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오오~ 세상 많이 좋아졌네!’
‘세상 말세네~’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을 때 어떤 경우에는 대중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매우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특히 생명과 직접 관련된 기술의 경우 환영보다는 거부감이 우선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어떻게 보면 인지상정일지도.

하지만 생각해보면 처음에는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류의 기술로 폄하되었다가 어느덧 보편화하여 대중이건, 정부건 ‘이제는 아주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도 없지 않다. 바로 체외수정(In vitro fertilization)을 포함한 생식보조기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이다.

한국 신생아 2% 정도는 시험관 아기

현재 한국에서 매년 태어나는 아기는 약 40만 명 정도이다. 이중 체외수정 등의 생식보조기술의 도움을 받아 태어나는 비율은 얼마나 될까?

한국 정부는 전국 가구 월 평균 소득의 150%까지 해당하는 가구(4인 가족 기준 월 725만 원 이하의 소득이 있는 가구)에 대해 체외수정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010년의 경우 체외수정으로 태어난 아기는 약 8천 명, 인공수정의 경우 3천 명으로 전체 출생인구의 2.4%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 지원을 받지 못하는 가구도 있을 것이므로 현재 한국에서 출생하는 인구의 약 2% 정도는 시험관 아이인 상황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이 정도면 거의 보편화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처음 이 기술이 개발될 때 대중의 반응은 어떠했을까? “타임머신을 타고 고!고!”가 아니라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로 당시의 신문을 들춰보도록 하자.

시험관 아기 시도 전: 부정적 견해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시험관 아기”로 검색했을 때 이 단어가 최초로 나오는 시점은 1970년인데, 이때는 1978년에 최초의 시험관 아기 탄생을 성공한 패트릭 스텝토(Patrick Steptoe)가 최초로 시험관 아기 계획을 TV에 밝혔을 때의 기사이다.

헤드라인만 봐도 "세상에 이런 일도", "말세네..."의 분위기. 인간 대량생산!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1년 안에 가능. 1970년 2월 25일)
헤드라인만 봐도 “세상에 이런 일도”, “말세네…”의 분위기. 인간 대량생산!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1년 안에 가능. 1970년 2월 25일)

그리고 몇몇 각계의 반응도 나온다.

동아일보 - 부정적 미래상 보인 반유토피아 작품들. 1970년 3월 7일
동아일보 – 부정적 미래상 보인 반유토피아 작품들. 1970년 3월 7일

당시 김진만 고대 영문학 교수는 자신이 기고한 칼럼에서 시험관 아기 시도를 언급하며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이야기를 꺼낸다. 결국 ‘기술의 발전이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고…’ 류의 이야기. “가만히 놔두면 미친 과학자들이 날뛰니, 우리 인문학을 하는 사람들이 잘 계도해야 한다능~” 식의 태곳적 레퍼토리인데…

그런데 사실 2011년 이 토픽으로 노벨상을 탄 로버트 에드워드는 1960년대부터 체외에서 난자를 성숙시키는 연구를 하고, 1969년 이미 인간 난자와 정자를 이용하여 체외수정을 한 결과 논문을 “네이처”에 냈고, 그 이후에 인간 수정란 아기 계획을 밝혔다가 사회적으로 큰 파문을 일으키는데, 당시의 한국 신문의 수준으로는 시험관 아기로의 전초전이 되는 1960년대의 연구에 대해서는 전혀 보도가 없었다. (그때는 나 같이 논문 읽어주는 사람도 없었으니 어쩔 수 있나?!)

그러니 님들은 신문을 멀리하고 "논읽남"을 예뻐해야 합니다. (란셋 - Maturation in vitro of human ovarian oöcytes.)
그러니 님들은 신문을 멀리하고 “논읽남”을 예뻐해야 합니다. (란셋 – Maturation in vitro of human ovarian oöcytes.)

시험관 아기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는 단순히 일반인만의 이야기는 아니었다. 수십 년 후에는 이러한 기술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되는 산부인과 의사들도 극히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1974년 서울대 의대 산부인과 장윤석 교수는 다음과 같이 기고를 한다.

동아일보 - 시험관 아기 탄생 유감. 1974년 7월 18일
동아일보 – 시험관 아기 탄생 유감. 1974년 7월 18일

‘시험관 아기가 인간 존엄성을 파괴, 남녀분포 균형 깨지고, 일부다부제, 형제끼리 근친결혼 등등을 조장할 수 있다’는 식의 주장은 지금에서는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주장이지만, 당시 장윤석 교수는 그런 논거를 들어가며 시험관 아기를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수십 년 후 난임치료가 산부인과의 주 수입원이 되는 건 어쩔…)

그러나 스텝토와 에드워드의 시험관 아기 시도는 그 당시에는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냥 간헐적인 기사만 나오는 정도에 그친다. 그러다가 1978년 최초의 시험관 아기인 “루이스 브라운”이 태어나니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리는데…

첫 시험관 아기 탄생: 윤리 논쟁 혹은 폄하

1978년 7월 26일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는 소식은 일간신문 1면을 찍었다.

동아일보 -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 1978년 7월 26일
동아일보 –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 1978년 7월 26일 자 1면에 등장
이게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는 학계의 "공식" 보고다. (란셋 - Birth after the reimplantation of a human embryo.)
이게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는 학계의 “공식” 보고다. (란셋 – Birth after the reimplantation of a human embryo.)

실제로 시험관 아기가 태어났다고 해도 “별거 아니다.”라는 의견도 있었다.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창조 아닌 이식일 뿐... 그나마 보편화는 어려워. 1978년 8월 30일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창조 아닌 이식일 뿐… 그나마 보편화는 어려워. 1978년 8월 30일

적십자병원 원장인 배병주 박사는 ‘시험관 아기’라고 해서 시험관에서 아기가 나오는 것도 아니므로 지나치게 현혹되지 말아야 하고, 보편화하기에는 해결해야 할 수많은 문제를 안고 있고, 시험관 아기가 우리나라 여성들의 불임을 해결하는 방안은 되지 못한다고 단언하고 있다.

인간의 타락이 아니냐, 인간복제 등등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탄생 놓고 윤리 논쟁 "생명체의 타락이 아니냐". 1978년 7월 15일)
인간의 타락이 아니냐, 인간복제 등등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탄생 놓고 윤리 논쟁 “생명체의 타락이 아니냐”. 1978년 7월 15일)
멸종한 공룡도 나오고, 인간이 재주를 지나치게 부리다 제 꾀에 빠져서 멸종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동물학 전공 교수 (동아일보 - 공룡과 인간. 1978년 7월 15일)
멸종한 공룡도 나오고, 인간이 재주를 지나치게 부리다 제 꾀에 빠져서 멸종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동물학 전공 교수 (동아일보 – 공룡과 인간. 1978년 7월 15일)
동아일보 - 격동의 '78 본사선정 10대 뉴스. 1978년 12월 28일
동아일보 – 격동의 ’78 본사선정 10대 뉴스. 1978년 12월 28일

그리고 그렇게 시험관 아기 탄생 뉴스는 1978년 해외 10대 뉴스 중 무려 2위에 기록된다.

그리고 한국의 시험관 아기 탄생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국내서도 시도. 1982년 9월 14일
경향신문 – 시험관 아기 국내서도 시도. 1982년 9월 14일

해외토픽으로 회자하던 시험관 아기는 1980년대 초반부터 국내에서도 시도된다는 기사가 나오더니,

동아일보 - 우리나라 첫 시험관 아기 쌍둥이 남매 큰 경사. 1985년 10월 12일
동아일보 – 우리나라 첫 시험관 아기 쌍둥이 남매 큰 경사. 1985년 10월 12일

1985년도에 국내 최초의 시험관 아기 쌍둥이가 태어난다. 이미 그 시점에 해외에서는 약 1,500명 이상의 시험관 아기가 태어난 상태이므로 시험관 아기의 위험성에 대한 의문은 많이 불식된 상태. 기사에서도 이전과 같이 ‘시험관 아기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은 나오지 않고 “경사”라는 단어로 표현되고 있다.

(그런데 국내 최초 시험관 아이의 주역이라고 소개된 장윤석이라는 분… 저 위에서 ‘시험관 아기 유감’이라고 기고하신 분 아니었나?)

1978년 최초의 시험관 아기인 루이즈 브라운은 다시 엄마가 되었고 2015년 현재 36세이다.

왼쪽부터 에드워드, 루이스의 엄마, 루이스, 루이스의 아들 (2008년 7월 12일 사진. © Chris Radburn/Press Association via AP Images)
왼쪽부터 에드워드, 루이스의 엄마, 루이스, 루이스의 아들 (2008년 7월 12일 사진. © Chris Radburn/Press Association via AP Images)

그리고 시험관 아기 탄생 주역인 생리학자 에드워드와 산부인과 의사 스텝토 중 스텝토는 1988년 사망했고, 에드워드는 2010년 노벨상을 받는다. 그러나 노벨상을 받을 때는 이미 너무 연로하셔서 정신이 온전한 상태가 아니었고, 자신이 노벨상을 받았다는 것을 인지도 못 했다는 게 슬프다.

에드워드의 노벨 렉쳐는 제자가 대신했고, 수상은 부인이 대신했다. (출처: 에드워드의 노벨 렉쳐 슬라이드)
에드워드의 노벨 렉쳐는 제자가 대신했고, 수상은 부인이 대신했다. (출처: 에드워드의 노벨 렉쳐 슬라이드)

돌이켜보건대…

어쨌든 시험관 아기는 이제 보편적인 기술이 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이 기술을 통해 태어났으며, 국내에서도 평균적으로 약 1만 명 이상이 태어났다.

이러한 시험관 아기의 보편화 과정을 살펴볼 때 생명에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대중의 인식은 하루아침에 쉽게 개선되지 않으며, 대중화를 위해서는 당장 가시적인 사회적 이익(불임 부부가 자식을 가지게 된다든지 등등)을 획득해야 하는 걸 알 수 있다. 즉,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을 추진하는 사람은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대중과 사회의 기술에 대한 공포를 이해하고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한편 CRISPR/Cas9 등을 통하여 고등동물의 유전 정보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게 된 현시점에 이르러, 과연 인간의 유전자 교정 등은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될지 자못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몇십 년 후에는 과연 인간의 유전자를 출생 이전에 교정하는 것과 같은 일이 지금의 시험관 아기 정도로 보편화할 수 있을까? 두고 보면 알겠지. 그리고 그때도 뉴스 아카이브 같은 걸 뒤져서 “우하하! 그 당시에는 그랬었구만…” 하며 글을 쓰는 사람이 나올까?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