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지난 6일 국토부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도시공사는 ‘누구나집’(분양가 확정 분양전환형 공공지원 민간임대사업) 시범사업 택지공모를 8일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누구나집’, 어떤 사업인가 

정부나 집권 여당은 누구나집이 무주택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내집 마련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공기업이 강제수용한 택지를 민간업자에게 팔아서 진행되는 ‘누구나집’은 서민주거안정이 아닌 공기업과 민간업자의 이익추구 사업에 불과하다.

특히 문재인정부의 집값폭등으로 어느때보다 공공주택 확보가 절실한 상황에서 강제수용한 택지조차 공공주택이 아닌 민간임대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은 국민으로부터 부여받은 3대 특권(강제수용권, 용도변경권, 독점개발권)을 남용하여 공기업과 민간업자만 배불리겠다는 것과 다름없다.

[box type=”info”]

‘누구나집’이란?

  • 통칭 ‘누구나집’은 분양가 확정 분양전환형 공공지원 민간임대사업이다.
  • 정부는 집값의 10%만 보증금으로 부담하고, 향후 10년을 저렴한 임대료(일반공급: 시세의 95% 이하, 특별공급: 시세의 85% 이하)로 살 수 있기 때문에 청년·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을 위한 정책이라고 강조한다.
  • 민간업자: 공공택지를 사들여 집을 짓는다.
  • 소비자: 우선 집값의 10% 수준의 부담으로 입주하고, 10년 후 확정 분양 가격으로 분양받는다.
  • 분양 전환 가격(확정 분양 가격)의 상한: 감정 가격에 사업 착수시점부터 분양 시점까지 연평균 주택가격 상승률 1.5%를 적용한 주택 가격. 이 가격은 분양 전환 가격의 상한이고, 소비자가 지급해야 하는 확정 분양 가격의 상한이다.
  • 시세차익이 발생 시: 그 이익을 민간업자와 나눈다.

[/box]

누구나집은 임차인을 위한 최선일까, 아니면 민간업자를 위한 꼼수일까
누구나집… 임차인을 위한 최선일까, 아니면 민간업자를 위한 꼼수일까

중단된 ’10년 공공임대주택’ 사업의 추억 

공기업에 국민 땅에 대한 강제수용·용도변경·독점개발 등의 특권을 부여한 것은 장사가 아닌 서민에게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서다. 특히 토지는 임대하고, 건물만 분양하면 1억5천만 원(평당 600만 원, 25평 기준)만 부담하고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 토지 임대료는 원가 기준으로 매월 부담하면 서민의 주거비 부담을 낮출 뿐 아니라 주변 집값도 끌어내릴 수 있다. 토지를 공공이 소유하면 공공 자산이 증가하고 불로소득 사유화를 차단할 수 있다.

정부는 누구나집을 서민 주거 안정으로 포장하고는 있지만, 강제수용한 택지를 민간업자에게 팔면 공기업은 땅 장사로 이득을 취하고, 민간업자는 집 장사로 이득을 취할 뿐 집값 안정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다. 분양가도 현재 시세를 고려한 감정가에서 출발, 10년간 매년 1.5%의 상승률을 적용하면 강제수용 택지에서조차 지금처럼 거품이 잔뜩 낀 집값을 다 받겠다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참여정부 때 무주택 서민의 내집마련을 지원한다며 판교 등에 도입한 ’10년 공공임대주택’도 10년 입주 후 분양 전환을 앞두고 비싼 분양전환가를 책정하여 입주민을 내쫓는 공기업 부당이득 사업으로 변질되어 비난을 자초했다. 이에 정부도 2019년에 10년주택 사업을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10년 공공임대주택 사업 중단을 알리는 서울경제 보도 중 일부 갈무리 (출처: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VJ1D4I8R7
2019년 5월 ’10년 공공임대주택 사업’ 중단을 알리는 서울경제 보도 중 일부 갈무리 (출처: 서울경제)

누구나집은 정부가 중단한 10년 공공임대주택과 다를 바 없고, 공기업과 민간업자가 앞으로도 서민 상대로 장사하도록 허용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 지분적립형 분양 주택도 집값의 10~25%만 있으면 입주할 수 있지만, 분양가는 시세보다 조금 낮은 수준으로 공기업과 건설업자의 장사수단인 것은 누구나집과 다를 바 없으며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

3기 신도시 사전청약, 공공재개발 등의 공급 확대책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치솟고 있는 이유는 정부가 바가지 분양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설립된 공기업조차 원가보다 부풀려 분양가를 책정, 부당이득을 취하는 현실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공급 확대책은 집값을 끌어올리는 투기조장책이 될 수 밖에 없다.

정부가 진정으로 지금의 집값 불안을 잡고 서민주거안정 의지가 있다면 공기업의 공공주택 사업부터 제대로 추진해야 한다. 지금은 분양원가 공개로 분양가의 거품을 걷어내고, 토지 임대 건물분양 및 30년 이상 장기공공주택 등 저렴한 공공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간 택지도 선분양을 허용하는 한 강력한 분양가 규제로 무주택서민의 내집마련 기회를 보장해줘야 한다. LH 혁신도 내년 대선과 지방선거를 의식한 면피용 대책이 아닌 해체 수준으로 쇄신하고, 개발사업이 아닌 주거복지 기관으로 거듭나도록 강도 높게 추진되어야 한다.

같은 아파트 단지라도 '임대'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은 '분양'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에게 공공연히 차별받는다. (출처: Joop, "Korean appartments", CC BY)
Joop, “Korean appartments”, CC BY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