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지난 29일, 전국 매장 600여 개가 넘는 도넛 브랜드 ‘던킨도너츠’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만들어진다는 제보 영상이 KBS 보도를 통해 공개되었다. 공개된 영상에서는 기름때가 낀 환기장치 아래 방치된 밀가루 반죽, 설비에 묻어있는 검은 물질 등이 포착되면서 비위생적 제조 공장이 도마에 올랐다.

던컨도너츠 공장의 비위생적인 제보 영상을 '단독' 보도한 KBS 뉴스9 (홈페이지 해당 기사 캡쳐)
비위생적인 던킨도너츠 공장 제조 환경 제보 영상을 ‘단독’ 보도한 KBS 뉴스9 (홈페이지 해당 기사 캡쳐 갈무리)

던킨도너츠 측은 사과문을 게재했지만, 같은 날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영상 조작 정황이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또한, 특정 날짜와 시간이 찍힌 CCTV를 공개하고 관계자라면 공익신고자가 누구인지 유추할 수 있게끔 유도했다. 결국, 관계자 발로 제보자의 신분이 언론에 공개되었다.

이후 다수의 언론에서 던킨도너츠 사측이 발표한 입장을 그대로 받아쓰며 해당 공익신고자의 신분을 노출시켰다. 이에 더해 공익 신고자의 신분을 강조하며 ‘고의’, ‘영상 조작’, ‘자작극’ 등 자극적이고 폄하적인 단어를 함께 사용했다. 이번 사건이 누군가가 의도를 갖고 조작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과 달리 식품의약안전처 조사 결과 던킨 안양 공장 식품 및 위생 취급기준 위반사항이 적발됐다. 추가로 진행된 전국 4개 공장 조사 결과 위생관리 미흡 문제가 추가로 적발됐다. 대기업 시각을 대변해왔던 보수지, 경제지가 이번 사안에서도 그들의 입장만 보도하며 식약처 조사 결과는 외면하고 있다. SPC 그룹이 제기한 ‘조작설’을 검증하고 시민들의 피해가 없는지 밝혀내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언론이 되려 SPC 그룹의 주장을 충실히 전달하며 ‘조작설’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 것이다.

"던킨 식약처 4개 공장 조사 결과"를 키워드로 조선일보 사이트를 구글 검색했지만, 관련 기사는 발견되지 않았다. (2021. 10. 7. 오후 5시 기준, 편집자)
“던킨 식약처 4개 공장 조사 결과”를 키워드로 조선일보 사이트를 구글 검색했지만, 7일 전 던킨 입장을 ‘받아쓰기’한 기사만 검색될 뿐, 식약처 조사 결과를 전하는 기사는 발견되지 않았다. (2021. 10. 7. 오후 5시 기준, 편집자) 한국경제도 해당 소식을 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검색되지 않음). 참고로 서울경제는 해당 소식을 전했고, 매일경제는 연합뉴스 기사를 전재하는 방식으로 식약처 조사 결과를 전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그들의 주장을 싣기 위해 확인도 거치지 않고 공익신고자에게 ‘제보 조작’이라는 낙인을 씌운 것이다. 또한, 공익신고자는 ‘공익신고자 보호법’에 따라 그의 인적사항이나 그가 공익신고자등임을 미루어 알 수 있는 사실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거나 공개 또는 보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뿐만 아니라 신문윤리실천요강 제5조 1항에서 취재원의 안전이 위험하거나 부당하게 불이익을 받을 위험이 있는 경우 그 신원을 밝혀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매일경제는 보도 내용에 공익신고자의 직책을 그대로 기재하였다. 공익신고의 의미를 언론 스스로 퇴색시키고 있는 건 아닌지 되돌아봐야 한다.

이번 사안은 대기업 식품 위생관리에 대한 것이다. 대기업의 위생 관리 문제를 짚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보도를 하는 것이 언론의 역할일 것이다. 언론이 공익신고자를 보호하고 공익신고 내용을 검증 후 보도하는 것은 권력에 대한 감시를 이어지게 해 건강한 시민사회를 만들 것이다. 언론은 공익신고자에 대한 공격과 노조와의 갈등으로 프레임을 짜는 행태를 멈추고 공익을 위한 진정성 있는 보도를 해야 할 것이다.

던킨도너츠 (로고에 이미지 합성)
던킨도너츠 (로고에 이미지 합성)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