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box type=”note”]사회에 선물이 되는 비즈니스를 하는 ‘산타 회사’. 필자는 [산타와 그 적들]에 다양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비영리단체, 소셜벤처 등 우리 사회의 산타들이 만들어내는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그 가운데 일부를 독자와 나눕니다. (편집자)[/box]

1976년, 안과의사 고빈다파 벤카타스와미(Govindappa Venkataswamy), 일명 ‘닥터 V’가 58살의 나이로 은퇴했을 때 인도의 시각장애인은 1,200만 명이 넘나들고 있었다. 이들 중 80% 이상은 가난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시력을 잃었다. 실명을 피할 수 있는 상태인데도 가난한 사람들은 돈이 없어 시력을 잃어야 했다. 바로 그 ‘피할 수 있는 실명’을 없애는 데에 은퇴한 노의사는 여생을 바치기로 결심했다.

아라빈드 안과병원의 사명: 불필요한 실명을 없애기 1

닥터 V에게 영감을 준 사람은 인도의 전설적인 철학자인 스리 오로빈도(Sri Aurobindo)였다. 스리 오로빈도는 ‘인간이 신성한 삶을 목적으로 삼고 이를 향해 실천해야 한다’고 설파해 인도의 많은 지식인에게 지대한 영향을 준 철학자였다.

대출을 거부당한 닥터 V

닥터 V는 시각장애로 고통을 받고 있는 수많은 인도인을 위해 일하고자 하는 자신의 신념을 실천하기로 했다. 그러나 어떤 은행도 그에게 대출해주지 않았다. 은행 관계자들은 말했다.

“당신은 너무 나이가 많아요.” (You are too old,)

“당신은 지금 돈을 낼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공짜 수술을 하겠다는 거잖아요. 당신은 펀딩을 받을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You are prepared to operate for free on patients who cannot pay. You don’t have a business model we can fund.)

출처: 허핑턴포스트- An Infinite Vision: The Story of Aravind Eye Hospital (2012년 12월 5일)

아라빈드 안과병원의 사명: 불필요한 실명을 없애기 2

아라빈드 안과병원의 사명: 불필요한 실명을 없애기 3

아라빈드 안과병원의 사명: 불필요한 실명을 없애기 4

닥터 V는 다시는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지 않기로 결심했다. 그는 하버드대학에서 안과 교수로 근무하던 여동생 낫치아르와 손잡고 동생과 함께 사는 집에 침상 12개를 놨다. 가족이 가진 모든 보석을 담보로 잡혀 운영비를 구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안과병원 아라빈드(Aravind Eye Care System)는 이렇게 해서 인도 남부 타밀나두 주 작은 도시 마두라이에서 문을 열게 됐다.

아라빈드 안과병원 로고

아라빈드 안과병원 개원 그러나 여전히 비싼 수술비

첫 2년 동안은 주변의 도움을 받아 소득이 낮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시력을 되찾아주는 의술을 펼쳤다. 닥터 V와 동생은 자신의 힘으로 더 많은 사람을 돕고 싶었다. 이들은 1층에 유료병원을 세워 그 이익으로 나머지 5개 층에서 무료 수술을 하기 시작했다.

전부 무료는 아니었다. 1/3 환자들로부터 정상적인 요금을 받았다. 나머지 2/3 환자들에게 무료로 진료를 제공했다. 이렇게 하니 기부금 등 외부의 도움은 더는 필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더 많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 시술을 하려면 비용을 낮추는 것이 관건이었다. 당시 인공 수정체를 써야 하는 백내장 수술에 드는 돈은 100달러. 한 사람당 국민 소득이 430달러(OECD 1980년 기준)인 인도에서 돈을 이만큼 낼 수 있는 사람은 절반도 되지 않았다.

닥터 V는 미국 여행길에 맥도널드 시스템을 보고 표준화된 분업화 시스템을 고안했다. 햄버거의 대량생산을 위해 도입된 맥도널드의 컨베이어벨트 방식 업무처리 시스템을 안과 수술에 도입한 것이다. 우선, 최종 진단을 제외한 단순한 의료검사에는 임금이 낮은 인력을 배치했다. 또,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은 침상 위에 한 명씩 일렬로 눕히고 미리 수술 준비를 해놨다. 수술대 사이에는 360도 돌아가는 커다란 현미경을 놓아 의사가 환자 한 사람을 수술하고 나서 바로 현미경을 돌려 다음 환자를 수술할 수 있게 했다. 이렇게 하니 고급인력인 집도의들이 낭비하는 시간 없이 반복적으로 더 많은 수술을 할 수 있었다. 수술비용도 낮아졌다.

인공 수정체 가격을 낮춘 오로랩

오로랩 로고인공 수정체 가격을 낮춘 건 다른 사회적기업가였다. 1992년 미국 아소카 재단의 지원을 받은 사회적기업가 데이비드 그린이 세운 ‘오로랩’(Aurolab)은 한 벌에 150달러 하던 인공 수정체를 단 10달러로 낮추는 데에 성공했다. 최고의 품질은 아니었지만, 비용은 1/15로 줄일 수 있었다. 덕분에 아라빈드는 다른 병원이 쓰는 비용의 20% 남짓한 돈으로 백내장 수술을 할 수 있게 됐다. 대신 유료고객들을 위해서는 최고급 서비스를 개발해 제공했다.

아라빈드 안과병원의 의사들은 백내장 수술에 있어선 세계 최고의 기술로 올라섰다. 훈련센터와 임상경험이 의사의 실력을 높였다. 여느 병원에서는 의사 한 사람이 한 해에 백내장 환자 250~400명을 수술하는데, 아라빈드에서는 의사 한 사람이 한 해에 백내장 환자 2,000명을 수술한다. 인도 전체 안과 인력의 1%도 안 되는 아라빈드의 의사들은 인도 전체 백내장 수술의 5%를 해낸다. ([세상을 바꾼 비이성적인 사람들의 힘] 중 재인용)

아라빈드 안과병원의 사명: 불필요한 실명을 없애기 5

아라빈드 안과병원의 사명: 불필요한 실명을 없애기 6

이 병원의 한쪽엔 명성을 듣고 찾아온 유료 환자들로 붐볐다. 다른 한쪽엔 무료수술을 받으려는 가난한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섰다. 매일 1,200여 명의 환자가 찾아왔다. 의사들은 매일 200여 건의 수술이나 시술을 했다. 36년 동안 아라빈드 안과에서 3,200만 명이 진료를 받았고, 그중 400만 명이 공짜로 혹은 보조금으로 수술받았다.

성공비결 = 맥도널드식 대량생산시스템 + 이익금 모두 재투자

12개의 침상으로 시작했던 아라빈드 안과는 7개의 병원과 50개의 시력관리센터를 지닌 대형 전문병원으로 성장했다. 수익성도 높다. 2008년 영업이익률은 40%를 넘어섰다. 고성장산업의 유망기업도 달성하기 어려운 이익률이다.

성공 포인트는 크게 두 가지다. 수술 과정에 맥도널드식 대량생산시스템의 원리를 적용하고, 저렴하게 개발된 인공 안구를 사용해 가치 창출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혁신적으로 줄였다. 저품질의 정크푸드를 실어 나르던 시스템에 아라빈드는 고품질의 안과 서비스를 실어 올려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한 것이다.

또 하나. 각종 이익 배당은 금지하고 이렇게 확보한 이익 잉여금은 모두 병원 확장, 의료장비 구입, 의료인 추가 고용 등 재투자에 썼다. (출처: 라준영 –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모델)

가난한 환자에 대한 저가 진료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부자 환자한테 더 큰 비용을 청구하는데도 부자 환자들이 반발하지 않는 건 이 병원이 낸 이익이 사유화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이 아라빈드 안과가 좋은 병원을 넘어 위대한 병원이 된 이유이기도 하다.

[box type=”info”]
참고로 한국인이 가장 많이 받는 수술 중 하나도 백내장 수술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개하는 ‘주요수술통계’ 중 ‘다빈도 수술질환별 순위’를 보면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수술 건수 1위가 바로 노년 백내장이고 기타 백내장도 매년 순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1년 노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345,742건(1위)이고 기타 백내장 수술 건수는 60,393건(5위)입니다.

참고로 2011년 대한민국 수술 건수 1~20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편집자)

[table id=6 /]
[/box]

[divide style=”2″]

timthumb.php_

[산타와 그 적들](2013, 굿모닝미디어), 103~107페이지 발췌
다음 책알라딘  ㅣ 교보문고  ㅣ 예스24

관련 글

3 댓글

  1. 얼마전 무료 진료가 위법이라고 최소한의 비용을 받으라고 했던 기사가 생각나네여. 제 시골고향에선 노인들을 위해 셔틀버스를 운행하던 병원이 철퇴를 맞아 문닫았더라구여. 둘 다 모두 가만앉아 돈벌고 싶은 의사들이 서비스를 행한 의사들을 칼질한 경우였습니다. 우리나라엔 인도보다 적이 많은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2. 환자에게 돈을 받지 않는 행위는 봉사활동이 아니라면 불법입니다. 즉, 환자에게는 돈을 받지 않으면서 건강보험공단에서 청구해서 보험금만 받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환자유인행위로 보아 처벌합니다. 이는 불필요한 의료이용 과다에 의한 건강보험재정의 누수를 막기 위한 장치입니다. 공짜로 치료해주고 셔틀버스 돌리던 병원이 착해서 그런게 아니라 환자가 병원을 많이 찾도록 유도해서 박리다매로 돈을 벌려고 했던겁니다. 다른 의사들이 칼질한게 아니라 법이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 이게 싫으면 법을 고치는 운동을 하시던지 강제 의료보험제도를 거부하는 운동이라도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의사들이 맘대로 가난한 사람에게는 공짜로 해주고 부자에게는 비싼 치료비를 받을 수도 있고 셔틀버스를 돌릴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저 병원은 현 인도 상황에서 대단한 것은 틀림이 없는 것 같습니다.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