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슬로우리포트] 국민연금 막판 협상, 누가 거짓말을 하나: 더 내고 더 받는 개혁, 이것이 최선일까.

이재명(민주당 대표)이 승부수를 던졌다.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여당이 제시한 소득대체율 44%를 전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꼭 해야 할 일인데 시간은 없으니 불가피하게 민주당이 다 양보하겠다”면서 “1%포인트 차이 때문에 연금 개혁안을 무산시킬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게 왜 중요한가.


  • 이재명의 제안이 받아들여진다면 지지부진했던 연금개혁이 16년 만에 한 단계 앞으로 나갈 수도 있다.
  • 하지만 13% 보험료율에 44% 소득 대체율이 선택 가능한 최선인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당장 보험료율 인상이 시급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더 내고 더 받는 구조에서는 재정 안정에 큰 도움이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득대체율을 올리는 건 개악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 연금 개혁은 고도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한 사안이다. 정작 윤석열(대통령)은 발을 빼고 있고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숫자 게임으로 변질될 우려가 크다.

핵심 쟁점.


  • 지금 국민은 소득의 9%를 보험료로 내고 65세 이후에 평균 소득의 40%를 연금으로 받는다.
  • 시민대표단은 보험료율을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는 방안을 채택했다.
  •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보험료율 인상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각각 소득대체율을 43%와 45%로 올리자는 안을 내놨다. 조금씩 말이 바뀌긴 했지만 결국 1%포인트의 입장 차이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충돌하는 지점.


  • 국민의힘이나 민주당이나 말이 조금씩 바뀌었다.
  • 2주 전까지만 해도 “2%포인트 차이로 불발”이라는 기사가 쏟아졌다. 국민의힘 43%와 민주당 45%가 팽팽하게 맞섰다.
  • “양쪽 주장을 1%포인트씩 양보하는 44%로 합의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던 게 조선일보다. 중앙일보도 “보험료 13%-소득대체율 44%안이나 그 언저리가 현실적인 대안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때만 해도 43 Vs 45 구도였다.
  • 7일 국민연금 특위 회의에서 “소득대체율을 각자 한 발씩 양보해 44%로 합의하자”고 제안한 게 국민의힘이었고 민주당이 거부했다. 44 Vs 45 구도로 바뀌었다.
  • 국민의힘 44%가 공식 제안으로 굳어진 건 10일 유경준(국민의힘 간사)의 페이스북 글이 계기다. “소득대체율 44% 수정 제안에 책임있는 답변을 하라”고 주장했다.
  • 그런데 이재명이 24일 “44%와 45% 사이에서 타협할 의사가 명확하게 있다”고 제안하면서 판이 달라졌다. 43~44 Vs 44~45 구도가 됐다.
  • 이어 25일에는 “민주당이 다 양보하겠다”면서 “여당이 제시한 소득대체율 44%를 전적으로 수용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제 44 Vs 44의 구도가 됐다. 이제는 소득 대체율이 쟁점이 아니고 합의를 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됐다.

말이 달라졌다.


왜 달라졌을까.


  • 국민의힘이나 민주당이나 지금의 국민연금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데 동의한다. 재정안정이 핵심 키워드라는 이야기다.
  • 하지만 연금 개혁은 어떻게든 욕 먹는 일이고(실질 소득이 줄어들 텐데 기분 좋을 사람은 많지 않다) 국민의힘이나 민주당이나 선거에 미칠 영향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연금 개혁에 들러리를 설 이유가 없고 가뜩이나 윤석열도 한 발 빼고 있는 상황인데 굳이 먼저 치고 나갈 이유도 없다. 애초에 연금 개혁은 국회가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주도해야 하는 사안이다.
  •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하기는 해야 하지만 굳이 욕 먹을 일을 떠안는 게 부담스러웠을 수 있다. 총선 전에도 그랬고 참패 이후에는 민주당 핑계를 댈 수 있게 됐다.
  • 그래서 적당한 안을 내놓고 결렬시켜서 다음 국회로 넘기려고 했을 텐데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두 당이 내놓은 안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서로 상대방에게 결렬의 책임을 떠넘기고 싶어서 눈치를 보고 있는데 이재명이 승부수를 던졌다.
  • 정권 교체를 노리는 이재명 입장에서는 윤석열 정부에서 연금 개혁을 마무리 짓는 게 유리하다. 욕을 먹어도 윤석열이 더 먹고 다음 정부는 부담이 덜하다.
  • 최근 논란의 본질은 결국 누구 때문에 판이 깨졌느냐를 두고 벌어지는 명분 싸움이다.
  • 애초에 이재명 입장에서는 잃을 게 없는 승부수였다. 국민의힘이 받으면 이재명의 통 큰 양보로 국민연금 개혁의 물꼬를 텄다는 명분을 얻고 국민의힘이 안 받으면 양보를 했는데도 국민의힘이 어깃장을 놓았다고 비난할 수 있다.
  • 그래서 43 Vs 45 구도로 출발했는데 국민의힘이 먼저 1%포인트를 양보해서 43~44 Vs 45 구도가 됐다. 이제 민주당이 받을 차례다.
잃을 게 없는 이재명(민주당 대표).
  • 그런데 갑자기 이재명이 44%를 받겠다고 하니 국민의힘이 난감한 상황이 됐다.
  •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판이 깨져야 하는데 깨지지 않는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구조 개혁을 같이 해야 한다는 핑계를 대면서 다음 국회로 넘기려 할 가능성이 크다.
  • 당장 채 상병 특검법도 부담이다. 민주당이 채 상병 특검법을 28일에 재의결한다는 계획인데 국민의힘은 남은 국회 일정을 모두 보이콧하고 싶어한다. (아무 것도 하지 않고 21대 국회가 끝나기를 바란다.) 하지만 채 상병 특검법이 본회의에 올라오면 국민의힘도 투표에 참여해서 총력 방어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조선일보는 왜 이럴까.


  • 조선일보는 24일 1면 머리기사에서 “44%와 45%는 받는 돈 1만 원 차이”라고 지적했다. 어차피 큰 차이 없으니 합의해서 통과시키자는 말이다.
  • 25일 사설에서는 “민주당이 이 문제만큼은 정치적 계산을 뒤로하고 나라를 앞세워주기를 고대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절박한 ‘연금 개혁’ 민주당이 처리하면 수권 자격 입증할 것”이라는 사설 제목도 파격적이다.
  • “내는 돈’ 13% ‘받는 돈’ 44% 안을 처리하고 그 평가를 국민에게 맡긴다면 당장 정치적 손해를 보더라도 다음 지방선거와 대선에서 국민 신뢰를 얻을 것”이라고도 했다.
  • 조선일보의 이런 입장은 그동안의 논조를 보면 이해할 수 있다. 지금의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은 고소득 계층에 더 유리하다. 조선일보는 과거에도 여러차례 보험료 상한액을 더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국민연금은 한국의 그 어느 금융상품보다 수익률이 좋다.
  • 국민연금은 납입 기간이 긴 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유리한 제도다. 여유 자금이 있는 사람들은 더 많이 내고 더 많이 돌려 받는다는 데 반대할 이유가 없다. 국민의힘 안이든 민주당 안이든 보험료율이 13% 올라가더라도 그 이상으로 돌려 받는다면 기꺼이 환영할 일이다. 수익 비율이 조금 낮아지긴 하겠지만 여전히 국민연금은 최고의 금융상품이기 때문이다.

누가 거짓말을 하나.


  • 이재명이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는 건 맞다.윤석열 정부도 소득 대체율 45%를 실무적 안으로 제시한 바가 있다”고 주장한 건 사실일 수 있지만 공식 제안으로 남아있는 게 없고 맥락도 조금 다르다.
  • 두 가지 의도가 있을 수 있다.
  • 첫째, 일단 통 크게 양보했다는 명분을 확보할 수 있다. 어쨌든 연금 개혁의 책임은 윤석열 정부가 진다. 반발이 없지 않겠지만 일단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올리는 것만으로도 큰 진전이라고 할 수 있다.
  • 둘째, 국민의힘의 반대로 딜이 깨지는 게 유리하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 만약 민주당이 딜을 성사시킬 생각이라면 지금 상황에 윤석열을 굳이 자극할 이유가 없다. 이 상황에서 윤석열이 거짓말을 했다고 주장하면 윤석열 입장에서는 받고 싶어도 받기 어렵게 된다. (아, 우리가 45%를 제시한 적 있었군요, 44%면 받아야겠네요, 하지는 않을 것이다.)
  • (위 그림은 국민연금 재정추계위가 전망한 한국 경제 성장률과 제도 수급비를 나타낸 것이다. 경제 성장률은 계속 떨어져서 2061년 이후에는 0.2% 수준에 머문다. 제도 수급비는 국민연금 납부자 대비 수급자의 비율을 말한다. 2050년 이후 100%가 넘게 된다.)

13%-44%, 이것이 최선인가.


  • 신인석(중앙대 교수)은 서둘러 합의 처리할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세 가지 이유에서다.
  • 첫째, 여전히 내는 것보다 더 받는 구조고 땜질 처방일 수밖에 없다. KDI(한국개발연구원)가 제안한 신연금과 구연금을 분리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다.
  • 둘째, 논의 방법의 결함이다. 시민 대표단의 공론 조사에 정작 미래 세대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았다.
  • 셋째, 정작 정부는 아무런 안도 내놓지 않았다. 국회가 아니라 정부가 문제 해결의 주체가 돼서 역사적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이야기다.

소득 대체율의 함정.


  • 보험료율 2%포인트 인상은 소득 대체율 4%포인트 인상과 맞먹는다. 소득 대체율을 올리면 그만큼 보험료율 인상 효과를 깎아먹는다는 이야기다.
  • 이번에 40%에서 44%로 4%포인트 올리면서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4% 올리는데 합의하더라도 실제로 재정 안정에 미치는 효과는 2%포인트 인상 효과에 그친다는 이야기다.
  • 연금은 당연히 많이 받으면 좋다. 우리가 간과해서 안 될 부분은 많이 내고 많이 받아가면 그만큼 기금이 소진되는 시점도 앞당겨진다는 사실이다.
  • 여기에서 두 가지 질문이 필요하다.
  • 첫째, 더 내고 덜 받기를 해도 부족할 판 아닌가.
  • 둘째, 지금도 용돈 연금이란 비판이 많은데 덜 받으면 더 쪼그라드는 거 아닌가.
  •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은 이것이다. 일단 지속 가능하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다. 기금이 소진되면 국가가 책임지면 된다고 하지만 보험료로 막든 세금으로 막든 본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우리가 더 내지 않으면 우리보다 훨씬 더 숫자가 적은 우리 다음 세대가 막을 방법이 없다.

오건호의 답변.


  • 국민연금 논의에 참고할 만한 교과서 같은 책이 오건호(내가만드는복지국가 운영위원장) 등이 쓴 ‘연금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들’이다.
  • 오건호는 “노동시장 중심부 가입자(주변부에 비해 임금 2.7배, 근속연수 6배)에게 더 큰 혜택이 돌아가는 역진성이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 2022년 12월 기준 1인당 국민연금 평균 급여는 58만 원 수준이다. 오건호는 어차피 국민연금만으로 미래를 책임질 수 없다고 본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퇴직연금을 묶어서 노후를 다시 설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 오건호는 “국민연금의 수입-지출 불균형이 심각하고 어느 나라보다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데도 ‘미래 세대는 다 감당할 것’이라는 주문은 한국 진보 진영이 사회적 연대와 지속 가능성에 얼마나 무관심한지 여실이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팩트를 보자.


  • 한국 국민연금의 소득 대체율은 실제로 평균 31.2% 정도다. 흔히 말하는 소득 대체율은 40년 동안 보험료를 낸다고 가정할 때 이론적인 계산이고 실제로는 32년이 채 안 된다는 이야기다. 당연히 안정적인 직장에 다니는 고소득 계층이 납입 기간이 길고 보험료도 더 많이 내고 은퇴 이후에 더 많이 돌려 받는다.
  • 국민연금관리공단 2022년 통계를 보면 18~59세 인구 가운데 보험료 납부자는 59%밖에 안 된다. 공무원연금 등 특수 직역 연금 가입자 6%를 빼도 전체 생산 가능 인구 가운데 35%가 국민연금의 사각지대라는 이야기다. 국민연금은 이들의 노후를 책임질 수 없다.
  •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를 보면 상용직 임금 노동자는 연금 가입율이 90%가 넘는데 임시 일용직 정규직 노동자는 54%, 비정규직 노동자는 43%에 그쳤다.

간단한 시뮬레이션.


  • 위 그림은 소득과 납입 기간에 따른 국민연금 수익 비율을 비교한 것이다. 소득도 중요하지만 납입 기간도 중요하다. 소득이 높을수록 수익 비율이 낮아지는 재분배 효과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지금의 국민연금은 낸 것보다 훨씬 더 많이 받아가는 구조다.
  • A 사례: 소득이 월 500만 원인 사람이 보험료를 월 9만 원씩 10년 냈다면 65세 이후 달마다 20만1950원을 받게 된다. 10년 동안 1080만 원을 내고 85세까지 산다면 20년 동안 4846만8000원을 받는다. 이 경우 수익비는 4.5배로 꽤 높은 편이다.
  • B 사례: 소득이 월 500만 원인 사람이 보험료를 월 45만 원씩 40년 냈다면 65세 이후 달마다 160만2840원을 받는다. 40년 동안 2억1600만 원을 내고 85세까지 산다면 20년 동안 3억8468만1600원을 돌려받게 된다. 수익비는 1.8배에 이른다.
  • 두 경우를 비교하면 소득이 적고 가입 기간이 짧을수록 수익비가 더 높지만 실제로 받아가는 돈은 소득이 많고 가입 기간이 길수록 훨씬 더 많다. A는 기금 부담이 -3767만 원이지만 B는 -1억6868만 원이다.
  • 만약 더 내고 더 받는 개혁을 하면 A와 B에게 나가는 돈이 더 늘어나고 기금 부담도 그만큼 커진다.

중간 결론.


  • 아직 진행 중인 사안이니 중간 결론을 내려보자.
  • 보험료율을 올리는 것만으로 한 단계 나간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더 내고 더 받는 걸로는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고 재정 안정 효과도 크지 않다.
  • 국민의힘의 진정성과 별개로 국민연금 개혁은 기초연금 확대와 국민연금 사각 지대를 보완하는 패키지 개혁이 함께 가야 한다.
  • 이거라도 하자는 주장과 이렇게 적당히 덮고 가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맞선다. 분명한 것은 우리가 이 문제를 제대로 논의해 본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 윤석열과 이재명 가운데 국민연금의 미래를 더 걱정하는 사람은 누구일까. 사실 둘 다 고민이 깊지 않은 것 같다. 시간이 지나서 13+44% 개혁을 성공한 개혁이라고 평가할까. 아닐 가능성이 크다. 정치적 결단인가. 그것도 아니다. 국민이 동의할까. 그것도 아니다. 21대 국회에서 서둘러 처리해야 할까. 조선일보가 다급하게 밀어붙이는 이유를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올 수도 있다.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