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개인이 네이버 댓글을 매크로 돌려서 여론 조작을 시도하고 그걸로 정치적 권력을 얻고자 한 속칭 ‘드루킹 사태’는 ‘댓글’이라는 온라인 소통 장치에 대해 진지하게 돌아볼 것을 요구한다.

원문과 하단 댓글은 적어도 00년대초 이래로 당연한 형식이 된 웹 공간의 흔한 내용 구현 방식이다. 특히 댓글에 사람들은 ‘공론장’의 희망을 오래 전부터 걸곤 했는데, 일방적으로 던지는게 아니라 읽는 사람들이 뛰어들 여지가 생기며 뭔가 양방향 ‘소통’이 이뤄지는 모양새였기 때문이다.

기사 댓글의 규범성 

그런데 댓글 자체가 사실상 본문인 토론방이 아니라 명백하게 본 정보가 원문에 있는 경우, 그러니까 기사의 경우는 약간 미묘하다.

기사 댓글의 규범적 기능, 그러니까 이상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 불특정 다수가 협업하여 제공한, 추가적 정보·관점의 망라.
  • B. 사안에 대한 토론 활성화. 기사에서 정보를 얻고 논하는 것이니까 숙의 토론의 희망까지.
  • C. 기사에서 다루는 사인에 대한, 여론 확인.

물론 그런 것이 이뤄지는 기반에는, 즉각적인 기계적 효용이 있다:

  • A-1. 어떤 생각의 정당성 확인. (예: “나는 혼자가 아니야”)
  • B-1. 댓글을 올리면 내 주장이 모두에게 선보여진다는 즉각적 효능감.
  • C-1. 공간을 운용하는 이들의 입장에서는, 여론이 형성되는 장이라는 느낌을 줘서 이용자 유치하기.

효용을 바탕으로 규범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면 그야말로 이상적이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실제로는 적잖이 어려운 필요조건이 존재한다 :

  • A-2. A가 이뤄지려면, 실제로 대안적이고 유용한 정보와 관점을 지닌 이들의 반응이 전면으로 끌어올려져야 한다.
  • B-2. B가 이뤄지려면, 논리와 근거에 기반하는, (거의) 모두가 지켜주는 토론의 룰이 필요하다.
  • C-2. C가 이뤄지려면, 실제 여론 분포가 보이도록 표집의 대표성이나 총체적 지도가 필요하다.

토론 대화 사람 시민

기사 댓글이 망하는 이유 

그런 전제를 갖추지 않고, 그냥 공간만 주어지면, 아주 장기적으로는 어떤 균형점이 자생적으로 올라올 수 있을지 몰라도, 기본적으로 웬만하면 망한다. 망하면 장기적이고 뭐고 없다.

  • A-3. 쓰레기 정보·관점이라도, 많이많이많이 올리기만 하면 다른 정보를 밀어낸다.
  • B-3. 분노의 고함 대잔치.
  • C-3. 조롱이 호쾌할수록 히트를 치며, 분위기를 읽는 순환 과정 속에 단순화 극단화.

포털 뉴스 공간은 그 거대한 기사 공급 규모 때문이라도 우선 망하기가 너무 쉽다.

  • A-4. 수많은 기사단위로 댓글잔치가 이뤄지기 때문에 정보와 관점이 나온들 사안 토론에 활용되기 어렵고 걍 흐트러진다.
  • B-4. 룰이 있다고 한들 그 수많은 이들 상대로 집행할 방법이 없으니 뭐 걍 분노의 고함대잔치.
  • C-4. 튀어보자(얍!).

그리고 양이 압도적인 공간이라면 “양”적인 측면을 어떻게든 조작하는 방법을 누군가가 찾을 수 있다는 취약점까지 함께 고려해야 한다. 입력 매크로라든지.

그렇게 망하다보면,

  • 심지어 댓글이 붙은 본문 내용에 대한 인상까지 함께 망한다(실험적으로 검증됨).
  • 망한 댓글동네라는 인식때문에, 망한 댓글러들만 더욱 신나서 남는다.

 

대화

해결책 

해결책으로 생각해볼만한 건 크게 이렇게 나뉜다.

  • X. 댓글을 없애기(예: NPR) → 변주: 댓글을 디폴트로 닫아놓고 원하는 이들만 펴서 읽을 수 있게 장치(예: 많은 미국 쪽 언론사)
  • Y. 댓글 기능을 다른 데에 넘기기(예: 아예 기사 본문까지 다른 데에서 보라고 아웃링크) → 변주: 다른 공간에서 모아오기. (예: ‘소셜댓글’류) ⇒ 변주: 다른 전문업체에게 맡기기 (예: Disqus)
  • Z. 헉 놀랄만큼 뛰어난 새로운 의견 더하기 시스템을 구축하기.

그런데 단점이 있다.

  • X의 단점은, 업체가 사용자들의 (질적으로 몰락했을지언정) 열띤 양적 호응을 포기해야한다는 것이다.
  • Y의 단점은, 퀄리티에서 별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어차피 아무말 대잔치.
  • Z의 단점은, 그런걸 만들어내는게 헉 놀랄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일정 규모 이상의 포털 뉴스에는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여 X를 강제하거나, Y의 퀄리티를 올리거나, 아니면… Z를 만들거나.

Z에 필요한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 이슈 단위의 공간: 기사 단위가 아닌, 이슈 단위의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즉, 기사 댓글 게시판이 아니라, 이슈 토론방 개념으로 해당 이슈 토론방에는 주요 기사들이 머리말 공지로 링크 정리되어, 언제나 참조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 토론 규범 관리(관리자): 토론 규범 관리를 위해서는 도를 넘는 내용을 판단하고 밀어내는 관리자 역할을 넣어야 한다.
  • 논의 경과 정리: 질적인 논의 경과 정리. 모든 담론이 망하는 흔한 과정이, 이미 다 논의한 내용을 처음부터 또 해야하고 또 해야하다가 지쳐 나자빠지는 것이다. 그간 논점 요약이 정리되어, 시즌4부터 봐도 줄거리 따라잡게 하지 않으면 영원한 시즌1 1화다.
  • 여론에는 기대하지 말자: 자유 참여에 의한 댓글 토론 류로 엿보는 것은 각종 생각들의 브레인스토밍이지, 분포가 아니다. 그런건 별도로 적절히 인구 요인 통제된 여론조사를 매우 자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이룹시다.

E의 목적은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조직의

결국, PC통신 시절 토론방 구조, 디씨의 안 망가진 마이너취향 갤러리들의 공지 방식, 레딧(Reddit)의 소재 분류 모습들을 일정부분 떠올려 섞어보게 된다. 각 기사의 말미에, 해당 기사와 관련 높은 토론방으로 연결[footnote]토론방은 자유생성 가능하되, 대·중·소 분류로 주제를 체계적으로 묶어냄[/footnote]하고, 연결이 이상하게 이뤄지지 않도록 하되 엄청난 기사 규모도 함께 감안해야 하니 자연어 분석 + 인간 큐레이션의 적절한 혼합법도 찾아야한다. 그 토론방에는 머리말에 그간 내용 FAQ와 최근의 관련 여론조사 결과 그래프가 붙어 있어야 한다.

토론에 참여한 내용은 당연히 찬반 투표(up/down vote)가 이뤄지되, 개인화된 여러 정렬 방식이 가능하다. 방에는 개설자, 참여자들의 투표, 혹은 업체에서 배정하는 게시판지기(!)가 있고. 확장된 논의가 가능하도록 모든 댓글에 퍼마링크를 지원해야 한다.

이왕 하는 김에, 그 사안과 관련해 실제로 실천·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공식단체 링크(예: 민변 후원, 정당 가입, 서명, 봉사 자원 등)도 검색결과로 함께 사이드바로 제시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니까 정보, 토론, 실천의 허브를 구성해야 한다.

적고 보니 역시 개발에 많은 재원이, 자발적인 운영 문화 수립에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한 방식이다. 강제로 시키지 않는 한, 아무도 안 할 것 같다. 찔끔찔끔 이번에 당장 적발된 어뷰징 기술 하나쯤 막고 눈 가리고 아웅하지 않길 바랄 뿐이다.

[divide style=”2″]

¶  관련 기사: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