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허범욱(HUR) 作, 르네 마그리트 – The Son of Man(1946) 패러디

16. 내가 만난 학부생과 학부 조교들

나는 지금까지 많은 학부생, 학부 조교들과 함께 일했다.

학기마다 학과사무실에 2명, 연구소에 1명이 배정되었으니 내가 대학원생 조교로 근무했던 2008년부터 2012년까지를 헤아려 보면 대략 30여 명에 이른다.

  • 아프리카 사람에게 꼭 시집가겠다던 10학번 K
  • 재주가 많아 사무실에서 비트박스를 선보이던 09학번 D
  • 남자친구가 과사무실에 쳐들어와 장미꽃 100송이를 바치게 한 07학번 J
  • 끝없는 책 나르기 중 “이게 똥이지 책인가?” 했다 선배에게 혼난 03학번 C
  • 내가 우울해 보였는지 오후 2시에 “술 한 잔 하러 가요, 형님” 했던 04학번 S

그렇게 저마다 사연도 많고 개성 넘치는 아이들이었다. 특히 S가 나에게 술 한잔 하자던 그날은 나도 ‘에라 될 대로 돼라’ 하고 연구소 문을 닫고 2시부터 술 먹으러 갔다. 3년간 단 한 번의 일탈이었다.

Elisabeth Audrey, CC BY ND https://flic.kr/p/5d3b7b
Elisabeth Audrey, CC BY ND

“잡일 돕는 아이”… 대학원생은 잡일 ‘담당’, 학부생은 잡일 ‘보조’

학부생 조교가 하는 일은 사무실과 연구소의 업무 보조, 예컨대 수업 자료를 복사하고,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 고장 난 컴퓨터를 고치고, 메뉴얼에 따라 청소하고… 말하자면 온갖 ‘잡일’이었다. 좀 더 풀어 말하면 대학원 조교가 잡일을 ‘담당’하고 학부생은 잡일을 ‘보조’하는 모양새다.

그렇게 한 학기 동안 9시부터 5시까지 모든 공강 시간에 사무실에서 근무하고 근로 장학금 80만 원을 받는다. 선발권은 학과장이 가지고 있고, 그 기준은 그때그때 다르다. A 교수는 집안 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우선 뽑았고, B 교수는 자신이 좋게 본 학생을 아예 내정했고, C 교수는 조교실장에게 선발을 위임하기도 했다.

연구소 조교의 경우는 연구소장이 내게 마음 맞는 학부생이 있으면 추천하라고 해서 그렇게 했다. 학부생 조교로 선발된 학생들은 모두 진심으로 기뻐했고, 자신들이 선택받은 것에 대해 무척 감사해 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성실하게 일해 주었다.

2008년 봄, 석사 1기 시절, 나는 학과 사무실의 대학원생 막내였다.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의무적으로 학과 사무실이나 연구소에서 근무했다. 그런데 학부생 조교들 역시 공강 시간을 제외하고는 사무실에 몸이 매여 있었다.

JD, CC BY  https://flic.kr/p/bXANVG
JD, CC BY

학부생 조교들은 평균 15∼20학점을 들었으니 일주일에 20시간 이상 근무했다. 그러면 한 학기가 16주인데 중간고사 기말고사 기간에는 근무가 없으니 대략 13주, 도합 260시간 넘게 일하고 80만 원을 받아 간다. 지금도 이러한 시스템이니 최저시급 5,210원에는 한참 못 미치는 액수다.

나는 조교실장에게 조심스레 말했다.

“학부 조교들이 일하는 시간을 모두 합해 보면 최저 시급도 못 받는 것 같네요.”

“알아. 그런데 우리는 뭐 받고 일하냐? 지금까지 그렇게 해왔고 당연히 또 그렇게 하는 거지.”

그 말을 요약해 보면 대학원생도 같은 처치고, 지금까지 그렇게 해왔고, 그러니까 당연하다는 것이었다. 나는 여기에 동의하는 것이 옳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나는 구조의 밑바닥에 있는 ‘개인’이었고, 조직의 관행과 싸울 용기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내 몸 하나 건사하기도 힘들었다.

“아, 그렇네요.”

나는 그렇게 말하고 말았다. 어쩔 수 없다는 조교실장 역시 나와 같은 심정이었을 것이다. 그나마 우리 학과는 형편이 나았다. 계절학기까지 알뜰하게 출근시키는 학과도 적지 않다고 했다. 나는 욕이 튀어나왔다.

지켜지지 않는 규정, “한 학기 근무시간은 00시간으로 정한다” 

나는 학부 시절 친하게 지내던 04학번 S를 연구소 조교로 추천했다. 그리고 그를 만나기 전에 학생복지처에 들러 학부생 조교 근로규정집 같은 것이 있는지 물었다. 교직원이 답했다.

“아, 그거 인터넷 게시판에 있으니 다운 받으세요.”

대략 3∼4쪽 되었던 것 같은데, 여러 가지 규정들이 세밀하게 나와 있었다. 내 눈에 들어온 부분이 있었다.

“학부 조교의 한 학기 근무 시간은 00시간으로 정한다.”

모든 직장에 근로규칙이 있는 것처럼 대학에도 근로장학생 규칙이 있었다. 대략 계산해 보니 우리 관행대로 그들을 부리면 중간고사 이전에 근로 시간을 모두 채워 퇴직시켜야 했다. 무척 화가 났다. 이렇게 근로규정집이 있고 최대 근로시간이 명시돼 있는데, 그 누구도 이것을 찾아보려 하지 않고 지키려 하지 않는다.

Son of Groucho, CC BY https://flic.kr/p/d2yu1o
Son of Groucho, CC BY

이것은 명백한 노동 착취이다. 대학원생 조교들 역시 같은 처지에 놓여 있지만, 학부생 조교들과의 관계에서는 ‘중간관리자’의 입장이다. 적어도 그들이라도 지켜주는 것이 옳다.

S에게 근로규정집을 보여주고 우리 연구소의 근로방침을 함께 말해 주었다.

“나는 근로규정에 따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지만, 공강 시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에 근무를 서야 한다는 관행을 나 혼자 이겨낼 수가 없다. 결국, 너에게 최저 시급 이하의 근무를 강요할 수밖에 없는 거지. 싫다면 그만둬라. 미안하다…”

S는 공강 시간에 딱히 갈 데도 없고 연구소에서 공부하며 근무를 서겠다고 쾌활하게 말했다. 나는 그에게 고마움과 미안함을 동시에 느꼈고, 글을 쓰는 지금 2014년에 와서 돌이켜 보면 몹시 부끄럽다.

잘못된 것을 알고도 그 어떤 저항도 하지 못했고, 나를 믿고 함께 일하겠다고 온 학부생 조교에게 관행을 강요했다. 조금 한가한 날 “오늘은 일찍 퇴근해도 돼”라고 말하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였다. 결국, 나도 비겁한 인간인 것이다.

결국 나도 비겁한 인간이다 

웃으며 들어왔던 S는 웃으며 나가지 못했다. 일이 이렇게 고될 줄 몰랐다고 했다. 여러 일들이 있었는데,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잡지를 전국 대학으로 발송할 때는 S와 함께 밤늦게까지 야근을 했다.

책이 도착하면 주차장에 내려가서 7층 연구소까지 들고 나르고, 학교 마크가 있는 봉투에 이중 포장을 하고, 라벨지를 하나하나 붙이고, 시내 우체국에 가서 전국으로 발송했다. 남은 책을 담아둘 박스를 항상 구해야 했는데, 우리는 함께 편의점, 카페, 학생식당 등을 찾아다녔다.

박스를 질질 끌고 다니는 것을 본 후배들이 S에게 이렇게 농담 식으로 말을 건넨 적 있다고 했다.

“오빠, 박스 주우러 다니세요?”

S는 연구소에 들어와 반쯤 진심으로 화를 내기도 했다.

“저 이제 학교 어떻게 다녀요? 좋아하는 애였는데 진짜 책임질 거예요?”

그렇게 야근을 하고 나면 나는 그와 함께 치맥이나 삼겹살에 소주를 한잔 했다.

S는 함께 술을 마시며 무슨 일이 있어도 대학원에 진학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했다. 조교 근무를 겪은 학부생들이 자연스레 대학원을 하나의 가능성으로 꿈꾸어야 하는데, 이것은 그들의 처우 개선이 우선될 때 가능할 것이다.

Alex, CC BY https://flic.kr/p/84ThFe
Alex, CC BY

대학은 이제 정규직 뽑을 필요 없다 

학과 사무실과 연구소가 이렇게 학부생 조교를 ‘착취’하는 동안 학교의 각 대학 본부 사무실 역시 그에 뒤지지 않았다. 어느 부처를 가도 먼저 인사하는 것은 학부생 조교들이다. ‘이걸 이 아이들이 왜 하고 있지?’ 싶은 일도 한다. 도서관의 서가마다 책을 나르고 정리하는 역할 역시 학부생들이 도맡는다.

사무실, 연구소, 기숙사, 대학의 어디를 가든 학부생 근로 장학생들이 있다. 결국, 값싼 학부생의 노동력으로, 대학 사무의 최전선이 지탱되고 있는 셈이다. 물론 대학원생의 몸값은 환산하기 민망할 만큼 더욱 저렴하다.

대학은 기업보다 한발 앞서, 비정규직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해 냈다. 이제는 정규직 교직원을 선발하지 않는다. 조금 젊은 얼굴이 보인다 싶으면, 예외 없이 2년 계약 비정규직이다. 작년에 안면을 튼 동갑내기 교직원이 있어서 함께 밥을 먹었는데, 그는 내게 이렇게 말했다.

“여기는 20대 30대 교직원 중엔 아무도 정규직이 없더라고요.”

입사한 지 몇 주 되지도 않았는데, 그는 벌써 이직을 준비하고 있었다. 교수 선발에 있어서도 ‘정년 트랙’, ‘비정년 트랙’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일컫는 대학가의 신조어다. 정년을 채운 교수들이 퇴임하면 기다렸다는 듯 그 자리를 지우고 비정년 트랙 강의전담교수를 채워 넣는다. 그리고 ‘해임’한다.

John Walker, CC BY https://flic.kr/p/82h9kL
John Walker, CC BY

대학은 나름의 신자유주의적 생태계를 구축해 가고 있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심지어는 졸업생의 값싼 노동으로 행정의 최전선을 채운다. 4대 보험이나 퇴직금 명목조차 없는 4개월짜리 계약서를 받아든 시간강사들이, 2년짜리 비정년 트랙 교수들이 강의의 대부분을 책임진다.

그리고 그 물결 안에서 나는, 함께 일한 학부생 조교들을 위해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나는 피해자인 동시에 방관하는 가해자였고, 학부 조교들은 온전히 피해자의 몫을 떠안았다. 수료 후 시간강사가 된 지금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용기를 내지 못한다.

나는… 비겁한 인간이다. (계속)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