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마라톤을 뛰기에는 너무나 허약한 존재라는 이유로 ‘달릴 수 있는 권리’를 박탈당해야 했던 시기가 있었다. 먼 옛날 옛적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일이 아니다. 1967년 4월 19일, 미국의 보스턴 마라톤 경기에 캐스린 스위처(Kathrine Switzer)가 261번이라는 번호를 달고 출전했던 그때가 그랬다.
- 여성이 뛰면 자궁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 다리가 너무 굵어진다는 이유로
- 가슴에 털이 자라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 여성은 올림픽에서마저 800m 이상 달릴 수가 없었다.
아래 사진에서, 그녀를 뒤에서 잡고 저지하려는, 까만 옷을 입은 남자는 이 대회 조직위원장 조크 셈플(Jock Semple)이고, 그녀를 방해하려는 사람들을 저지하고, 그녀의 옆에서 계속 뛰게끔 도와주는 사람은, 캐스린의 코치 알니 브릭스(Arnie Briggs)다.
이 사진 속에선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먼저, 캐스린 스위처에 한 해 앞서 바비 깁(Bobbi Gibb)이라는 여성이 번호표 없이 자신이 여성이라는 것을 숨긴 채로 3시간 21분이라는 기록으로 마라톤을 완주했다. 이를 보고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마라톤을 뛸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 브릭스 코치는 대륙 횡단 일주에서 알게 된, 뛰는 것을 좋아하고 실력이 있는 캐스린에게 보스턴 마라톤에 출전해 볼 것을 제안한다.
보스턴 마라톤 당일, 출발점에 선 캐스린에게 누가 이렇게 얘기한다.
“아니 캐스린, 립스틱을 발랐잖아?”
“난 항상 립스틱을 바르는데 그게 뭐가 문제라는 거야? “
“그럼 사람들이 네가 여자인 걸 모두가 알게 된다고, 그럼 널 뛰게 내버려 두지 않을 거야 그걸 얼른 지워! “
“난 절대로 내 립스틱을 지우지 않을 거야”
그렇게 출발한 캐스린이 6km 지점을 막 통과할 때 취재 차량 옆을 지나치게 되었고, 그들은 곧 마라톤 경기에 ‘여자’가 있음을 눈치챈다. 그리고 즉시 무언가 느낀 캐스린은 본능적으로 뒤를 돌아보았고, 곧 살면서 한 번도 보지 못한 증오로 뒤덮인 사악한 얼굴을 마주한다. 대회조직위원장이었던 조크 셈플이 카스린에게 달려들어 “이 경기에서 꺼져버려! 그리고 네 번호를 내 놔!”라며 어깨와 등을 잡아당긴 것이다.
그걸 본 그녀의 남자친구였던 톰 밀러(Tom Miller)가 그를 제지하며 바닥에 내동댕이치고, 옆에서 그녀의 코치 알니는 그녀에게 외친다.
“한 번도 달려본 적 없던 것처럼, 그렇게 달려! “
패닉에 빠진 캐스린은 스스로 자신에게 이렇게 묻는다.
‘내가 지금 포기하면, 더이상 사람들은 여성이 42km 혹은 그 이상을 뛸 능력이 있다는 걸 믿으려 하지 않을 거야. 내가 포기하면, 모든 사람이 이게 단지 눈길을 끌기 위한 광고였을 뿐이라고 생각할 거야.
내가 포기하면, 여성스포츠는 진보하기는커녕 더 퇴보하고 말 거야. 내가 포기하면, 난 다시는 보스턴 마라톤을 뛸 수 없을 거야. 내가 포기하면, 저 조크 셈플과 그와 같은 족속의 인간들이 기뻐할 거야.’
그리고 곧 캐스린의 두려움과 창피함은 분노로 바뀌어 갔다. 그렇게 한 해 앞서, 바비 깁이 번호표를 부여받지 못한 상태로 비공식 기록 3시간 27분의 마라톤 질주에 이어, 이듬해 캐스린 스위처는 4시간 20분이라는 기록으로 마라톤을 완주한다.
결승점에 도달한 캐스린을 기다리고 있던 건 기자들의 ‘연발 미사일’ 질문들이었는데, 그들이 마지막에 던진 질문은 마치 오늘날 여성 인권을 말하기만 해도 “너 메갈이야~?”라는 질문으로 사상 검증을 하려는 시도와 일맥상통한다.
“당신은 ‘서프러지스트'[footnote]서프러지스트(suffragist): 여성 참정권론자, 참정권 확장론자. [/footnote]입니까? “
” 네? 우리는 이미 1920년에 투표권을 얻었고 지금은 1967년이에요!”
이후 캐스린은 미국 선수연합에서 제명이 됐고, 이렇게 회고했다.
“내가 마라톤 도착지점을 넘는 순간, 나는 이게 내 삶의 전투가 되리라는 걸 직감했다.”
그리고 1972년, 조크 셈플 보스턴 마라톤 조직위원장은 스스로 여성의 마라톤 출전을 허용한다.
남성에게 당연하게 주어진 모든 분야에서의 권리를, 여성은 이렇게 오랫동안 천천히 하나하나씩 그들의 권리를 투쟁을 통해 쟁취를 해왔다. 첫 여성의 투표권이 그랬고, 첫 여성의 달릴 수 있는 권리가 그랬고, 첫 여성의 운전면허 소유 허용과정이 그랬고, 첫 여성 변호사의 탄생이 그랬다.
그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따라붙는 남성들의 모욕과 여성이 느끼는 두려움, 공포, 창피함은 분노로 승화되어 어떤 사명감을 느끼게 한다. 나도 반드시 네가 가지는 그 당연한 자유를 가지고 말 거라는. 그렇게 나의 개별적 경험과 삶은 모든 여성의 전투가 되는 것이다.
느리지만, 결코 뒤로 가지는 않는다. 그렇게, 우리는 진보한다.
[box type=”note”]이 글은 ‘여성 마라토너: 캐스린 스위처가 여성의 달릴 권리를 부여했을 때’(원제: ‘La marathonienne : quand Kathrine Switzer donnait le droit de courir aux femmes’,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Amandine Schmitt 기자)라는 기사를 번역한 내용에 바탕해 필자의 의견과 논평을 더한 글입니다. (편집자) [/box]
An excellent article. Conferences on information. 527017460
An excellent article. Conferences on information. 53266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