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우스팟] ‘단기 이익 추구’에 매몰된 현 프랜차이즈 사업 방식은 가맹점주와 투자자 모두에게 피해를 초래한다는 김승원(민주당 의원) 주장. 이억원(금융위원장)도 “공감” 표했다. (⏳3분)
지난 11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선 방송인 겸 외식사업가 백종원이 운영하는 더본코리아가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단기 수익 극대화를 위해 비용을 가맹점에 전가하는 행태에 대한 질타였다.
김승원(민주당 의원)은 더본과 같은 프랜차이즈 기업에 대한 상장 심사 땐 가맹점주와의 상생지수 등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게 왜 중요한가.
- 프랜차이즈 기업의 단기 이익 추구는 가맹점주와 투자자 모두에게 피해를 준다는 게 김승원의 문제의식이다.
-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프랜차이즈 기업은 가맹 본사 이익 극대화와 주주 이익을 우선하게 된다. 신시장 개척이나 경영 혁신이 빠진 채 기존 방식대로 운영하면, 프랜차이즈 수수료 및 납품 단가 인상 등 가맹점에 비용을 전가하는 ‘쉬운 선택’을 하게 된다. 국내 주요 F&B(식음료)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상장 잔혹사’를 피할 수 없던 이유다.
- 김승원은 더본을 겨냥해 “해외 진출이라든지, 혁신적 방법을 통한 수익 창출보다 매장 증가를 통해 매출을 올리고 가맹점에 손해를 전가하는 식으로 (운영하다가) 결국 그것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가맹점들이 폐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6만4500원’서 ‘2만5000원’으로 폭락.
- 지난해 11월 6일 상장한 더본코리아는 첫날 주가 4만 6350원으로 시작해 사상 최고가인 6만 4500원까지 치솟았다. 이후 ‘오너 리스크’ 등이 겹치며 2만 4900원(19일 오후 2시 46분)으로 주저앉았다. 3분의 1토막 수준이다.
- 김승원은 “더본코리아가 상장 당시 주가가 6만 4500원이었지만 1년 후 63% 급락해 2만 4000원이다. 교촌(치킨 프랜차이즈 교촌에프앤비)도 6200원이었던 주가가 1년 후 37% 하락해 4000원에 불과하다”며 “결국 투자자인 국민에게까지 피해가 돌아가고 있다”고 질타했다.
- 김승원은 더본 본사 임원들이 대량의 스톡옵션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꼬집었다. “(본사 임원들이) 가맹점주와의 상생보다는 스톡옵션을 통한 이익 실현에 집중하기 때문에 본사나 주주 이익에만 몰두하게 된다”는 것이다.
- 더본코리아는 2022년 강석원(공동대표)을 포함해 임직원 17명에게 스톡옵션 104만 5940주를 부여했다. 스톡옵션 34만3980주를 보유한 강석원의 경우 스톡옵션을 행사해 현 주가 수준에 매도하면 55억여 원의 차익을 거둘 수 있다.

“해외 진출? 거짓말에 가깝다.”
- 더본 대표 백종원은 지난해 10월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상장을 통해 해외 프랜차이즈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했다. “국내 영업점 수는 완만한 상승 곡선을 그리도록 운영하겠다.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드라마틱한 매장 수가 발생하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 여전히 해외 매출 비중은 3%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승원은 “백종원이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더본의 2024년 매출 4600억 중 수출액은 135억 원으로 2.9%에 불과하다”며 “해외에 투자하겠다, 해외로 진출하겠다는 상장 당시 목표는 결국 실현되지 않는 과장이었다. 거짓말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더본의 상장은 지난해 말 이뤄진 만큼 시간을 두고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 한편, 더본코리아는 TBK(The Born Korea) 소스의 글로벌 진출을 통해 2030년까지 해외 매출 1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시아, 미주, 유럽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단계별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대형 유통업체 및 현지 레스토랑과 협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프랜차이즈 상장 심사? “더 엄격한 요건 필요.”
- 김승원은 11일 국회 예결특위에서 금융위원장 이억원에게 프랜차이즈 기업에 대한 상장 심사 요건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사 매출의 가맹점 의존도, 가맹점주와의 상생 지수(index) 등을 반영해 본사가 가맹점에 손해를 전가하는 행태를 근절해야 한다는 취지다.
- 이억원은 “지금도 재무제표, 매출액, 수익성 등 정량적 요건과 함께 투자자 보호, 경영 투명성, 내부 지배구조 등 정성적 요건도 살펴보고 있다”면서도 “정성적 요건 차원에서 더 살펴볼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기존 프랜차이즈 사업 방식은 투자자나 가맹점주 모두에게 피해를 줄 수밖에 없는 구조다. 말씀 취지를 충분히 공감하고 어떤 방안이 있을지 살펴볼 것”이라고 호응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