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별로 심각하지도 않은 내용의 메시지를 ‘긴급재난문자’로 수시로 발송해 매우 성가시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긴급재난문자’에 관한 몇 가지 토막 상식을 여러분께 전합니다.
1. ‘문자’보다는 ‘라디오’
먼저, ‘긴급재난문자’는 이름과는 달리 ‘문자’, 즉 SMS나 일반적인 셀룰러 망과는 완전히 다른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는 셀 브로드캐스트(Cell Broadcast; 이하 ‘CB’)라는 것으로, 실제 LTE 등 무선 통신 표준을 관장하는 3GPP 표준안에도 완전히 다른 기술로서 표준화되어 있습니다.
Cell Broadcast
[adsense]CB는 ‘문자’라기보다 ‘라디오’에 훨씬 더 가깝습니다. 본래 *정말 긴급한 상황*에만 사용하라고 만든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망은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막대한 트래픽을 견디지 못합니다. 이는 SMS 등 문자도 마찬가지여서, 긴급한 상황에서 트래픽 병목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필수적인 정보들을 전달하기 매우 힘들어집니다.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 CB는 거의 즉시 전달되지만, SMS를 사용한다면 병목 탓에 1시간이 넘게 걸립니다. 여기에, 재난으로 인해 셀룰러 네트워크가 붕괴된다면 아예 네트워크에 접속조차 할 수 없기 때문에 아무런 재난 관련 정보도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셀 브로드캐스트는 이름 그대로, 단말기 단위가 아니라 네트워크의 ‘셀’, 즉 기지국 단위에서 메시지를 ‘방송’해주는 시스템입니다. 기지국 단위이기 때문에 개별적인 사용자를 구분하는 별도의 시스템이 없고, 해당 셀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휴대전화에 메시지가 전파됩니다.
양방향 통신 기능 같은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말 그대로 메시지를 ‘전파’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입니다. 기지국 기준이기 때문에 특정 기지국이 있는 지역을 벗어나면 더는 수신되지 않습니다. 통신사의 승인이 없으면 애초에 발송될 수도 없고요. 문자보다 라디오에 가깝다는 것은 바로 이 뜻입니다.
2. 왜 이렇게 만들었나? ‘정말 긴급한 상황’에서 쓰려고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는 간단하죠. ‘정말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하려고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지진이 발생했거나, 화산이 폭발했거나, 미사일이 발사되는 등의 상황에서 말이죠. 아무리 정부라 해도 전 국민의 휴대전화 번호를 확보하고 있지는 않고, 설사 그렇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셀룰러 망으로는 재난 상황에서의 막대한 트래픽을 견뎌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단순하게 각 기지국에서 메시지를 모든 연결된 단말기에 뿌려버리는 겁니다. 이것 말고는 정말 ‘긴급 대피령 같은 정보를 전달할 방법이 없다!’ 하는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한다는 거죠.
그렇다면 왜 메시지를 여러 개로 끊어서 보내냐? 피쳐폰 사용자를 고려해서나 일부 폰에서 수신을 못해서 같은 거창한 이유가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쓰려고 만들었기에 애초에 CB 표준에서 각 메시지 페이지의 길이를 최대 82옥텟, 즉 (영문자 기준) 93자로 정해놨기 때문입니다. 단일 셀 브로드캐스트에는 최대 15페이지의 메시지를 담을 수 있어 이론상으로는 최대 1,395자를 보낼 수 있으나 각 기기에는 메시지 페이지가 여전히 분할되어 수신됩니다.
그리고 긴급 상황에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를 대비해, 각 메시지 페이지는 (2초에서 32분 사이로 정해질 수 있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황 종료 시까지 반복하여 브로드캐스트되게 되어 있습니다. 단지 같은 식별자를 가진 메시지를 수신하면 각 단말기에서 무시해버리는 것 뿐이죠.
3. ‘불청객’이 된 이유: 갈라파고스 혹은 콜라파고스
그럼 한국에서는 왜 CB가 일을 방해하고 잠을 깨우는 불청객이 되었냐? 긴급재난문자를 자주 받는다고 불평하는 빈도를 보면 갤럭시 등 국산 폰 사용자보다 아이폰이나 픽셀 등 외산 폰 사용자가 훨씬 더 많습니다. 국산 폰에서는 ‘긴급하지 않은’ CB의 경우 ‘안전안내문자’라 하여 일반 문자처럼 수신하기 때문에 별로 성가시지 않지만, 아이폰 등 외산폰은 매번 CB를 수신할 때마다 시끄럽게 삑삑 울려대니까요.
왜 그런지는 단순합니다. 한국의 CB 시스템이 국제 표준과 부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EAS 등의 긴급 알림 시스템에는 크게 세 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 전시 상황 등에서 사용하는 ‘극단적인 위협 경고'[footnote]”Extreme threat alert”[/footnote],
- 지진 같은 심각한 자연재해 등의 상황에서 사용하는 ‘심각한 위협 경고'[footnote]”Severe threat”[/footnote],
- 그리고 긴급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미성년자 실종사건을 알리는 앰버 경고[footnote]AMBER alert[/footnote]가 그것입니다.
EU의 경우 여기에 단순 정보성 메시지인 ‘EU-인포’(“EU-Info”)와 테스트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EU-엑서사이즈’(“EU-Exercise”)가 추가됩니다.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이 표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각 메시지 단계별로 사용자가 수신 여부 등을 별개로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은 완전 딴판입니다. ‘긴급재난문자’와 ‘안전안내문자’ 두 가지 카테고리밖에 없으며 그마저도 이를 구분하는 코드도 독자 규격입니다. 따라서, 이를 지원하지 않는 외산 폰의 경우 티어 구분을 읽지 못하고 무조건 최고 단계인 ‘익스트림'(“Extreme”) 경보를 발령하게 됩니다. 보통 CB는 긴급 상황이 아니면 발송하지 않기 때문에, 티어 구분을 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일단 무조건 최고 수준 경보로 폴백하는 것이 합리적인 결정입니다.
문제는 한국 정부 당국이 국제 티어(tier; 단계) 구분 표준을 따르지도 않는 주제에 CB를 지나치게 남용한다는 겁니다. 외국에서는 인포(Info) 수준으로도 발송되지 않고, SMS로 처리해도 충분한 수준의 메시지를 계속 최고 수준 경보인 익스트림(Extreme) 단계 하나로만 발송하니 짜증이 날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안전안내문자”로 구분을 하긴 했지만, 아이폰은 그걸 읽을 수 없습니다(ㅎㅎ…ㅠ.ㅠ).
[toggle style=”closed” title=”심화 학습? ‘한국식 표준’에 관하여“]
한국식 CB를 “비표준”이라고 표현했지만, 사실 엄밀하게 따지자면 ‘표준’이기는 합니다. ‘한국식 표준’일 뿐이죠(…) 실제 CB 기반의 재난경보 시스템을 정의하는 3GPP TS 22.268 표준안에는 PWS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만족해야 할 메시지 단계들을 정의하고 있는데, 여기에 국가별 표준이 별도로 정의된 곳은 딱 두 가지밖에 없습니다. EU와 대한민국입니다.
재미있는 건, EU의 EU-ALERT 표준은 CMAS(미국)의 대통령 경고(Presidential Alert), 익스트림 경고(Extreme Alerts) 및 심각한 경고(Severe Alert)와 완전히 호환된다고 명시되어 있는 반면, 대한민국의 KPAS는 하위 호환에 대한 어떠한 언급 및 레퍼런스도 없이 독자적인 메시지 표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 언급한 대로 Class 0와 1으로 구분되는데, 0이 “긴급재난문자”, 1이 “안전안내문자”입니다. EU-ALERT의 Class 1, 2, 3과 달리 KPAS는 CMAS 및 EAS와의 어떠한 하위호환 조건도 정의하고 있지 않습니다.
더 황당한 건 언급된 TTA의 KPAS 스펙 문서 한글판에는 분명 메시지 단계가 “위급재난”, “긴급재난” 및 “안전안내”의 3단계로 정의되어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정작 이 내용은 3GPP 표준안 문서에는 빠져있고 Class 0, 1의 두 가지 단계만 정의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기기 제조사들은 표준을 따라야 하니 저 두 단계만 넣을 수밖에 없었겠죠(…)
이 이외에도 한국이 3GPP 표준에 넣어놓은 ‘한국식 표준’은 무척 많은데, 그중 하나를 꼽자면 ‘한국식’ VoLTE 표준인 TTA-VoLTE를 들 수 있겠습니다. 이 또한 ‘국제 표준’ VoLTE와는 호환되지 않는 독자 규격입니다. 국내에 정식 출시되는 외산폰들은 통신사들과 과기정통부의 통화품질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서 (아이폰 포함) TTA-VoLTE를 반드시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바로 VoLTE가 붙지만, 그렇지 않은 직구품들은 VoLTE가 지원되지 않아 통화 및 문자 등을 송수신할 때 3G (WCDMA)로 자동으로 넘어가며… LG U+의 경우 TTA-VoLTE를 지원하도록 베이스밴드 펌웨어를 수정하거나 ‘한국판’ 펌웨어를 씌우지 않는 이상 개통조차 되지 않습니다.
KPAS의 3GPP 표준안을 자세히 읽어보시면 독자 메시지 단계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가관인 건 또 있습니다:
- 3G에서는 한글 기준 최대 90자, LTE 이상부터는 한글 기준 최대 157자를 지원합니다. 이것도 원래 CMAS 표준에는 없는 내용입니다.
- 명목상으로는 다국어를 지원하는데, 사실 이는 별도 앱 (Emergency Ready App) 설치 없이는 별로 의미없고, 더 재미(?)있는 건 다국어 지원 시 메시지를 시작하는 문자 일부를 ‘예약’해 둘 수가 있습니다. 가령 [식약처], [서울시청] 같은 것들이죠. 이 또한 원래 CMAS 표준에는 없습니다. KPAS에서 꼭 발송기관을 명시해야만 하는 ‘한국식’ 정서를 감안해 새로 끼워넣은 기능입니다. 진짜 갈라파고스네요(…)
희한한 건 통화 품질과 직결되는 TTA-VoLTE와는 달리 저 KPAS는 외산 폰이 강제로 지원할 의무가 없다는 겁니다. (대체 왜?) 그래서 아이폰은 KPAS ‘표준’을 완전히 준수하지 않아 이 난리가 난 거죠. 반면 희한하게도 소니는 외산폰임에도 불구하고 KPAS 표준을 지원해줍니다. 그래서 소니 기기를 사용할 경우 마찬가지로 저 긴급재난문자에 고통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TTA-VoLTE도 외산 안드로이드 폰 중 거의 유일하게 지원해주기 때문에 직구폰의 VoLTE 활성화 작업에 한국 정발품의 소니 베이스밴드 펌웨어가 자주 이용되곤 합니다.
그러니까, 한국에 폰 출시하려면 KPAS도 강제로 지원하도록 하던가, 아니면 KPAS를 버리고 CMAS식 표준으로 가던가 둘 중 하나인데, 이미 너무 많은 기기가 KPAS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후자는 사실상 불가능한 이야깁니다. 결론은 애플이 자비를 베풀기 이전까지는 한국의 아이폰 사용자 여러분들께서는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사이렌에 고통받으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 이외 외산폰은 안드로이드일 테니 직접 구현해볼 수는 있겠는데, 그냥 끄면 되지 뭐하러 그 삽질을 하는지에 대한 의문점이 남기는 하겠네요. [/toggle]
[adsense]CB는 무슨 마스크 관련 정보 발송하라고 있는 게 아닙니다. 전시상황이나 인프라가 붕괴되는 재난상황에나 쓰라고 있는 게 CB입니다. 뭐 코로나19가 재난 아니냐고 하면 맞는 말이기는 하지만, 당장 행동이 필요한 ‘긴급’한 재난은 아니지 않습니까.
한편으로는 휴대전화 번호를 개인의 신분에 깊숙히 연동시키는 나라에서 통신사나 카카오 협조 하나만 구하면 SMS나 알림톡 쭉 뿌리면 되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 사유로 인해 전 국민의 휴대전화 번호를 수집해 SMS 혹은 알림톡 등으로 뿌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반면 CB로는 개인정보 수집 없이도 전 국민에게 ‘공지’를 뿌릴 수 있습니다. 애초에 각 사용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접근성 차원에서는 CB가 가장 적합한 공지 수단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국제 표준과 동떨어진 ‘한국식 표준’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남용입니다. 이러다가 사람들이 CB 수신 다 꺼놔서 진짜 전시상황이나 긴급한 재난에도 대피 못하게 만들면 그 사람들 탓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재난상황 시 그 사실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유일한 도구를 양치기소년 꼴로 만들고 있는 건 현 정부 당국입니다.
결론:
국가후견주의와 갈라파고스 기술이 낳은 끔찍한 혼종.
[divide style=”2″]
[box type=”info”]
갈라파고스? 잘라파고스? 콜라파고스?
갈라파고스 증후군(영어: Galapagos syndrome) 또는 갈라파고스화(일본어: ガラパゴス化 가라파고스카)는 기술이나 서비스 등이 국제 표준에 맞추지 못하고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세계 시장으로부터 고립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제조업(주로 IT 산업)이 일본 시장에만 주력하기를 고집한 결과 세계 시장으로부터 고립되어, 마치 남태평양의 갈라파고스 제도가 육지로부터 고립돼 고유한 생태계가 만들어진 것과 같아 붙여진 이름이 잘라파고스(Jalapagos = Japan + Galapagos)이다.
이러한 용어는 원래는 일본의 상황만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최근에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산업이나 미국의 자동차 산업 등 다른 나라의 비슷한 상황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의 갈라파고스화를 콜라파고스(Kolapagos = Korea + Galapagos)라고도 한다. (이상 위키백과 – ‘갈라파고스화’에서 발췌 인용)
[/box]
Thanks for another wonderful article. 137208324
Great article, I really like it, congratulations. 429083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