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우스팟] 297만 명 해킹 사고, 롯데카드 보안 검사 가장 많았지만 부실 검사 논란… “징벌적 과징금 부과해야” 주장도. (⏳2분)
롯데카드에서 해킹 사고로 297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가운데, 금융감독원의 ‘부실 검사’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금감원이 2019년부터 2025년 8월까지 7년여간 전업 카드사를 상대로 67회 검사를 진행했지만 해킹 등 보안 관련 검사는 단 한 건도 없었다. 8개 카드사 가운데 가장 많이 검사(11회) 받은 곳은 롯데카드였다.

이게 왜 중요한가.
- 보안 검사가 없었다는 점에 금감원의 직무유기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이 금감원에서 받은 ‘전업 카드사 정기검사 및 수시검사 실시 내역’을 보면 금감원은 전업 카드사를 상대로 7년간 67회 검사를 진행했다. 정기검사는 7회에 그쳤고, 대부분 수시검사(60회)였다.
- 연도별로 보면 2019년 11건, 2020년 6건, 2021년 16건, 2022년 7건, 2023년 15건, 2024년 7건, 2025년 8월까지 5건이다.
롯데카드 검사 가장 많았다.
- 카드사별로 보면 롯데카드가 11건(16.4%)으로 가장 많았다. 국민카드와 우리카드 각 10건, 현대카드 9건, 신한카드와 하나카드 각 8건, 삼성카드 7건, BC카드 4건 순이다. 하나·삼성카드의 경우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단 한 차례 검사도 실시하지 않았다.
- 67건의 정기·수시검사 가운데 ‘검사 목적’에서 해킹 등 보안 관련은 한 차례도 없었다.
- 정기검사의 경우 매년 초 검사 대상 등 계획을 수립한다. 7년 동안 8개 전업 카드사에 대한 정기검사는 단 7차례에 불과했다.
- 롯데카드는 7년 동안 단 한 번 정기검사를 받았다. 의원실에 따르면 정기검사는 2022년 6월 7일부터 7월 8일까지 32일간 진행됐다. 검사 목적은 ‘경영 실태 평가 및 핵심 취약 부문에 대한 정기검사’였다. 주요 내용은 △경영 실태 평가 및 핵심 취약 부문 확인 △신용 정보 전산 시스템의 안전 보호 위반 등이었다.
- 롯데카드 수시검사(10회)에서도 검사 목적이 △카드사의 영업 관행 및 지배 구조 점검을 통한 금융 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 및 건전 경영 도모 △신용카드 회원 모집 실태 점검 △카드 제휴 서비스 관련 업무 처리 적정성 점검 등이었다. 보안 관련 내용은 없었다.

“금감원, 카드업 보안 점검 확대해야”
- 금감원이 카드사 보안 점검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강민국은 “금감원은 롯데카드에 실시하고 있는 해킹사고 등 점검을 전체 카드업권으로 확대하고, 보안 점검을 매년 실시해야 한다”고 했다.
- 이어 “롯데카드사의 경우 검사 결과 책임 소재가 확인된다면 영업정지를 포함해 징벌적 과징금까지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의 강력한 검사를 주문한 것이다.
롯데카드 “끝까지 책임지고 전액 보상할 것”
- 롯데카드는 이번 해킹 사고로 정보 유출된 전체 고객 297만 명 가운데 49%에 해당하는 약 146만 명에 대한 보호 조치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 특히 키인(KEY IN) 거래를 통한 부정 사용 가능성이 존재하는 고객 28만 명 중 카드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카드 정지 및 해지 등 보호 조치가 완료된 고객은 23만 명(82%)이라고 했다.
- 롯데카드 관계자는 “현재까지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부정 사용 시도나 실제 소비자 피해로 이어진 사례는 단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사고 발생 피해는 롯데카드가 책임지고 피해 전액을 보상하겠다. 고객 정보 유출로 인한 2차 피해에 대해서도 연관성이 확인되면 전액 보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