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한 사람의 질병은 그 사람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속한 사회도 보여준다. 한국 사람이 고혈압에 비교적 잘 걸리는 건 짜게 먹는 식습관 때문이고, 미국 사람이 비만이나 당뇨에 비교적 잘 걸리는 건 달게 먹는 식습관 때문이다. 정신질환도 사회를 반영한다.

외계인 vs. 도청 

똑같이 조현병(정신분열증)에 걸려도 미국인은 주로 외계인과 관련된 진술을 하지만, 한국인은 주로 도청과 관련된 진술을 한다고 한다.

외계인 UFO
같은 정신분열증에 걸려도 미국 사람은 ‘외계인’와 관련한 진술을 많이 한다고 한다.

어떤 범죄자에게 정신질환 병력이 있다고 해서 해당 범죄를 사회와 무관한 개인의 일탈이라고만 볼 수 없다. 대개 한 사람의 범죄는 그 사회를 보여주는 확대경이 된다.

1988년 "내 귀에 도청장치" 방송 사고 장면 ⓒMBC
1988년 “내 귀에 도청장치” 방송 사고 장면 ⓒMBC

범인이 애초부터 범행 대상을 여성으로 한정했다는 점에서, 강남역 살인 사건은 ‘묻지 마 살인’이 아니라 ‘혐오 범죄’다. 범인은 여성들이 자기를 싫어하고 무시한다는 사실에 분노해서 여성을 죽였다고 진술했다. 범인의 분노가 여성을 향한 것은, 여성을 남성 욕구를 해소하는 수단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만일 범인이 여성을 여성 자신의 욕구와 의지대로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로 생각했다면, 범인의 분노는 여성에게 외면받는 범인 자신이나 여성들이 선택하는 다른 남성을 향했을지 모른다. 범인이 범행 대상을 여성으로 한정한 것은 여성을 욕구와 의지가 있는 존재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살펴봐야 할 것은 여성에 대한 범인의 분노를 한국 사회와 무관한, 한 사람의 정신질환으로만 치부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그렇게 여기기에는 여성에 관한 범인의 시각이 한국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와 너무 밀접해 보인다.

“외국 처녀”는 총각 딱지 떼는 대상? 

한국 여자들이 결혼하지 않아서 농촌 총각들이 외국 처녀로 총각 딱지 뗀다는 기사가 나온 게 불과 한 달도 되지 않았다(2016년 4월 27일). 기사 제목을 [‘비혼이 대세?’…신붓감 없어 결혼 못하는 농촌총각엔 ‘비수’]라고 달았고, 부제를 “외국 처녀라야 ‘총각딱지’ 떼는 현실…농촌 지자체, 국제결혼 지원 팔 걷어”라고 했다. 한국 여성이 총각 딱지를 떼 주지 않아 농촌 총각들이 외국 처녀를 찾는다는 말이다.

연합뉴스 비혼이 대세

누구나 자신이 원치 않는 연애나 결혼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 여성들이 원치 않는 연애나 결혼을 거부한다고 비난하는 것은 여성을 의지나 욕구를 가진 인격체로 보지 않는 것이다. 해당 신문 기사는 한국 여성의 비혼과 ‘총각 딱지’ 못 떼는 농촌 총각을 연결하여 농촌에서 매매혼이 벌어지는 책임을 한국 여성에게 돌렸다. 농촌의 열악한 현실이나 가부장제를 농촌의 결혼난과 연결하는 것이 더 상식적인데도 기자는 기사 제목을 그렇게 뽑았다.

문제의 글은 개인 블로그 글이 아니라 연합뉴스 기사라는 점에서 한국 사회의 여성 인식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할 수 있다. 그 기사를 작성한 기자는 고등교육을 멀쩡히 잘 받았을 것이고 기자가 교류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교육 수준이 그와 비슷할 것이다.

그런데도 기자가 자기 기사의 문제점을 몰랐다는 사실은, 해당 기자 본인만 그러한 생각을 한 것이 아니라 주위 사람도 비슷한 생각을 할 가능성이 큼을 보여준다. 게다가 다른 기자들도 그러한 기사를 걸러내지 않았다. 이를 고려한다면, 문제가 된 기사는 한 기자의 생각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어두운 측면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식에서 강남역 살인 사건의 범인도 자유롭지 않았을 것이다.

공기처럼 만연한 여성혐오 

범인의 진술과 한국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만 놓고 봐도, 강남역 살인 사건은 개인의 정신적인 결함보다는 여성혐오에서 비롯되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한국 사회에 여성혐오가 만연하다는 말은, 남자들이 죄다 칼 들고 여자한테 덤벼들 예비 살인자라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여성혐오의 정서가 스며들지 않은 곳이 없다는 뜻이다.

그런 여성혐오가 억제력을 잃고 터져 나온 것이 강남역 살인 사건이다. 그러니 강남역 살인 사건을 여성혐오 범죄로 규정한다면, 이때 보일만 한 정상적인 반응은 자신의 여성혐오를 반성하거나 한국 사회의 여성혐오를 비판하는 것이다.

그런데 적지 않은 사람들은 이 사건이 여성혐오 범죄임이 분명한데도 이를 부정한다. 이는 이 사건이 시사하는 바를 외면하는 것이다.

Rick&Brenda Beerhorst, “you are not listening”, CC BY https://flic.kr/p/axXBSs
Rick&Brenda Beerhorst, “you are not listening”, CC BY

나트륨 과잉 섭취와 여성혐오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가 고혈압의 원인이라는 언론 보도를 보고 많은 사람은 소금을 덜 먹어야겠다고 생각하고, 그중 일부는 실제로 음식 간을 싱겁게 한다. 물론 그런 보도를 보고도 이렇게 말하는 이들이 있다.

‘음식 좀 짜게 먹는다고 금방 죽는 거 아니다.’

‘옛날 사람들은 지금보다 더 짜게 먹고도 잘만 살았다.’

그런 사람들은 나트륨 섭취와 고혈압이 무슨 관계이든 자기는 늘 먹던 대로 짜게 먹겠다고 하는 것이다.

강남역 살인 사건을 두고 “남자도 칼 맞아 죽을 수 있는데 왜 남성 혐오 부추기냐?”는 댓글을 다는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혐오가 심각하든 말든 자기는 지금껏 살던 대로 여성을 혐오하며 살겠다고 당당히 밝히고 있다. 강남역 살인 사건이 여성혐오 범죄가 아니라는 반응은 한국 사회에서 여성혐오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준다.

강남역 살인 사건이 여성혐오 범죄가 아니라는 인식이야말로 여성혐오에 닿아 있다.

살인 증오 소녀 군인

 

관련 글

11 댓글

  1. 1. 한국은 99%가 여성혐오증에 지배하고 있는 여혐편향이다.
    2. 강남역 살인사건은 여혐범죄라는 생각만이 올바른 가치관이다.
    3. 이 사건에 이견을 제시하는 자는 여혐이다.

  2. 이 사건은 남자가 여자를 살해한 여혐 범죄이다.
    그러므로 남자는 잠재적 가해자다.
    아동학대 사건의 대부분은 부모가 저지르므로 모든 부모들은
    잠재적 아동학대자다. 그러므로 모든 부모들은 잠재적 범죄자다.

    중립성이 전혀 없음 -> 기사가 아님

  3. 여성혐오가 만연한 사회라는 점을 십분 인정하고 글을 읽더라도, 이번의 사건과 여성혐오가 어떻게 직접 관련되었는지는 당최 찾아볼 수가 없음.

    대체 어디 대학원에서 뭘 전공하는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글을 쓰고도 학위를 딸 수 있는 현실이 개탄스러움.

  4. 그래 이게 지겹다.
    남자들 잠재적 가해자 할 테니까 여자들도 잠재적 꽆뱀하고 끝내자.
    여성 프로파일러도 아니라는데 저런 개소리 자꾸 올아오다 없던 여성 혐오도 생기겠네.

  5. 공감합니다. 여성을 낮게 보는 생각과 시선은 암암리에 퍼져 있습니다. 이것이 정말로 나쁜 것인지 분간조차 못하고 있구요. 강남역의 추모를 하러 갔던 분들의 메세지는 여기에 대한 저항이었을 텐데 작금이 사태는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고만 있습니다.

  6. 오에오 / 추모를 정치적 활동으로 변질시켜놓고 추모입니까!! 정치적 활동이 니들이 여혐하는 만큼 우리도 남협 마음 것 하자 다같이 동참해라였으니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죠.

  7. 저는 굉장히 제 생각과 맞다고 생각했는데 댓글이…. 하아 여성혐오를 인정하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요?

  8. Soo / 무슨 여성혐오를 인정하나요? 범죄가 여성혐오 범죄라는 걸 인정하냐고요? 묻지마 살인이라고 생각을 하면 여협입니까? 왜 이견을 존중하지 못하죠? 올바른 교과서처럼 이것도 여혐이라고 인정해야만 옳습니까? 인터넷에 김치녀, 된장녀란 표현을 써서 멀쩡한 사람이 여혐에 물들어 조현증에 걸렸다고 믿고 싶으시면 그렇게 믿고 그리 생각하세요.

  9. 여성혐오를 여성에 폭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지로 생각하는데 그런 게 아니에요. 여성을 독립된 인격체로 보지 않고 여성은 이래야 한다라고 규정한다는 거죠. 가해자는 여성이 자기를 무시해서 범행했다고 얘기하잖아요. 그건 여성은 남성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생각이 바탕에 깔려있다는 얘기죠. 그리고 그 생각은 한 정신병자 혼자만의 것이 아니라 다른 많은 남성과 공유하고 있으므로 가능한 거고요. 누군가가 왕따를 당하는 상황과도 비슷하죠. 처음부터 느닷없이 왕따당하는 대상에 폭력이 이뤄지는 게 아니고, 집단 내에 왕따에 대한 공유 또는 묵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나서 구체적인 폭력으로 드러나는 거죠.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