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객차에서 장애인 아들과 비장애인 아버지를 보았다. 건장한 성인 체격의 아들은 천진난만한 어투로 목청껏 떠들고 크게 웃었다. 주변의 눈길이 일제히 쏠렸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조금만 작게 말해달라고 타일렀다. 자상한 눈빛이었다. 부자지간의 대화가, 그들의 외출이 자연스러워 보였다.
나는 그 아버지를 따라가고 싶었다. 직업 정신인데, 무수한 이야기가 깃든 얼굴, 자기 정리가 된 듯 편안한 기운에 끌렸다. 어떤 일로 웃는지, 속상한지, 불편한지, 실망하는지, 어떻게 기운 차려 하루를 살아가는지 궁금했다. 대중매체에 소개되는 동정과 차별의 대상인 장애인 말고 다른 이야기들, 지하철 한 칸에 섞여 타는 동료 시민으로서, 애 키우는 같은 부모로서 사는 이야기를 듣고 싶었다.
나의 부모님도 장애인 아들을 두었다. 오빠가 삼십대 초반 급작스러운 질병으로 장애를 얻었다. 신앙심 깊고 인정 많은 엄마는 평소 약하고 병든 이를 도와야 한다고 말했지만, 막상 당신의 아들이 ‘사회적 약자’가 되자 크게 절망했다. 엄마에게 장애인은 동정의 대상이지 인정의 실체가 아니었다.
아버지는 병실에 있는 사람들에게 늘 이렇게 설명했다. “얘가 ○○대를 나왔는데 이렇게 됐다.” 그런 말을 하는 아버지가 나는 민망하고 애처로웠다. 그건 장애인이라는 ‘비정상성’의 노출을 학벌 자원이라는 ‘정상성’의 외투로 가려보려는 안간힘 같았다. 장애인은 못 배우고 가난하고 불행하다는 편견의 그물에 두 분 스스로가 휘적휘적 발이 걸려 넘어지고 상처 입었다.
자유기고가로 일하며 난 장애인과 자주 만났다. 기업체 사보와 공공단체 기관지에서는 ‘소외된 이웃’을 향해 손길을 내미는 사회공헌 활동이 단골 메뉴다. 장애인 학교 체육대회에 취재를 갔을 때다. 그날 만난 학부모가 저녁에 전화를 걸었다. 아이가 학교를 졸업하면 모든 지원이 끊기고 다닐 곳이 없다고, 아무 힘 없는 ‘문필 하청업자’인 내게 이십여 분을 하소연했다.
청각장애인 영화감독을 만났을 때는 노트북을 사이에 놓고 한줄 한줄 질문과 대답을 입력해가며 필담을 나누었다. 듣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는 이들의 창작 작업을 상상하고 기록했다. 뇌병변 장애인 인터뷰에선 활동보조인이 통역을 도와주었다. 더치커피처럼 한 단어씩 느리게 떨어지는 말들을 난 처음 맛보는 커피처럼 찬찬히 음미했다. 글쓰기 수업에서 만난 긴 생머리의 여성 학인은 자기를 이렇게 소개했다. 걸레 짤 힘도 없이 손목이 아플 때가 많아서 서류에 자신을 장애인으로 표시한다고.
‘장애인 페미니스트’ 해릴린 루소(Harilyn Rousso, 사진)는 [나를 대단하다고 하지 마라]에서 자기 이야기를 속 시원하게 풀어놓는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고작 몇 층 이동하는 동안에도 익명성을, 잠깐의 고요를 누릴 권리가 없는 불편을 토로한다. 구조적 문제도 놓치지 않는다.
“내가 살면서 부딪히는 수많은 문제의 근본 원인은 장애 자체가 아니라 장애에 대한 사람들의 부정적인 태도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관계는 관점을 결정한다. 일과 책으로 장애인의 언어를 접하며 내 편견은 서서히 무너졌다. 존재의 이해도가 높아졌다. 정상적인 삶이 아무 문제 없다는 뜻이 아니라면, 장애인이 처한 곤란을 정확한 도움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계는 매우 임의적인 것인지도 모른다.
장애 대부분은 극복할 수 없다고 들었다. 사실 비장애인도 평소 뭘 그리 극복하고 살지 않는다. 해릴린 루소 말대로 “장애에도 불구하고가 아니라 장애가 있어도 얼마든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에선, 비장애인도 닦달당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사회였다면 우리 부모가 그토록 절망했을까.
지하철에서 목청이 커지는 장애인을 만나면? 장애인이 ‘극복’할 수는 없지만, 비장애인이 ‘수용’할 수는 있을 것이다. 짜증 내지도 힐끔거리지도 못본 체하지도 않으면서 익명성의 권리를 존중하는 기술은, 대부분 관계의 문제가 그렇듯 내가 풀어야 할 몫 같다. 그래서 난 뭐에 끌린 듯 아버지를 따라가고 싶었나 보다.
[box type=”note”]이 글은 필자가 ‘한국방송통신대학보’에도 기고한 글입니다. 슬로우뉴스 원칙에 맞게 편집해 발행합니다. (편집자) [/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