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 type=”info”]애플-삼성 소송전을 둘러싼 오보를 서술하는 이 글에서 한국경제가 다른 경제지들과 같이 가판에서 오보를 낸 것으로 기술됐지만, 이는 사실과 달라 바로잡습니다. 해당 매체와 담당 기자에게 사과 말씀 드립니다. 죄송합니다. 독자 여러분께도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 그리고 특히 오보를 지적하는 글에 오보가 있었다는 점에 진심으로 사과 드립니다. – 엔디 올림[/box]

애플과 삼성은 소송 중

‘콧대 높은 애플, 삼성에 백기?’

한 경제신문의 기사 제목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둘러싼 소송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한 애플이 “우리가 특허 사용료를 줄테니 소송 합의하자”고 삼성전자에 제안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국내 기업이 ‘혁신의 아이콘’ 애플을 상대로 한 특허 소송전에서 사실상 이겼다는 희보를 전한 이 기사는, 그러나 더이상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없다. 대신 이 기사의 수정판인 ‘손 내미는 애플…뿌리치는 삼성‘이라는 기사가 걸려 있다. (기사 제목과 내용은 바꿨지만 실수인지 HTML 페이지의 제목은 바꾸지 않았다.)

고친 기사는 원래 기사와 정확히 180도 반대다: 애플이 삼성전자와 모토로라에 “너희가 특허 사용료를 주면 소송 합의해줄게”라고 제안했다는 내용이다.

이 경제신문만 그런 것은 아니다. 매일경제도 3월 8일자 가판(전날 저녁 배포)의 내용이 시내판(그날 아침 배포)에서 바로잡히는 과정을 겪었다.

이 기사를 처음 쓴 것은 미국 다우존스 뉴스와이어다. 그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받아 썼고, 국내 매체는 대개 다우존스나 WSJ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기사를 썼다. 일부는 출처도 정확히 밝히지 않고 ‘외신 등에 따르면’이라고 쓰기도 했지만 내용을 보면 원 출처는 다우존스가 확실하다.

다우존스 기사는 현지시각으로 6일 낮에 송고된 것으로 돼 있다. 한국시간으로는 7일이 된다. 현재 포털 사이트에 게재된 기사만으로 보면 국내에서는 머니투데이가 가장 빨리 보도했고, 이데일리가 곧이어 그 뒤를 따랐다. 두 매체가 나란히 오보를 내면서 다른 인터넷 매체들도 이들의 오보를 베낀 셈이 됐다.

이데일리는 한술 더 떠 “애플의 전격적인 제안으로 삼성은 7일 오전내내 긴급 임원회의를 소집했다”고 쓰기도 했지만, 삼성은 이를 부인했다. (7일은 정례적인 삼성의 수요사장단회의가 있는 날이기도 하다.) 오히려 삼성은 화해 무드 보도와는 달리 애플을 상대로 추가 소송을 제기했다.

어째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보다 빨리 기사를 송고해야 한다는 압박 때문이다. 경쟁 매체보다 단 1초라도 빨리 기사를 써야 한다. 기사 내용이 틀리면? 나중에 수정하면 된다. 아니 어쩌면 수정 같은 건 필요없다. 지난 기사는 아무도 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속보 경쟁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오보 경쟁이 되고 만다.

특히 삼성전자와 애플의 특허 소송 관련 기사는 이른바 ‘핫’한 기사다. 정보기술(IT)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꼭 챙겨보는 기사이기도 하고, 포털의 뉴스 편집에서도 상위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종합 일간지나 경제지의 지면에도 잘 실린다. 안 그래도 속보 경쟁 무한도전을 벌이는 기자들은 이 소송전과 관련한 기사는 속도에 더 신경쓸 수밖에 없다.

오보는 있어서는 안 되지만, 사실 없을 수도 없다. 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다. 그러나 취재를 통한 보도도 아니고 외신을 전하는 기사에서 중요한 사실을 정반대로 전하는 것은 분명 문제다. 게다가 이번 오보 사태는 머니투데이·이데일리 등 경제전문 인터넷 매체에서 대형 경제신문까지 집단적으로 냈다는 점에서 더 큰 문제다. 언론을 지탱하는 어떤 체계가 무너져 있다는 걸 뜻하기 때문이다.

빠르다고 과연 항상 좋은 걸까?

이런 속보 경쟁은 기사 검증 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매체가 늘어나면서 더욱 심해졌다. 일부 매체는 기업체나 홍보대행사가 보낸 보도자료를 그대로 긁어서 기사로 내기도 한다. 때로는 실수로 홍보담당자의 첨언이나 연락처가 기사에 딸려 들어가는 ‘사고’도 벌어진다. IT나 연예 분야에서 특히 그런 매체가 많이 눈에 띈다.

뉴스news라는 말이 본래 새로운 것이라는 뜻이므로 보도의 ‘빠르기’는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빠르기가 뉴스에서 중요한 가치라면 ‘바르기’는 뉴스의 필요조건이다. 느린 뉴스는 다른 가치에 집중할 수 있지만 틀린 뉴스는 아무런 가치가 없다. 아니 오히려 틀린 뉴스는 가치가 마이너스다.

언론 매체가 늘어나면 다양한 여론의 언로가 트여서 말의 민주주의가 더욱 잘 보장될 것이라는 게 일반적 기대다. 하지만 지금처럼 속보 경쟁에만 내몰려 오보경쟁으로 치닫는 상황에서는 그런 걸 기대하기도 어렵다. 똑같은 기사를 누가 먼저 쓰는지만 두고 경쟁하기 때문이다. 그런 매체는 100개가 있어도 소용이 없다.

이제 잠깐 숨을 고를 필요가 있다. ‘슬로우뉴스’는 그런 매체다. 숨을 고르고, 가치 있는 기사를 고르고, 기사 속의 ‘팩트(fact)’를 고른다. 어떻게 보면 ‘슬로우뉴스’라는 말은 그 자체가 모순이다. 하지만 ‘침묵의 소리(The Sound of Silence)‘나 ‘산문시(散文詩)’라는 모순어법 속의 가치를 우리는 알고 있다.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