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조본좌의 주간 뉴스 큐레이션

2016년 4월 둘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대통령 마케팅 비웃는 새누리당 텃밭 대구

4.13 총선은 반전 드라마였다. 모든 언론과 여론조사기관의 예상을 비웃기라도 하듯 새누리당은 과반을 달성하지 못했다. 대구, 부산, 강남 등 새누리당의 텃밭과 호남 등 더민주의 텃밭은 무너졌다. 하지만 현장에서 봤다면 이런 반전은 이미 예상된 것이었다. JTBC 뉴스룸 ‘탐사플러스’가 20일간 대구의 민심을 취재했다.

대구에서 낯선 하얀 잠바의 후보들이 등장했다. 유승민, 권은희, 류성걸 등 새누리당을 탈당한 무소속 후보들이다. 5년째 파란 점퍼를 입고 다니는 더민주 김부겸 후보도 있다. 상당수 대구 주민들은 더 이상 새누리당 후보에게 ‘묻지 마 지지’를 하지 않는다. 김부겸 후보의 인상을 좋다고 평가하고, 유승민 의원을 보며 억울할 것 같다며 눈물짓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새누리당의 전략은 하나였다. ‘대구는 새누리당 것, 대통령 것’이라는 진박 마케팅. 무소속 복당은 없다고 선을 긋고, 무소속 후보를 향해 조롱을 퍼붓는다. 대통령 사진을 내놓으라고 소동을 벌이기도 한다. 대구 시민들은 코웃음 친다. “옛날 방식”이라고. 진박 마케팅이 통하지 않자 새누리당은 ‘절 퍼포먼스’를 벌인다. 대구 시민들은 또 코웃음 친다. “정치쇼”라고.

결과는 여당 일색이던 11개 지역구에 무소속 세 명, 야당 한 명. 태풍은 아니지만, 변화의 조짐은 있었다. 4년 뒤, 사람들은 대구를 ‘새누리당 텃밭’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적어도 ‘대통령 마케팅’ ‘읍소전략’으로는 안 될 것 같다.

● JTBC 뉴스룸 탐사플러스

큐레이션 JTBC

[divide style=”2″]

2. 당신의 한 표, 사표가 아니다

선거 때마다 유권자를 고민하게 하는 것이 사표다. 귀중한 한 표를 사표로 만드느니 될 사람을 찍어주자는 심리는 양당제를 강화해주기도 했다. 진보정당을 성장하지 못하게 한 요인이기도 하다. 한겨레가 ‘사표의 우려’를 접으라고 말한다. 사표의 우려를 접어두고 행사한 한 표의 힘 때문이다.

2004년 국회에 입성한 민주노동당은 열린우리당과 힘을 합쳐 국회의원의 특권, 의원 전용 엘리베이터를 없앴다. 민주노동당은 장애인도 탈 수 있는 저상버스를 도입했다. 2006년 민주노동당은 풀뿌리 지방자치를 실현할 주민소환제를 발의해 통과시켰다. 민주노동당의 제안으로 친환경 무상급식이 시작됐다. 모아놓고 보니 다 민주노동당 사례다. 다른 진보정당은 언제쯤 ‘한 표의 힘’의 사례가 될 수 있을까.

● 한겨레

한겨레 큐레이션

[divide style=”2″]

3. 아스팔트 보수, 사실은 알바 고용주?

‘대한민국 어버이연합’은 어느새 아스팔트 보수의 상징이 됐다. 동에 번쩍 서에 번쩍 나타나는 이들의 또 다른 역할은 ‘집회 알바 고용주’였다. 시사저널이 공개한 어버이연합 회계장부에 따르면 어버이연합은 탈북자들에게 일당 2만 원을 주고 세월호 집회에 투입했다.

동원된 알바 수는 세월호 반대 집회가 최고조에 이른 2014년 한 해에만 1,200명이 넘었고, 이들에게 지급된 돈 역시 2,500만 원 이상이었다. 어버이연합은 ‘선동꾼은 지옥으로’라는 구호를 내세웠지만, 알바까지 동원해 선동한 당사자는 정작 어버이연합이었다.

자금 출처는 명확하지 않다. 모든 돈은 어버이연합 지도부가 총책에게 전달하는데 대부분 현금이고 일부는 차명계좌를 이용한다. 현금으로 전달되다 보니 이 돈이 어떻게 마련됐는지, 자금 출처가 어딘지는 지도부만이 알 수 있다. 어버이연합을 통해 관변 집회에 탈북자들을 동원하는 ‘검은돈’은 어디서 나왔을까.

● 시사저널

시사저널 큐레이션

[divide style=”2″]

4. 세월호 2년, 여전히 위험하다

4월 16일은 304명이 바닷속으로 사라진 세월호 참사 2주기다. 정부는 선박 등 해양사고 안전 관리를 대폭 강화했다고 했다. 참사의 교훈으로 대한민국은 조금이나마 안전해졌을까. 경향신문이 5~7일 인천과 전북 부안·경남 통영·전남 목포 등 4곳에서 화물·여객선(화객선)에 탑승해 안전실태를 살펴봤다.

기자가 오른 여러 배에서 선박의 급격한 쏠림이나 전복을 막기 위한 화물의 고정작업은 여전히 형식적이거나 무시됐다. 승객 신분 확인도 없었다. 전남 목포연안 여객선 터미널 곳곳에는 세월호 사고 이후 달라진 ‘여객선 승선 절차’를 안내하는 플래카드가 곳곳에 내걸렸다. 하지만 이는 규정일 뿐 신분증 요구는 없었다. 비상 대응, 구명장비 위치 등 안전과 관련한 안내방송이 없는 배도 허다했다. 우리는 그 날의 비극을 다시 반복하지 않을 수 있을까.

● 경향신문

경향신문 큐레이션

[divide style=”2″]

5. 세월호 유가족에 대한 불신, 언론이 주범이다

2년 전 모든 이들이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이 살아나오길 기원했고 유가족들을 응원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세월호에 대한 시각은 둘로 나뉘어 있다. 한쪽은 여전히 추모하지만, 한쪽은 ‘그만 좀 하라’고 한다. 이 두 가지 시선을 만든 주범은 언론이다. 기자협회보가 9개 종합일간지의 세월호 관련 사설 249건을 분석했다.

참사 초기, 신문사들의 논조는 비슷했다. 핵심단어는 ‘안전’. 하지만 한 달도 지나지 않아 다른 단어들이 등장한다. ‘경제’, ‘정치적’, ‘전교조’, 내수침체, 그리고 세월호를 찬반이 갈리는 정치문제로 보는 시선이 생겨난다.

1주기, 이제 누군가를 탓하기 시작한다. 대통령을 거부한 유가족을 질타하거나 1주기 추모집회를 비판하고, 특조위의 활동을 지적하는 사설들이 등장한다. 일부 신문사에서는 ‘시위’, ‘집회’, ‘천막’, ‘폭력’ 등의 단어가 자주 등장했다.

세월호 청문회는 사라졌다. 한국일보(10회), 경향신문(9회), 한겨레(6회)를 제외하고 나머지 신문사에서는 ‘청문회’라는 단어를 찾을 수 없었다. 그 자리를 ‘전교조’, ‘교과서’, ‘교실’, ‘특조위’가 차지한다. 세월호를 잊게 한 건, 언론이다.

● 기자협회보

기자협회보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