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송구하고 힘들다.”

  • 자살한 권익위 국장이 죽기 며칠 전 이런 메시지를 보냈다고 한다. “권익위 수뇌부가 내 생각과 다르게 종결 처분을 밀어붙였다. 송구하다. 힘들다.”
  • 이 국장의 지인은 1992년 군 부재자 투표 부정을 폭로했던 이지문(당시 중위)이었다. 이지문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권익위 국장과 이틀 전 나눈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 이지문이 “조금만 참으세요”라고 했더니 “교수님(이지문)이 겪으셨던 것보단 쉽다고 생각하며 위안을 찾고 있습니다”라고 했다고 한다.
  • 최정묵(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 소장)은 죽기 전에 이 국장과 통화를 했다고 한다.
  • “고인은 반부패 분야 최고 전문가인 데다, 그를 아는 모두가 강직하고 원칙적인 사람이라고 한목소리로 말한다. 조사를 제대로 할 수 없었던 상황이 억울하고 답답했을 것이다.”

유철환‧정승윤 물러나야 한다.

  • 이지문은 “법을 개정해서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임직전 3년 내 선출직에 예비후보 등록했거나 출마했던 자와 대선캠프에서 직책을 맡았던 자는 최소한 배제하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 이지문에 따르면 디올 백 사건은 정승윤(권익위 부위원장)이 주도했다. 윤석열 대선캠프 출신이다. 유철환(권익위 위원장)은 윤석열의 대학 동기다.
  • 정승윤이 권익위 회의에서 “연약한 여자를 교묘하게 함정 수사로 이용했다”면서 소수 의견을 가로막았다는 내부 고발도 있었다.

쟁점과 현안.


김경수 복권? 윤석열과 한동훈의 다른 셈법.

“김건희 조사, 법과 원칙 따랐을 것.”

  • 역시 심우정(검찰총장 후보자)의 첫마디는 윤석열이 듣고 싶어 했던 말이었다.
  • 김주현(대통령실 민정수석)이 직속상관이었고 정진석(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심우정의 아버지(심대평, 전 충남도지사)와 가까운 사이다.
  • 심우정은 2020년 법무부 기조실장 시절 추미애(당시 법무부 장관)가 윤석열(당시 검찰총장)을 징계했을 때 강경하게 반대하다 결재 라인에서 배제되기도 했다. 그만큼 윤석열과 가까운 사이라는 이야기다.

광복회, 광복절 기념식 불참 선언.

더 깊게 읽기.


전기차 포비아 원인은 정보 비대칭.

유럽에서는 배터리 여권제.

  • 인천 전기차 사고의 벤츠EQE에 파라시스 배터리를 썼다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불안 심리가 커지고 있다.
  • 현대차와 기아차는 모든 배터리 정보를 공개하기로 했다.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6, GV60 등은 SK온 배터리를 썼고 캐스퍼 일렉트릭은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썼다. 코나일렉트릭 2세대는 CATL 배터리를 썼다.
  • 중국은 배터리 이력 추적 플랫폼을 구축했고 유럽 연합은 배터리 여권 제도를 도입했다.
  •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와 3위는 중국 업체다. CATL과 BYD가 각각 30%와 11%를 차지한다. LG에너지솔루션(16%)이 2위다.

완충차 출입금지?

스프링클러가 해답?

경합주도 해리스가 앞서나.

  • 펜실베이니아와 미시간, 위스콘신 등 이른바 3대 경합주에서 모두 카멀라 해리스(민주당 후보)가 트럼프(공화당 후보)를 4%포인트 이상 앞질렀다.
  • 뉴욕타임스는 해리스의 호감도가 10%포인트 이상 올랐다고 분석했다.

학교 기도실에 폭격.

다르게 읽기.


‘독재의 평범성’.

  • 스티븐 레비츠키(하버드대 교수) 등이 쓴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에 나오는 말이다. 트럼프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괴물이 아니다. 다만 민주주의에 무심했을 뿐이다. 이들이 반민주적 극단주의를 묵인하는 이유는 그게 가장 쉽게 갈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 정혜승(오티움 대표)이 보기에 한국 상황도 다를 바 없다. “정부는 독립기념관장에 친일파 인사를 임명하고 일본의 과거사 세탁에 눈감고 입 닫았다. 한국 국민 가운데 여기에 동의하는 이가 얼마나 될까.”
  • 무엇을 해야 할까. 실질적 정치 경쟁을 활성화해야 한다. 더 많이 떠들어야 한다. 개혁을 공적 사안으로 만들어야 한다. “정치 토론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사람들이 열망하거나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점차 바꿔나가야 한다”는 이야기다.
[소수의 지배], 영어 출판본 모습.

수사기관이 국민 10% 개인정보 수집.

  • 경찰과 검찰 등이 지난해에만 463만 명의 통신 이용자 정보를 조회했다.
  • 전화번호의 주인이 누군지 확인했을 뿐이라고 하지만 피의자와 참고인의 통화 상대방과 연결 고리를 확인하는 데 쓰는 만큼 사법적인 통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 권향엽(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통신 이용자 정보 조회는 2019년 603만 명에서 2022년 434만 명까지 줄었다가 윤석열 정부 2년 차에 463만 명으로 늘었다.

해법과 대안.


맥주병 탄소 발자국이 맥주캔의 14배?

  • 갈색 맥주병의 탄소 발자국은 500ml 3병 기준 1424.9gCO₂eq다. 투명 맥주병은 1564.3gCO₂eq로 좀 더 높다.
  • 페트병(1.6리터 1병 기준)은 129.7gCO₂eq, 캔(500ml 3캔 기준)은 103.6gCO₂eq이다.
  • 같은 용량이라면 맥주병이 맥주캔보다 14배 가까이 탄소 발자국이 높다는 이야기다.
  • 다만 맥주병은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고 맥주캔은 한 번 쓰고 버린다는 게 차이다.
  • 맥주병을 11번 이상 재사용해야 페트병이나 캔보다 탄소 발자국이 더 낮지만 한국에서는 5~10회 정도 쓰고 버린다고 한다. 독일은 최대 40회까지 재사용한다.
  • 텀블러 역시 마찬가지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45.8gCO₂eq, 스테인리스 텀블러는 709.4gCO₂eq, 플라스틱 텀블러는 120.7gCO₂eq다. 텀블러도 여러 번 써야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검찰‧경찰 조사, 영상으로 찍고 증거로 쓰자.

  • 김예원(장애인권법센터 변호사)은 피의자 신문조서의 두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 첫째, 영상 조사실에서 조사받으면서 기록한 영상 녹화물을 증거로 채택하지 않는 것은 문제다. 글보다 말이 더 강하고 정확한데 법이 그렇게 돼 있기 때문이다.
  • 둘째, 형사 소송법이 개정되면서 신문조서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하면 증거로 쓸 수 없게 됐는데 이것도 문제다.

산부인과 원가 보전율은 61%.

재고용? 정년 연장?

  • 한국은 이미 취업자 5명 가운데 1명이 60대다. 60세 이상 취업자가 637만 명(22%)에 이른다.
  • 미국과 영국은 각각 1967년과 2006년에 정년 제도를 폐지했다.
  • 한국은 1000명 이상 사업장 가운데 호봉제를 채택한 곳이 65%, 직능급과 직무급이 각각 22%와 33%에 이른다.
  • 일본에서는 기업에 정년 연장과 재고용, 노력 의무의 세 가지 옵션을 줬는데 76%가 재고용을 선택했다. 정년 이전 대비 평균 70% 수준의 임금을 받는다.

오늘의 TMI.


웨이팅게일.

난카이 대지진 공포.

밑줄 쳐 가며 읽은 칼럼.


노무현과 윤석열의 차이.

  • 2006년 조선일보가 노무현(당시 대통령)을 “계륵 대통령”이라고 비난했다. 한 참모가 조선일보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하자고 주장했는데 다른 한 참모가 “대통령 하명 수사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면서 “결국 민심만 더 나빠진다”고 지적했다.
  • 검찰의 생리를 잘 아는 윤석열은 달랐다. 검찰이 윤석열의 명예훼손을 수사하겠다며 설치는데 말리기는커녕 ‘찐윤’ 검사들로 바꿨다. 심지어 이창수(서울중앙지검장)는 이원석(검찰총장)을 패싱하고 김건희를 출장 조사했다.
  • 이춘재(한겨레 논설위원)는대통령 한 사람만 쳐다보는 검찰은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김건희의 시장 나들이가 말하는 것.

차별을 논란으로 중계하는 언론.

  • 이마네 칼리프(알제리 권투선수)와 링위팅(대만 권투선수)을 다룬 언론 보도는 엉망이었다.
  • 강형철(숙명여대 교수)는 “생소한 사안일수록 ‘기이함’에 대한 집착보다 사실 확인과 전문가 자문 등 다면적 정보 취합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의철(상지대 교수) 등은 “언론이 소수자 문제를 다룰 때 과정보다는 당장 드러나는 현상에만 관심을 두고, 맥락보다는 고정관념이나 친숙한 이미지에 근거해 프레이밍 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 대략 세 가지 문제가 있다.
  • 첫째, 필요하지 않을 경우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을 밝히지 말아야 한다. “성별 논란이 있다”는 정도로 언급해도 충분했다.
  • 둘째, 일부 유명인들의 발언을 인용해서 논란을 부추긴 것은 전형적인 소수자 공포 프레임이다. 정작 논란을 보도한다면서 반론은 없었다.
  • 셋째, “남성 염색체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이라고 했을 뿐 확인된 바는 없다. XY 염색체를 가졌는지 여부도 확실하지 않다.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부적절한 표현이다.

관련 글

첫 댓글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