지 못했다. 한 시간 넘도록 지켜보았으나 그쪽으로 가는 차는 단 한 대도 볼 수 없었다. (마크 스티븐슨; Mark Stevenson, “Refugees: No return to town hit by Mexico drug war,” The Associated Press, November 22, 2010.)

[/box]

타마울리파스 학살사건을 보고한 당시 주 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의 기록 (출처: 주 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 https://overseas.mofa.go.kr/
타마울리파스 학살사건을 보고한 당시 주 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의 기록 (출처: 주 멕시코 대한민국 대사관)

마약 카르텔이 지배하는 무법지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중요한 취재원이다. 카르텔들은 기자를 잔혹하게 살해하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없고, 경찰은 물론 정부의 주요 관계자들도 카르텔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취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취재원 실명을 반드시 밝힌다는 AP의 보도원칙을 고집할 수 없다.

“지금까지 마약전쟁에서 죽은 사람은 7만 명이 넘을 겁니다. 누군가 보복의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고 요청한다면, 그건 오히려 신뢰할 만한 취재원이라는 뜻이죠. 카르텔 간에 갈등이 치열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거의 말을 하지 않아요. 자기들이 살고 있는 도시와는 무관한 카르텔에 대해선 거침없이 이야기를 해도, 자기가 사는 곳을 장악한 카르텔에 대해서는 입을 다뭅니다.

카르텔들은 라이벌 카르텔을 위협하고자 할 때 라이벌 카르텔의 철자를 틀리게 쓴 전단지를 뿌린다고 하더군요. 우리는 도나M 식당에서 타코를 먹고서 마을을 한번 둘러보고 다시 그 식당으로 갔는데, 도나M이 나가서 그 전단지를 직접 구해다 놓았더라고요.

사람들은 말은 하지 않아도 우리에게 진실을 알려주고 싶어했어요. 자신들의 처지를 알리고 싶어했죠. 한번도 가본 적 없는 곳, 본적도 없는 사람들, 지방을 장악한 카르텔 보스를 인터뷰해보지도 않고 퍼즐을 맞춰나가는 것과 같아요. 옆 도시로 가야만 그 조각을 맞출 수 있죠. 절대 맞부딪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에요. 사람들은 힘이 닿는 한 돕고 싶어했어요. 하지만 동네마다 금기어가 있었죠. 예컨대, 타마울리파스에서는 아무도 제타스(Z)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 않아요. 그냥 ‘끝 글자’라고 말하죠. 외신기자라고 해도 그 단어를 입에 올렸다가는 쥐도새도 모르게 죽임을 당하죠.” (마크 스티븐슨)

걸프 카르텔 단원의 머리에 총구를 겨냥한 로스 제타스 카르텔 단원들.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걸프 카르텔 단원의 머리에 총구를 겨냥한 로스 제타스 단원들.  멕시코 마약 카르텔 중 가장 위험한 조직 중 하나로 무차별 살인과 고문, 참수 등 잔인하고 폭력적인 ‘충격과 공포’ 전술을 즐긴다.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스티븐슨은 유괴되거나 실종된 가족이 있는 사람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싶어 조심스럽게 인터뷰할 사람들을 찾아다녔다.

“한 여성이 인터뷰에 응했는데, 말하다보니 그녀가 사건의 내용을 모두 알고 있지 못했어요. 인터뷰가 중간에 끊겼죠.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잠깐 서있었는데, 느닷없이 사람들이 모여들더니 주변을 에워싸더군요. “우리 형도 실종되었어요. 우리 형 이름도 적어주세요!” 사람들이 웅성대며 실종된 자기 가족의 이름을 외치기 시작했어요. “세뇨르, 요노소이폰쵸나리오, 요소이페리오디스타 (여러분, 나는 관료가 아닙니다. 기자입니다.)” 이 말을 반복할 수밖에 없었죠. 결국 나는 그 사람이 불러주는 이름을 모두 적을 수밖에 없었어요. 정말 비참한 기분이 들었죠. 내가 그들을 위해 해줄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었거든요. 그곳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대체적인 인상을 글로 전달하는 것이 고작 내가 할 수 있는 일이었죠.” (마크 스티븐슨)

멕시코 마약 카르텔

 

[divide style=”2″]

[box type=”note”]

이 글은 [AP, 역사의 목격자들] (지오바니 델오토, 신우열 옮김, 크레센도, 2020)에서 발췌한 내용을 출판사가 직접 각색한 것입니다. (편집자)

[/box]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