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분식회계 의혹 승소?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금융위원회 등을 상대로 낸 행정소송에서 승소했다.
  • 금융위가 2018년 부과한 80억 원의 과징금 처분이 부당하다는 게 1심 판단이다.

이게 왜 중요한가.


  • 한국 사회의 원칙을 다루는 사건이다. 상식과 힘의 논리가 충돌한다.
  • 본질을 봐야 한다. 언뜻 삼성물산이 승소한 것처럼 보이지만 법원이 분식회계가 아니라고 판단한 게 아니다.
  • 끝난 게 아니다. 이재용(삼성전자 회장) 재판도 남아있다. 이번 사건이 이재용 편법 승계 항소심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 일부 언론이 맥락을 호도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제일모직 분식회계라는 본질이 달라지는 건 아니다.
  • 이번 판결 결과의 기사 제목을 뽑는다면 “분식회계 의혹 바이오로직스 제재 취소”가 아니라 “바이오로직스 제재 취소했지만 분식회계 의혹은 인정”이 돼야 한다.

이재용의 복잡한 사연.


  • 이 사건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합병하던 2015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이건희(당시 삼성전자 회장)가 쓰러져 누워있었고 이재용(당시 부회장)은 삼성전자 지분이 너무 적었다. 삼성생명이 삼성전자의 최대 주주였지만 금융-산업 분리가 변수였고 이재용-제일모직-삼성생명-삼성전자의 연결고리는 취약했다.
  • 이재용 입장에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은 세 가지 이유로 절실했다.
  • 첫째, 삼성물산이 삼성전자 지분을 4%나 들고 있는데(8월14일 기준 21조 원) 정작 이재용은 삼성물산 지분이 하나도 없었다.
  • 둘째, 이재용 일가가 제일모직 지분을 무려 42%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제일모직을 중심으로 뭉쳐야 했다.
  • 셋째,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합병하되 이재용 일가 지분이 많은 제일모직의 가치를 최대한 높게 잡아야 했다. 그게 합병의 목적이었다.

이재용의 세 가지 꼼수.


  • 지주회사 역할을 하는 제일모직의 가치를 높여 받으려면 세 가지가 필요했다.
  • 첫째, 삼성물산의 가치를 최대한 떨어뜨려야 했다.
  • 둘째, 제일모직이 44% 지분을 보유한 바이오로직스의 지분 가치를 높여야 했고,
  • 셋째, 바이오로직스가 90% 지분을 보유한 바이오에피스의 부실을 감춰야 했다.

4조8085억 원, 바이오로직스의 마법.


  • 바이오로직스는 2013년과 2014년, 2015년까지 계속 영업 적자를 냈다. 그런데 2014년까지만 해도 270억 원 당기순손실이었는데 2015년에는 무려 1조9049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 바이오로직스 감사 보고서를 보면 2014년에는 바이오에피스 지분 90.3%의 장부가액을 4612억 원으로 잡았는데 2015년에는 4조8085억 원으로 10배 이상 뛴다.
  • 기업 가치가 달라진 게 아니라 평가 방식이 달라진 것뿐이다. 2014년까지는 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로직스의 종속기업이었는데 2015년 들어 갑자기 바이오에피스를 종속기업(Subsidiary)이 아니라 관계회사(Affiliate)로 분류하고 공정가치 평가라는 이유로 기업 가치를 부풀려 잡았다.
  • 그 결과는? 바이오로직스는 당기순이익이 치솟았고 바이오로직스의 최대주주인 제일모직이 보유한 지분 가치가 크게 뛰었다. 종속기업이 관계회사가 되면 손실은 반영하지 않고 기업 가치만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 가지 범죄 의혹.


  • (아직 혐의가 확정된 게 아니니 이 글에서는 ‘의혹’이라고 쓰기로 한다.)
  • 분식회계(cosmetic accounting)는 일본식 표현이지만 영어권에서는 ‘accounting fraud’나 ‘financial fraud’라고 쓴다. ‘회계 조작’이나 ‘회계 사기’라는 의미다.
  • 첫째, 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에피스에 1조8204억 원 규모의 콜 옵션이 걸려 있다는 사실을 2년 이상 감췄다. 바이오에피스는 2012년 바이오로직스(85%)와 바이오젠(15%)이 합작해서 만든 회사였는데 바이오젠이 49.9%까지 지분을 늘릴 수 있는 콜 옵션을 보유하고 있었다. 바이오로직스는 뒤늦게 이 사실을 공개하면서 바이오에피스를 관계회사로 분류했는데 이게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의 핵심 변수가 됐다.
  • 둘째, 덕분에 바이오로직스는 자본잠식 위기에 놓여 있다가 갑자기 엄청난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내는 그룹의 핵심 자산이 됐다. 종속회사(자회사)면 연결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고 바이오에피스의 손실이 바이오로직스의 손실로 반영되는데 관계회사가 되면 공정가치로 기업 가치를 산정한 다음 지분법 평가이익을 적용 받는다. 그런데 그 공정가치라는 게 귀에 걸면 귀고리, 코에 걸면 코걸이가 된다.
  • 셋째, 바이오에피스를 관계회사로 분류하면서 바이오로직스의 당기순이익이 2014년 -270억 원에서 2015년에는 1조9049억 원으로 늘어났고 제일모직의 순자산가액은 2014년 3491억 원에서 2015년 5조6606억 원으로 불어났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 제일모직의 기업가치가 크게 뛰었고 합병 비율도 제일모직에 유리하게 잡혔다.
  • 김경율(당시 참여연대 집행위원장)이 이런 말을 했다. “기존 방식으로 회계 처리를 했다면 바이오로직스는 그해에도 214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을 것이다.”

2015년 9월15일 무슨 일이 있었나.


  • 다음 그림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전후 시가총액을 비교한 그림이다.
  • 일단 빨간색 제일모직(001300)과 주황색 제일모직(028260)은 완전히 다른 회사다. 제일모직(001300)은 2014년에 상장 폐지했고 그해 12월에 상장한 제일모직(028260)은 에버랜드가 이름을 바꾼 것이다. (제일모직을 쪼개서 패션은 에버랜드가 나머지는 삼성SDI에 넘겼다.)
  • 녹색 삼성물산(000830)이 원래 삼성물산인데 에버랜드가 이름을 바꾼 제일모직(028260)에 흡수합병된 뒤 이름을 삼성물산(028260)으로 바꾼다.
  • 그러니까 제일모직(001300)이 사라지고 에버랜드(028260)가 제일모직(028260)이 됐는데 원조 삼성물산(000830)이 제일모직(028260)에 인수되면서 뉴 삼성물산(028260)이 된 상황이다.
  • 9월14일 삼성물산(000830) 시가총액은 7.5조 원, 제일모직(028260) 시가총액은 21.4조 원이었는데 9월15일 두 회사가 합병한 뒤 삼성물산(028260) 시가총액은 31.2조 원으로 치솟는다. (괄호 안은 종목 코드.)
  • 주가는 등락을 거듭하기 마련이지만 눈여겨 볼 부분은 이재용 일가의 지분 가치다.

결국 이재용 지분 늘려주기 프로젝트였다.


  • 합병 전후 이재용 일가의 삼성전자 지배력은 다음과 같다.
  • 합병 이전: 6.8%=4.7%(이재용 일가의 삼성전자 지분)+42.0%(이재용 일가의 제일모직 지분)×19.3%(제일모직의 삼성생명 지분)×7.2%(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20.8(삼성생명 지분)×7.2%(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
  • 합병 이후: 7.9%=4.7%(이재용 일가의 삼성전자 지분)+30.4%(이재용 일가의 삼성물산 지분)×19.3%(삼성물산의 삼성생명 지분)×7.2%(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30.4(삼성물산 지분)×4.1%(삼성물산의 삼성전자 지분)+20.8(이재용 일가의 삼성생명 지분)×7.2%(삼성생명의 삼성전자 지분).
  • 6.8%가 7.9%로 늘어난 셈인데 이 1.1%포인트 차이가 크다.
  • 9월15일 기준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165조 원. 이재용 등의 삼성전자 지분 가치는 하루 사이에 11.2조 원에서 13.1조 원으로 늘어난다. 장기판에서 말을 옮기는 것처럼 자회사 몇 개를 떼었다 붙였다 했더니 총수 일가의 자산 가치가 2조 원 가까이 불어났다는 이야기다.
  • 참여연대가 공개한 바이오로직스 내부 문건을 보면 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에피스 가치를 각각 6.9조 원과 5.3조 원으로 잡았다. 바이오에피스의 가치를 높여 잡으면 바이오로직스의 가치가 늘어나고 제일모직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구조였다.
  •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에서 제일모직의 가치를 높이려는 회계 조작이었고 결국 이재용 일가의 자산을 늘리는 게 목적이었다.

TMI지만 결정적인 변수.


  • 두 가지 쟁점이 남아있다.
  • 첫 번째 쟁점은 2014년 이전 바이오에피스의 부실을 축소했는가다.
  • 두 번째 쟁점은 2015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을 앞두고 바이오에피스의 가치를 부풀렸는가다.

두 가지 충돌하는 재판 결과.


  • 각각 1번 재판과 2번 재판이라고 해보자.
  • 1번 재판: 올해 2월 이재용 불법 승계 재판 1심에서 서울중앙지방법원은 2014년 이전 바이오에피스를 종속기업으로 분류한 것이나 2015년 관계기업으로 바꾼 것이나 문제 될 게 없다고 판단했다. 2014년까지는 바이오젠이 콜옵션을 행사할 가능성이 작았기 때문에 바이오로직스의 단독 지배로 봤고 2015년 들어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에(바이오젠이 콜옵션을 행사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공동 지배로 볼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 2번 재판: 그런데 8월 행정소송 1심에서 서울행정법원은 2014년 이전 바이오에피스를 종속기업으로 분류한 건 문제 될 게 없지만 2015년 바이오에피스를 관계기업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회계 조작이 있었다고 판단했다.
  • 바이오로직스가 과징금 부과를 취소해 달라며 낸 소송이었지만 두 재판 결과가 충돌한다. 자칫 2번 재판의 결과가 1번 재판 항소심을 뒤집을 가능성도 있다.
  • 1번 재판 1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다.
  • “당시 바이오에피스의 성공 여부가 불확실했던 상황 등을 고려하면 바이오젠이 보유한 콜옵션을 반드시 공시해야 한다고 볼 수 없고, 올바른 회계 처리를 한 것으로 보인다.”
  • 1번 재판에서는 분식회계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단하지 않았다. 검찰이 바이오로직스 공장에 와서 공장 바닥을 뜯고 서버 컴퓨터와 노트북을 압수해서 자료를 긁어갔는데 법원은 그 과정에서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며 위법한 증거라고 판단했다. 포렌식 절차를 생략했기 때문에 증거로 쓸 수 없고 그래서 분식회계 혐의는 무죄라는 이야기다. (죄가 없다기보다는 검찰이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 이렇게 봐야 한다.)
  • 2번 재판 1심의 정확한 워딩은 다음과 같다.
  • “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에피스를 단독 지배했다고 보고 바이오에피스를 종속기업으로 둔 채 연결 재무제표를 작성한 것은 원칙 중심 회계 기준에서 회계 처리할 수 있는 재량권의 범위 내에 있다.” (이 대목은 이재용에게 유리하지만,)
  • “바이오로직스의 자본 잠식 등의 문제를 회피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특정한 결론을 정해 놓고 이를 사후에 합리화하기 위하여 회계처리를 하는 것은 원칙중심 회계기준 아래에서 원고 바이오로직스에 주어진 재량권을 남용한 것에 해당한다.” (이 대목은 이재용에게 불리하다.)
  • 1번 재판에서는 2014년 이전과 2015년의 회계 처리에 둘 다 문제가 없다고 봤고 2번 재판에서는 2014년 이전은 문제가 없지만 2015년은 문제가 있다고 봤다.

전망.


이것이 핵심이다.


  • 법원은 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가 없었다고 판단한 게 아니다.
  • “원칙중심 회계기준 아래에서 원고 바이오로직스에 주어진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는 법원 판단을 ‘분식회계가 있었다’고 봤다고 해석할 것인지는 좀 더 따져볼 문제지만 지난 2월 재판과는 확연하게 분위기가 다르다.
  • 언뜻 바이오로직스가 승소한 것 같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이재용에게 크게 불리한 결과다. 과징금 80억 원이 문제가 아니라 이재용이 다시 감옥에 가느냐 마느냐의 문제다.
  • 2015년 1조9049억 원의 당기순이익이 명백한 분식회계고 제일모직의 합병 비율을 유리하게 만들기 위한 불법이라는 법원의 판단이 나온 이상 이재용의 형사 처벌 가능성이 다시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