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조우성 법률 에세이

사람마다 지문이 다르다. 지문이 같은 사람이 없다는 점을 떠올려보면 우리는 모두 개별적이고 특별한 존재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렇듯 지문조차 서로 다를진대, 생각이 같을 수 있겠는가.

그런데도 우리는 ‘뻔하지 뭐, 그 속을 내가 모를 줄 알고?’라며 쉽게 넘겨짚곤 한다. 많은 갈등이 이러한 오해와 속단 때문에 발생한다. 상대방이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 진지하게 탐색해보지 않으면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 질문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았는데 답변이 제대로 될 리가 있겠는가.

[divide style=”2″]

변호사 5년 차이던 시절, 그러니까 지금부터 15년 전의 일이다. 당시 몸담은 로펌의 배려로 나는 모 대학원 최고 경영자 과정에 입교했다. 다양한 경영자들을 만나면 우리 로펌을 알리고 새로운 의뢰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주일에 한 번씩 강의를 듣고 별도로 회합을 여는 식으로 진행됐다.

박 사장의 고민: 연봉 30% 인상 요구한 최 과장  

강의 시작 전에 저녁 식사 자리가 펼쳐졌다. 우리 테이블에는 다섯 명이 자리를 잡았는데 나 말고는 전부 회사 CEO였다. 그중 중소 규모 IT 기업 박 사장이 고민을 털어놓았다.

“내년 연봉 협상을 하고 있는데, 가장 똘똘한 친구 하나가 대폭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 골치가 아픕니다.”

박 사장이 데리고 있는 최 과장은 성실한 프로그래머로서 실력도 출중해서 늘 흡족하게 생각하는 직원이다. 올해 연봉이 3,500만 원이었는데, 박 사장은 내년에 10% 정도 인상해줄 요량이었다. 박 사장 회사는 팀제가 아니었다. 프로그래머 개인이 프로젝트를 맡아 독자 수행하고 있었기에 굳이 연공서열을 따지지 않고 성과에 따라 사장 재량으로 연봉을 책정하더라도 분란의 소지가 크지 않은 독특한 구조였다.

남자 사람 직장인 회사원

1차 연봉 협상 석상에서 최 과장은 전년 연봉 대비 30% 인상을 요구했다. 최 과장은 최근 몇 년간 연봉 협상 때 별다른 요구를 하지 않았기에 박 사장은 의외라 생각했다. 최 과장이 물론 일을 잘하지만 30%를 올려주면 조직 관리 차원에서 문제가 생길 것 같았다. 더 자세히 이야기해봐야 서로 감정만 상할 것 같아 일단 며칠 뒤에 다시 얘기하기로 했단다.

30%

“그 친구 요구를 들어주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 과장은 우리 회사에서 곡 필요한 인재거든요. 협상을 잘해야 할 텐데. 여러 선배님, 이럴 땐 어떻게 하는 게 좋은가요?”

윤 사장이 말했다.

“박 사장은 10% 인상을 생각하고, 최 과장은 30% 인상을 요구하니 결국 중간점인 20% 정도에서 만나야 하지 않을까요?”

박 사장은 난색을 표했다.

“20% 인상도 무리입니다. 돈 가지고 이 친구랑 밀고 당기는 일이 벌어질 줄 몰랐네요.”

“연봉 협상이 다 그렇지 뭐. 결국, 다 돈이야 돈. CEO한테는 이 문제가 가장 어렵습니다.”

절망 실망 남자 사람 인간 고민

황 사장의 조언, “뭔가 사정이 있는 듯한데요?” 

우리 테이블에서 가장 연장자인 황 사장님이 박 사장에게 물었다.

“박 사장. 최 과장이라는 친구는 왜 연봉을 올려달라고 하던가요?”

“네? 뭐, 이유야 뻔하지 않을까요? 회사에 기여한 바 있으니 대우를 해달라는 거겠죠.”

“구체적으로 왜 연봉을 더 올려달라는지 안 물어봤죠?”

“직원이 돈 더 달라는 이유는 뻔한 듯해서 물어볼 필요성을 못 느꼈습니다. 괜히 피차 더 어색해질 것도 같고요.”

“박 사장. 최 과장은 원래 연봉에 대해 까다롭지  않았다고 했지요? 그런데 이번에 30%나 인상을 요구하는 걸 보니 뭔가 사정이 있는 듯한데요?

경쟁사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거나, 아니면 집에 갑자기 돈이 필요하거니, 그도 아니면 친구가 비슷한 일을 하는데 이번에 연봉 수준을 비교해보고는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 더 달라고 할 수도 있고. 뭔가 이유가 있지 않겠어요?”

노인 지혜 사람 남자

황 사장이 그렇게 설명하자 박 사장도 고개를 끄덕였다.

“10%니 30%니 숫자만 가지고 밀고 당기면 협상이 팍팍해집니다. 그러지 말고, 왜 연봉 인상을 요구하는지 최대한 편안한 분위기에서 물어봐요. 거기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뜻밖의 얘기를 들을 수도 있어요. 그 친구를 꼭 붙잡고 싶으면 그렇게 해봐요.”

박 사장은 고개를 끄덕이더니 그렇게 해보겠다고 했다.

최 과장의 ‘숨겨진’ 사연 

며칠 뒤 박 사장이 내게 전화를 해왔다. 법적으로 한 가지 물어볼 게 있단다. 박 사장은 최 과장과 나눈 대화 내용을 먼저 알려주었다. 박 사장은 두 번째 협상 석상에서 분위기를 최대한 부드럽게 끌고 갔다. 그동안 최 과장이 얼마나 회사를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했는지 잘 알며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조심스레 물었다.

“혹시 최 과장 집에 무슨 일이라도 있나?”

최 과장은 잠시 머뭇거리더니 사연을 말했다. 최 과장은 초등학교 4학년 딸아이 때문에 고민이 많았다.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왕따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최근에야 알게 되었던 것이다. 최 과장 부부는 딸이 그동안 힘들었음에도 내막을 몰랐다는 점 때문에 자책했다. 담임선생님과 의논해본 결과 왕따를 주도한 친구들이 여러 명이라 선생님이 주의를 줘도 왕따 문제는 재발할 우려가 커서 아무래도 전학이 최선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초등학생 울다 소녀 사람 꼬마 아이 어린이 우는 소녀

최 과장 부부도 아이를 계속 이 학교에 보내기는 적절치 않다고 생각했다. 다만 전학을 가려면 이사를 해야 하는데 옮겨야 할 집의 전세금이 지금보다 2,000만 원가량 더 높았다. 대출로 해결해야 하는데, 아무래도 이래저래 돈이 많이 들어갈 상황이라 최 과장은 기존 연봉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했고 만약 연봉 인상이 충분치 않으면 전직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회사 연대보증을 제안한 박 사장 

박 사장은 최 과장을 위로하면서 가만히 생각해보았다. 어차피 최 과장은 대출을 통해 전세 자금을 마련한다고 하는데, 회사 주거래 은행을 통하면 훨씬 좋은 조건으로 대출할 수 있을 듯했다. 경리팀을 통해 알아보니 회사가 연대보증을 선다면 최저 금리로 대출할 수 있다는 답변을 들었다.

다만 회사가 아무 이유 없이 최 과장의 대출 채무에 대해 연대보증을 서준다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을 듯해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내게 문의한 것이다.

나는 회사와 최 과장이 계약서에 다음 내용을 포함하면 될 거라고 조언했다.

  1. 회사가 최 과장의 은행 대출금에 대해 연대보증을 한다.
  2. 단, 최 과장은 이에 대한 담보로 나중에 대출금을 갚지 못할 경우, 또는 이자를 내지 못할 경우 자신의 임금이나 퇴직금과 대출 연체금을 상계 처리한다.

박 사장은 이렇게 말했다.

“최 과장에게 당장 필요한 돈이 전세금 차액 등을 포함해서 2,500만 원 정도인데 사실 30% 연봉 인상으로 1년에 1,000만 원 더 받는다고 해서 당장 문제가 해결되진 않잖아요. 연봉 더 주는 회사를 당장 찾기도 쉽지 않고. 더구나 우리 회사에서 어느 정도 기반을 잡아놓았는데 그걸 날려버리자니 본인도 부담스러워하더라고요. 그래서 대출을 알선해주는 쪽으로 얘기했는데 본인도 반가워하더군요.”

악수

나도 딸을 키우는 처지에서, 최 과장이 얼마나 마음고생을 할까 싶어 공감되었다. 마침 내 의뢰인 중에 학생 심리 상담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분이 있어 통화해봤더니 바로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맞춤 클리닉 상품이 있다고 했다. 부모와 아이가 같이 와서 상담을 받는 방식으로 한 번에 15만 원씩 총 45만 원인데, 내가 소개했으니 30만 원만 받겠다고 했다. 클리닉에 관해 설명했더니 박 사장은 고맙다며 개인적으로 돈을 낼 테니 소개해달라고 했다.

박 사장은 최 과장에게 클리닉을 알려줬다. 최 과장은 그런 클리닉이 있다는 사실조차 몰랐다면서 박 사장이 시키는 대로 부부가 딸아이를 데리고 그곳을 방문했다. 최 과장 부부는 클리닉을 다니면서 딸아이의 고민이 무엇인지, 어떤 꿈을 가졌는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왕따의 경험은 아픈 일이었지만 이를 계기로 가족이 서로를 더 잘 알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말하는 것은 지식의 영역, 듣는 것은 지혜의 영역 

2주 후 최고 경영자 과정 모임에서 박 사장이 후일담을 얘기했다.

“휴~ 최 과장 부인이 제게 편지를 보내왔더군요. 정말 감사하다고. 눈물이 나더군요.”

윤 사장은 궁금해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연봉 인상은 어느 정도 해줬소?”

박 사장은 씩 웃었다.

“서로 만족할 만한 선에서 웃으며 해결했습니다. 아주 흡족하게요. 좋은 조언을 해주신 황 사장님 정말 감사합니다.”

최고 협동 협력 협상 손 엄지

이 일로 나도 큰 깨달음을 얻었다.

변호사들은 의뢰인과 상담을 하면서 사건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눈앞에 앉아 있는 대상은 사건이 아닌 한 명 한 명의 사람이다. 저마다의 생각과 가치관이 다른 사람이니 판에 박은 해결책을 내놓을 수는 없다. 그들의 성향과 상황에 맞는 해결책을 쥐여줘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항상 물어야 한다. 지금 마음은 어떠하며 어떻게 했으면 좋겠는지를 말이다.

왜냐하면, 의뢰인의 말이 ‘문제지’이기 때문이다. 문제를 정확히 알아야 그에 맞는 답을 줄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당장 오늘부터 대화의 방식을 바꿔보자.

내 말을 하기에 앞서 상대방의 생각이나 의견에 대해 질문하고, 그 질문에 대한 상대방의 대답을 몰두해서 들어보자. 이렇게 한 달만 해보자. 상대방에 대한 엄청난 정보를 얻음과 아울러 당신은 사려 깊은 사람으로 각인될 것이다.

귀

“말하는 것은 지식의 영역이고, 듣는 것은 지혜의 영역이다.”

– 올리버 웬델 홈즈

관련 글

첫 댓글

  1. 정말 멋진 이야기입니다. 글쓴님같은 법률가가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매번 좋은 칼럼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