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중국체인경영협회와 보스턴컨설팅그룹이 발표한 ‘2017 중국 편의점 발전 보고’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중국 내 프랜차이즈 편리점의 숫자는 10만 곳, 브랜드는 260가지, 매출은 1,300억 위안(약 21조2745억 원)에 달합니다.

중국 편의점은 이미 상당수 모바일화가 진행됐습니다. 45%에 해당하는 고객이 온라인(모바일)을 통해 편의점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모바일 결제 모듈을 도입한 편의점은 97% 비중을 차지합니다. 보통 이러한 형태를 두고 O2O(Online to Offline)라고 하죠.

핵심은 결제입니다. ’12, ’13년 알리바바가 제3자 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를 필두로 O2O를 선언했으며, 어러머, 메이퇀 같은 배달 서비스들이 본격 등장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부터 O2O란 키워드가 떠올라 수많은 스타트업들이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죠.

알리페이

하지만 중국 편의점은 O2O만으로 설명하기에 뭔가 부족합니다. 오히려 지난 2016년 알리바바그룹 창업주인 마윈이 언급한 ‘신소매'(신링쇼우) 영역에 빠르게 들어서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box type=”info”]

신소매: “전자상거래라는 개념은 점차 사라지고 향후 30년 내 ‘신유통’이라는 개념으로 대체될 것이다. 온· 오프라인과 물류가 결합하였을 때 진정한 신유통의 개념이 탄생하게 될 것이다.”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

[/box]

그래서 O2O와 신소매의 차이가 뭔데?

두 키워드의 차이에 대해 의문이 생길 텐데요. O2O가 ‘온라인(모바일)과 오프라인의 재화’를 ‘연결’하는 데에 방점이 있다면, 신소매는 ‘오프라인의 경험 전체’를 완전히 ‘모바일화’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배달앱이나 공유 차량 서비스와 같이 모바일 결제나 플랫폼을 기반으로 오프라인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를 O2O라 한다면, 오프라인 거점들이 디지털화하고, 물류를 통해 모든 재화가 연결되는 형태까지가 포함된 게 신소매입니다.

바로 여기에 알리바바, 징동 등의 이커머스 거두와 더불어 볜리펑(便利蜂) 같은 신흥 편의점 브랜드도 이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타오바오 편의점: 파트너십 기반의 연결 체계

알리바바 산하 C2C(고객 간 거래) 이커머스 서비스인 타오바오가 2016년 8월 ‘타오바오 편의점’이란 카테고리를 만들었습니다. 모바일로 과일, 우유 같은 식품을 구매한 뒤 1시간 내로 배달이 오는 구조인데요.

파트너사의 연결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하는 알리바바답게 편의점 역시 타오바오 편의점에 가맹한 오프라인 매장, 배송 파트너사들이 서비스를 운영합니다.

타오바오 편의점과 제휴한 오프라인 편의점 (출처: linkshop)
타오바오 편의점과 제휴한 오프라인 편의점 (출처: linkshop)

중국 이커머스 온라인이란 페이지에서 설명한 타오바오 편의점의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입지: 2016년 8월 기준 항저우 지역에 입주한 판매상은 총 18곳이며, 12월 기준 닝보에는 11곳에 입주해있다. 각 매장은 반경 2km를 담당하며 주로 사무실 주변에 집중돼 있다. 온라인에서 선택이 된 제품을 매칭해 판매를 진행하는데, 일반 편의점과의 결합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2. 창고: 타오바오 측의 설명에 따르면 편의점의 물품은 오프라인 편의점과의 합작을 통해 2km 내의 주문에 대해 1시간 내 배송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수익 향상을 도모한다. 이러한 형태의 객단가는 평균 50위안으로 일반적인 편의점 객단가(20위안)보다 높다.

3. 배송: 현재의 물류 시스템은 이미 성숙한 단계로 편의점 점주의 입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배송 방식도 다양하다. 뎬워다, 다다우류, 펑냐오종빠오 등 제3자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징동 편의점: 100만 직영 매장…농촌으로 진격

류창동 징동 창업주가 5월 초 “앞으로 5년 동안 100만 곳의 편의점을 만들겠다”며 “그중 50만 곳은 농촌 지역에 세워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징동은 지난 ’14년부터 1만 1천 곳의 오프라인 점포와 합작을 해 모바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왔습니다. 용휘슈퍼, 월마트와 같은 대표 격 오프라인 브랜드의 손을 잡기도 했죠.

징동 편의점 (출처: 류창동 징동 회장 웨이보)
징동 편의점 (출처: 류창동 징동 회장 웨이보)

과거엔 협업 형태로 해왔다면, 편의점만큼은 물류를 운영하는 방식과 같이 직접 운영하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징동의 정체성은 전자제품 판매업에 있습니다. 철저한 수요공급 체크에 따른 공급망(SCM) 관리가 뛰어나다는 강점을 이용해 물류 역시 징동 스스로가 물류센터부터 배송까지를 총괄하는 구조를 만들어왔습니다.

전자제품에서는 강점이었을지 몰라도 그 밖의 제품에 대해서는 경험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지난 3년 간 각종 오프라인 매장들과의 제휴를 통해 확보한 경험을 기반으로 편의점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드는 단락인데요. 중국 정부가 계속해서 ‘농촌 이커머스’를 정책의 구심점으로 놓고 있는 상황까지도 고려한 전략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징동은 계속해서 오프라인의 영역을 자사의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오는 6월 18일 열리는 징동의 연례 할인행사인 6.18절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가 온·오프라인 융합인데요. 그간 중국의 다양한 온라인 행사와 다르게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할인 행사를 진행합니다. 징동은 이번 행사를 위해 오프라인 매장 1,700곳과 제휴를 했습니다.

볜리펑: 중관춘에서 가장 ‘핫한’ 스마트 편의점

‘꿀벌’을 캐릭터로 하는 볜리펑(便利蜂)은 베이징 중관춘에서 한 번에 5개 지점을 내며 관심을 받은 편의점 브랜드입니다. 최근에 1개 점을 더 추가해서 총 6곳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볜리펑 (출처: tmt)
볜리펑 (출처: tmt)

볜리펑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온·오프라인의 서비스를 앱 하나로 통일시켰다는 점입니다. 앱을 다운받은 뒤 매장의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매장 내의 와이파이를 연결하면 자신이 어느 매장에 있는지가 체크가 됩니다.

중국 최대 이커머스 연구 플랫폼 이빵동리의 보도에 따르면, 편의점 안에 있는 제품들은 QR 스캔을 통해 셀프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셀프 구매는 총 3단계로 구성됩니다. 1) 앱을 열고 제품 스캔 버튼을 터치합니다. 2) 제품을 스캔해 구매를 완료합니다. 3) QR코드를 보여준 뒤 제품 구매를 했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구매를 완료한 제품은 직접 들고 가거나, 배송받기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QR스캔을 통핸 셀프 구매 프로세스 안내
QR스캔을 통핸 셀프 구매 프로세스 안내

또한, 편의점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앱 내에서 구매 후 배송을 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 역시 구축돼 있습니다. 타오바오 편의점과 같이 앱 내에서 구매하면 근처의 볜리펑 매장에서 제품을 배송해주는 순서입니다. 이밖에 볜리펑은 자체 PB 제품, 신선 제품 등을 선보이며 일반 편의점과의 차별화 전략도 펼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모든 공간의 디지털화 

정리하면, 중국은 모바일(온라인)의 오프라인 연결을 넘어 오프라인의 모든 공간이 디지털화되는 국면으로 전환했습니다. 굳이 O2O란 개념이 있음에도 신소매하는 키워드가 알리바바 외에도 쑤닝, 궈메이 등 커머스 플랫폼들에서 화두가 되고 있죠. 이는 패러다임이 한 번 더 바뀌었다는 것을 방증합니다.

모바일과 가장 친숙한 2030 세대가 가장 자주 이용하는 오프라인 거점 ‘편의점’부터 변화하는 건 당연한 수순일 겁니다. 아마도 가까운 미래에는 아마존 고(Amazon Go)가 보여줬듯, 그리고 이에 대한 낙관주의와 비관주의는 별론으로, 모든 것이 무인화-디지털화하는 세상이 눈앞에 벌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YouTube 동영상

관련 글

2 댓글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