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box type=”note”]

2015년 6월 26일(현지시각) 미국 연방 대법원은 대법관 5:4로 동성 결혼에 합헌 결정했고, 이로써 미국에서 동성 결혼을 합법화했습니다. 이는 세계적 추세라는 소리도 들려옵니다. 하지만 여전히 동성끼리 사랑한다는 이유로 사형에 처할 수 있는 나라가 존재합니다.

멀리 갈 것 없습니다. 지난 2014년 12월 서울시민인권헌장 “성적지향 및 성별 정체성”이라는 문구를 헌장에 넣었고, 이를 통과시켰지만, 결국 서울시는 이를 선포하지 않았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선포를 거부했습니다.

여전히 동성애에 대해 “전 아무튼 반대”라고 이야기합니다. “동성애 마귀”라는 증오와 혐오의 목소리는 우리 사회에 여전히 울려 퍼집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아직 동성애를 ‘인권의 항목’에 올리지 못했습니다.

슬로우뉴스는 미국의 동성 결혼 합헌 결정에 즈음해 우리 사회의 모습을 돌아보고자 글로컬포인트의 기고를 특별연재합니다. (편집자)

  1. 서울시청 무지개 농성을 통해 만난 혐오와 사랑
  2. 성적 수치심과 혐오의 프로파간다: 증오로 성장한 개신교 우파
  3. 보수 개신교계의 생존 전략: 미 군정에서 2010년 이후 행동 그룹까지 (상) 
  4. 보수 개신교계의 생존 전략: 동성애와 진보를 사회악으로 만들기 (하)

[/box]

1199035962

지난 2014년 12월 ‘역사적인 날들’이라 부르고자 하는 그 공적 공간 속에 몰려든 사람들, 그 자리를 뜨지 못하고 밤낮 농성장을 지키던 상당수의 몸은, 다른 것은 모르겠으나, 요즘 시대에 ‘혐오’라는 것에 대해서는 일가견이 있는 존재들이었을 것이다.

‘성소수자’라는 고상한 이름이 있기 전, 혹은 그 이름에 맞는 자격을 갖추기 버거운 시간 속에 있었거나 혹은 있거나, 여성 혹은 남성이라는 ‘유토피아’적인 명사에 자기를 꿰맞추느라 끝도 시작도 없는 길 위를 서성거리는 삶. 그런 정체성 중력으로부터 자유 하고자 하는 별들.

세상이 뻔뻔하게 포샵질해 놓은, 인간이라는 몸 규격, 그 2차원 좌표에서 아주 멀리 위치하여 사는 정상 통계치 바깥의 몸. 형태뿐 아니라, 몸이 순환하는 길, 방법, 속도가 ‘고유한’ 경로를 그리는 사람. ‘혜성’들과. 인간을 재생산하지 않는, 혹은 못하는 ‘동물’로 살며, 조금은 더 ‘인간다운 삶’을 그려 나가려 하는 미생의 천국.

서울시청 무지개 농성장에서 만난 혐오

‘서울시청 무지개 농성’이라고 이름 붙인 시간과 공간에서 만난 혐오는 누군가가 나를 손가락질하면서 ‘죽여버리고 싶다’고 대놓고 소리치며 물리력을 행사하는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box type=”info” head=”무지개 농성단”]

2014년 12월 6일 “무지개 농성단”은 서울시청 본관 로비를 점거하고 6일간 성소수자의 인권을 위한 메시지를 전한 바 있습니다. 이 서울시청 점거 농성을 “무지개 농성”이라 합니다. [/box]

예를 들자면, 서울시청 그 속에서 우리에게 들으라고 “똥구멍으로 그 짓 하는 게 지금 잘하는 짓이냐!”를 외쳐댔던 입들 중 하나는 장애인이었다. 군대에 갔다가 성폭력을 당해 “이 지경이 되었다!”며 분노를 참지 못하며 고함을 쳐대는 사람도 있었다. 그가 뱉어낸 말들, 저주와도 같은 폭력의 진동 때문에 나는 몸서리쳤다.

그러나 그가 혐오하는 것은 ‘동성애 하는 인간들일까, 아니면 자신의 성폭력 경험일까. 그가 분노에 끓어오르는 눈물을 애써 참으며 수치스러운 듯 내뱉으면서 진정 참을 수 없는 것은 지금에 와서 되돌릴 수 없는, 비정상적인 몸과 자신의 사회적 처지가 아닐까?

그가 말하고 있는 자신의 역사는 ‘거짓’일 수 있지만, 그 수치와 분노는 내 가슴을 쳤다. 어쩌면 온갖 혐오 속에서 모진 목숨을 끌어안고 살아내야 했던 자신을 투영했을지도 모를 일이지만 말이다.

혐오 부추기는 사회, 그래도 연대감을 느낀다

내가 말하려고 하는 것은 ‘혐오 세력’ 중 한 사람에 대한 연민은 아니다.

스스로 혐오했고 또 혐오하고 있는 불완전한 사람, 아니 그보다는 불완전하라고, 비정상이라고 내몰고 있는 시대적 조건 속에 내몰린 비슷한 동물로서 느끼는 연대감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그 몸과 내 몸이 처한 정치적 위치는 ‘혐오 세력 vs. 반혐오 세력’으로 거칠게 나뉘어 있지만 말이다.

서울 시청에서 어색하고 적대적으로 만난 ‘그들’이 나를 죽이겠다고 겁박하는 것에 화가 났고 공포를 느꼈지만, 그 모습이 낯설지 않았다. 그들도 나처럼 자신을 조롱하고 어떤 수치스러운 기억을 새기고 있는 몸을 참을 수 없다는 점에서 비슷했다.

차이점이 있다면 그들은 ‘우리’로서 결코 함께할 수 없는 누군가를 지목하면서 그 익숙한 분노 안에서 안주하고 학대라는 가학적 쾌락에 몰입하며 참을 수 없는 시간을 살아내고 있다는 것이리라. 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정상 범주를 떠받치면서 말이다.

https://flic.kr/p/owu3P David Sim, CC BY
David Sim, CC BY

‘우리’로 묶인 이들은 어찌 되었든 표방한다. ‘사랑이 혐오보다 강하다’고, 우리가 처한 시대적 조건인 혐오를 함께 깨보자고, 우리 자신을 자유롭게 만들어 보자고 말이다. 아름다운 수식일뿐 아니라 이 시대를 사는 이들에게 중요한 정치적 윤리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모두 자기 자신을 혐오하도록 부추기는 곳에 살고 있으니까.

어떤 삶의 방식으로 이 지옥에서 해방될 것인가.

각자가 모두 자신만의 ‘우리(cage)’와 옴짝달싹할 수 없는 진흙탕에서 절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서울 시청에서 ‘사랑은 혐오보다 강하다’라고 외치는 이들은 ‘혐오’에 대하여 스스로 삶을 지켜낸 가지각색의, 무지개 빛깔 투쟁의 기술과 역사를 통하여 혐오 세력에게 제안하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자신을 해방하라고, 자유로워도 괜찮다고 말이다.

사랑은 혐오보다 강하다 (출처: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 '랑') http://lgbtpride.tistory.com/658
사랑은 혐오보다 강하다 (출처: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웹진 ‘랑’)

몸속에 누적된 혐오의 기억들이 파도처럼 밀려와 서울 시청은 파고가 일렁이는 바다와 같았다.

내가 나를 지목하며 혐오했던 순간들뿐 아니라, 내가 누군가를 지목하며 ‘나는 네가 아니다’라고 극렬히 저항했던 순간들 또한 혐오 세력의 입을 통하여 역사화한다. 나는 그들이 꺼내 놓은 혐오에 대해서만큼은 ‘너희가 틀렸다!’라고 합법적으로 소리칠 권리를 얻었다. 우리로 뭉친 누군가와 함께 혐오 세력을 향하여 전혀 부끄럽지 않은 인간의 말을 소리치곤 했다.

역사적 순간으로 도마 위에 올려놓고 살펴보는 요즈음 많은 인간은 지금 자기 자신을 참을 수 없어 한다. 성소수자로서는 자긍심을 가지고 있다고 굳이 토설하는 이면을 보자.

‘우리’는 자긍심을 소유할 조건에 처해있지 않다. ‘우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만 애써 자긍심을 딛고서 사회로 나갈 때, 잠깐이지만 스스로에 대한 혐오를 유보하거나 자제할 수 있을 뿐이다. 지난 기억 속 비겁하고 자신을 원망했던 순간들은, 자긍심을 갖춘 지금에서 볼 때야만 비정상적인 어려움, 이겨낸 역경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 순간이 지나면 ‘우리’는 사라지고 모래와 같이 흩어진 삶들에 닥치는 것은 또다시 거짓말, 기만, 자기 위로 일 것이다. 그럴 수 있다. 이런 삶 같지 않은 삶. 배제와 고립, 차별들이라고 불리는 것이 가득한 일상을 바꿀 방법으로 ‘법’이나 ‘제도’라는 힘을 선결적으로 끌어오는 것은 불가피한 일인가?

그 매듭을 풀면 ‘우리’는 조금은 나아질 것인가?

법 퍼블릭도메인

‘인권은 목숨이다’

나는 오래되고, 변치 않은 혐오를 보아왔다. 몸을 ‘판다’고 하면서 손가락질당하는 몸들에 대한 혐오, 그리고 자신들과 같은 감각체계에 살지 못하는 것을 ‘기이하다’고 생각하다 결국 두려워하여 가두고, 멸절하는 그 많은 혐오의 ‘역사’들은 사라지지 않고 지속한다.

예를 들자면 이런 것이다. 여성 혐오 같은 것은 여전하지만, 어떤 ‘여성’으로 배치된 몸은 그 낙인 바깥에 있다. 예전부터 낙인 안에 존재하는 이들은 혐오 대상으로 기능했던 역할을 더욱 강하게 요구받는 식이다.

가정폭력과 성폭력 대상이 되어도 마땅한 몸들은 이전보다 더 가차 없는 혐오와 낙인의 대상이 되곤 한다. 가정폭력과 성폭력 관련한 특별법들은 끊임없이 개정되고 수정됐음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도 기꺼이 이 ‘피해자’ 혹은 ‘생존자’의 목록 속에 있고 싶어 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에도 말이다. 법이 실행력이 없거나, 가해자가 복수하거나, 누군가 그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를 두려워한다.

이것들을 해소하기 위해 하는 일은 의사의 그것과 비슷한 것 같다. 증상이 나오면 즉각적으로 메스를 들고, 떼어낸다. 법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 법을 작동하는 행위자들을 교육하고, 가해자 복수를 막도록 가중처벌 조항들을 덧붙이고, 피해자와 생존자 신분을 보장하기 위해 세세한 지침들을 마련한다.

사진제공: 민중의소리  http://www.vop.co.kr/A00000823047.html
사진제공: 민중의소리

그런데 ‘여전’하다고 느껴지지 않는가?

하지만 상황은 반복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또 법 앞에 서게 된다. 일상 풍경이 변한 것은, 없다.

다만 어디 먼 세계에 있을 것 같은 힘 있는 몸들이 ‘여자’라는 간판을 달고 대통령이 되거나, 고위관리가 되거나, 경찰 집행력이 되어서, ‘여자’라는 알리바이를 달고서, 밀양에 사는 나이든 ‘여성농민들’인 할매를 들어내고, 제주 강정마을을 군대가 주둔하는 관광지역으로 만들자는 것에 별다른 서글픔을 느끼지 못한다.

‘페미니스트’는 언어 권력과 제도 권력에 빌붙어 부상한, 이런 식으로 힘을 발휘하는 몸들을 피상적으로 가리키는 언어, 그릇이 되었다. 그리고 그런 몸들이 부상하게 된 경로가 사회적으로 페미니즘이라는 이데올로기라는 것도 부정할 수는 없지 않은가.

Romuald Bokej, CC BY SA
Romuald Bokej, CC BY SA

아직도 후진국에 머무는 한국 여성인권순위를 들이미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을까. 낙후하여 과거 속으로 사라져야 할 ‘피해자’ 혹은 ‘생존자’로 살아온 몸들에 자신이 살아온 삶이 오로지 ‘후진적인’ 역사를 대표하는 무엇으로만 전형화하는 것. ‘우리’는 이런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분석들에 꽤 익숙하다.

가끔 혐오는 이 안에서도 씨를 심는다. 내가 다루어졌던 방식대로 다른 존재들도 다루게 되는 습관은 조금씩 조금씩 우리를 갉아먹는다. 낙인은 ‘더는 참을 수 없다’라고 성마른 분노를 가진 존재에게, 섬세하게 살펴보고 시간을 들여 더 쳐다볼 필요 없는 사물과 같은 방식으로 존재를 다룰 수 있게 한다.

효율과 목적 지향적인 꽤 현대적인 삶에 익숙한 ‘우리’는, 이런 존재와의 관계가 편하다는 걸 안다. 정해진 시간적 배치 속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연적인 변화를 최대한 배제하는 효율성. 낙인과 전형화는 인간이라고 지목되지 못하는 모든 대상에게 윤리적 고통 없이 행해진다.

마녀 사냥

이성과 합리는 영화 편집처럼 임의적이다.

이성이나 합리라는 것이 특히 전문가를 자처하는 힘이, 사회적 인과를 마음대로 조작하는 기술을 일컫는 말로 ‘오염’ 되어 있으므로 오히려 혐오 안에 넣어서 불법화하고, 사회적으로 억제해야 할 범죄 행위의 목록이 무엇인가를 재빠르게 작성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모르겠다. 그것은 언어를 가지고 법이 가지는 상징권력 속에서 놀 수 있는 이들에게 맡겨도 충분한 일이다.

그러나 내게 온 삶의 이야기는 그런 종류는 아니다.

지금 내게 온 ‘혐오’는 언어 속에서 풀어낼 수 있는 어떤 존재의 경험일 뿐이라고 느낀다. 그리고 어떤 사회와 불합리한 관계 속에 있다고 느끼는 거의 모든 존재에게 혐오는 무척 매력적이다. 어떤 존재에게 힘을 가할 때, 그 존재를 해석할 때, 망설이거나 주춤거리는 시간, 그런 사회적이고 관계적 노동을 들일 필요가 없다.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수많은 새로운 것들, 힘의 부상, 어떻게 관계하고 감당하고 지속해야 할지 모르는 사회적인 것들, 복잡한 힘의 역학 속에서 혼자 살아남아야 하는 존재들은 어떻게 대응하게 될까? 선례가 없고 익숙한 사물들조차 없는 그런 텅 비어 있는 사회적 공간 속에 발가벗겨진 듯 내쳐진 존재는 어떻게 자신이 여기 있음을 내세우고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

물리적 세계 속에서 힘을 발휘하고 그에 상응하는 반응과 관계들을 확인하지 못할 때, 어떤 존재든지 불안에 떨게 된다. 그 적절한 사회적 방식을 배치하는, 능동적이고 자율적 실천의 가이드라인이 법인가, 법이 될 수 있을까?

동성애 인권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금지는 누구에게 힘을 줄까?
혐오를 금지하는 일련의 조처들은 당장 피해-목숨을 구제할 수 있을까?

우리에게 돌아오는 혐오는 멈추어질 수 있겠다, 잠시라도. 그렇지만 성소수자인 우리 안에도 이 몸이 있었듯이, 성폭력 생존자로서, 더러운 ‘년’으로서, ‘병’을 가진 누구로서도 우리가 되는 삶에서, 혐오는 어떤 누군가 ‘또 다른 우리’를 지목하고 불러낼 것이다.

정의로운 싸움은 ‘혐오’에 대해 승리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동시대적 시간 감각, 공감각을 사는 몸이 자율적이고 해방적 관계를 구성할 자유, 공간을 구축하는 싸움이 지금 당장 필요하다고 느낀다.

서울시청 그 길지 않았지만 깊은 밤과 낮들 속에서 만난 몸들은 동성애자일 뿐만 아니라 장애인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비성인(청소년)으로, 또 비/반인간(여성)으로 혹은 건강치 않은 몸을 가졌다거나 정신병자, 전염병자, 빈곤계급으로 임의로 분류된 존재였다. ‘우리’로 묶여 있었으나 권력이 깊게 새겨놓은 낙인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은 또 그럴 수 없는 존재 말이다.

그들 이야기는 내 속에 있는 혐오를 일깨웠고, 드러내게 하였다. 상호적일 뿐 아니라 집단적인 점거 속에서 우리는 점점 혐오를 깨부수는 관계적이면서 생활세계 차원에서의 투쟁을 함께 일궜다.

그런 ‘사랑’, 자유와 해방에 대한 믿음이 만개한 서울시청 무지개 농성은 그래서 사람들 삶에 끊임없이 되살아오는 역사가 되었다. 아마 이 이야기, 투쟁 혹은 역사를 접한 이들에게도 그렇게 전해지길 바란다.

자기 자신에 대한 증오를 거두고 승리를 일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서울시청에서 시작되었다.

Susanne Nilsson, CC BY SA https://flic.kr/p/oTqd8Q
Susanne Nilsson, CC BY SA

[box type=”note”] 지난 2015년 3월 9일 천주교인권위원회는 “무지개 농성단”을 제4회 천주교인권위원회 이돈명인권상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천주교인권위원회는 보수정권의 집권 장기화로 사회가 보수화되고, 혐오범죄가 등장한 현실에서 무지개 농성단은 차별과 혐오를 반대하고 폭넓은 연대로써 이를 넘어서고자 했다고 평했습니다.

더불어 한국 사회와 인권운동진영이 차별과 혐오에 맞서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무지개 농성단’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 또한, 천주교인권위원회는 앞으로도 차별과 혐오에 맞서 지난한 분투를 이어갈 이들에게 지지와 연대를 표했습니다. [/box]

관련 글

3 댓글

  1. 동성애 옹호하고 조장하는 세력들은 나라 좀먹고 사회 혼란 유발하는 좌빨들이라는 것 꼭 명심하세요. 동성애 옹호하는 정당은 정의당,노동당,녹색당이고 동성애를 옹호하는 언론은 진보언론인 한겨레,오마이뉴스,경향신문,허핑턴포스트등등입니다. 좌빨들이 인권팔이로 나라 망치려고 동성애 옹호하는 겁니다. 미국도 민주당 집권이고 박원순도 새정치니 좌빨 맞음. 빨갱이들때문에 나라가 망해가네 매국진보자식들 진심 극혐

    동성애 옹호하는 것들은 100% 빨갱이다. 사회혼란 조장하는 악의 자식들 ㅉㅉ

  2. 기사 중간에…”아직도 후진국에 머무는 한국 여성인권순위를 들이미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을까” 이 부분에서 뿜었네요…대한민국 여성들 인권은 전세계 최상위권 입니다..한국 여자들처럼 살기 편한 여자들이 어디있나요…세상 돌아가는 물정을 모르시는 분이 글을 쓰신 듯…

  3. 제 문해력이 딸리는 건진 모르겠지만 작년부터 슬로우뉴스를 봐온 뒤
    무슨 말을 하려고 하는지 모르겠고, 읽고자 하는데 읽는데 힘든 글은 처음입니다.
    저만 그런지요?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