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경선일을 두 달 반 정도 남겨두고(2015년 11월 현재) 이제 신인들이 시험대에 올라서고 있다. 열렬한 대중의 연호는 잦아들고 언론들은 기다렸다는 듯 아킬레스건을 찾아 활을 쏜다.
버니 샌더스 (vs. 힐러리 클린턴)
샌더스가 아직 자신의 조세정책의 큰 그림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소득 격차 축소를 가장 큰 공약으로 내세우는 후보라면 그 목표를 위한 조세개혁이 필수적이다. 샌더스가 아직도 틈새 후보라면 진작에 청사진을 내어놨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더는 군소후보가 아니라, 이길 수 있는 후보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다.
그렇다면 조세정책은 과격할 수 없다. 중도의 마음을 사야 하기 때문이다. 소득 격차를 줄이라는 자신의 지지기반과 중도를 어떻게 어떻게 동시에 만족하게 할 수 있는가? 정해진 답은 없다. 답이 있으면 우리는 굳이 정치인을 뽑지 않고 알고리듬을 사용할 것이다. 그럼 다른 후보는 그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가?
비슷한 예를 보자. 지금 미국 노동계의 뜨거운 이슈는 최저시급 15달러 쟁취다. 뉴욕주 주지사 앤드루 쿠오모(Andrew Cuomo, 1957년 ~ , 사진)는 최근 주 정부 고용인들에게 15달러 시급을 보장했고, 노동계는 공식적으로 그 액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15달러 시급을 들고 본 선거에서 이기기는 힘들다. 따라서 힐러리는 최소시급 12달러를 공약으로 했다. 중도를 겨냥한 후퇴다. 하지만 힐러리는 그러고도 시급에 가장 많은 관심이 높은 서비스노동자조합(SEIU)의 공개지지를 어제 당당히 따냈다. 중요한 승리다. 무엇보다 15달러를 쟁취하려는 단체가 15달러를 공약으로 내건 후보를 놔두고 12달러 공약의 후보를 지지하기로 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정치력이다.
물론 그를 위해 힐러리는 오바마가 체결한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TPP)에 반대하기로 하는 등의 거래를 했다. 힐러리 입장에서는 어차피 쉽지 않을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 비준과 샌더스의 숨통을 끊을 수 있는 서비스 노조의 지지확보 중에서 선택한 것이지만, 그러한 협상은 양측의 오랜 신뢰가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AFL-CIO라는 또 다른 대형 노조의 지지는 이미 확보했음은 물론이다. 신인이 지지율의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 기성 정치인의 힘은 이런 데서 나온다.
벤 카슨
한편 토론회와 폭스뉴스에 나와서 외교지식이 부족함을 드러낸 공화당의 벤 카슨에게는 뉴욕타임스가 칼을 꽂았다. 카슨에게 외교 과외(이런 건 누구나 한다)를 시키던 군사전문가의 말을 빌려서 카슨이 외교 문제를 배우고 있는데 정말 이해하기 힘들어한다고 보도한 것이다.
가뜩이나 중국이 시리아에서 싸우고 있다는 황당한 소리를 한 상황에, 가르쳐도 안 된다는 보도가 그것도 뉴욕타임스에 떴으니 이미지에 큰 타격이다. 게다가 파리테러 이후 외교가 중요 의제가 된 시점에 찌른 칼날이라 더 깊숙이 들어갔다. 물론 캠페인 진영은 강력하게 반박을 했지만, 이제 외교지식을 증명하기 전까지는 무식한 후보다.
그리고 뉴욕타임스 보도를 시작으로 일제히 뿜어대는 언론의 포화 속에 카슨의 지지율도 실제로 떨어지고 있다. 아이오와의 여론조사에서 승승장구하며 트럼프에게서 잠시나마 1위를 빼앗았던 카슨의 지지율은 어차피 거품이었다. 기성 정치인들에게 실망한 공화당원들 중에서 트럼프에 질렸던 유권자들이 임시 거처로 차분한 카슨에게 잠시 기대를 했던 것일 뿐, 진정한 검증의 과정은 없었다.
하지만 파리의 IS 테러로 외교와 안보는 삽시간에 대선의 주요 의제로 떠올랐고, 카슨은 외교지식과 이해의 부족을 보이면서 추락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20% 아래로 떨어지며 트럼프과 크루즈를 이어 3위를 달리고 있고, 아이오와가 그런 모습을 보이면 다른 주들에서도 인기는 최고점을 이미 찍고 하강 중일 것이다.
트럼프 vs. 케이식
공화당을 주도하는 기득권 세력의 미움을 한몸에 받는 트럼프는?
이제까지 트럼프는 마치 때리면 때릴수록 강해지는 괴물 같은 존재였고, 사실 아직도 그렇다. 공화당 내에서는 누군가 무슨 수를 써야 한다는 이야기가 지난 여름 이후 꾸준히 나왔었지만, 인위적인 개입은 더 큰 논란을 부를 수 있으므로 경쟁후보들이 잡아주기를 바랐다.
문제는 랜드 폴이나 젭 부시처럼 트럼프에 정면으로 덤볐던 후보들은 모조리 나가떨어지면서 아무도 건드리기 싫어하는 후보가 된 것이다. 당을 위하기에 앞서 자신의 지지율을 지켜야 하지 않겠는가?
바로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사냥을 선언한 것이 존 케이식(John Richard Kasich, 1952년 ~ , 사진)이다. 트럼프가 공화당 주류의 입맛에 지나치게 보수, 독선적이라면 케이식은 지나치게 진보적인 후보. 오바마의 정책에 대해서도 좋은 건 좋다고 당당하게 이야기하면서 당원들의 미움을 받았고, ‘공화당의 양심’ 정도의 호감 외에는 이렇다 할 주목을 끌지 못했다.
그런 케이식(정확하게는 케이식의 수퍼팩[footnote]Super PAC: 무제한 정치자금 모금이 가능한 정치행동위원회(PAC; Political Action Committee)[/footnote])이 250만 달러 (한화 약 29억 원)짜리 광고 스팟을 사서 트럼프에 대한 직접적인 네거티브 광고(attack ad)의 포문을 열었다.
“이제는 더는 못 참는다 (Enough is enough)”
짜증스런 속내가 그대로 드러나는 선언과 함께 케이식의 수퍼팩이 선보인 광고 내용은 더 노골적이다. 이 정치광고는 트럼프가 마치 나치처럼 국민의 (특히 모슬렘의) 종교를 등록해서 관리해야 한다는 말을 했다가 그 뒤로 두 번이나 말을 바꾸는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왜 이제서야 이런 광고를 시작했을까? 이제 전세를 뒤집을만한 특별한 전략이 없는 케이식으로서는 최후의 무기를 꺼내 들고 ‘이 한 몸 바쳐’ 트럼프에게 돌격해보기로 했을 수 있다. 트럼프의 상승세도 멈췄고, 의제 변화로 트럼프의 장점도 시들해지는 시점이니 적기라고 판단했을 수 있다. 트럼프의 인기가 어차피 시들 시점이라면 자신의 광고 공격이 시점만 잘 맞추면 트럼프를 무찌른 공을 차지할 수도 있지 않겠는가?
공격을 받은 트럼프는 항상 그래 왔듯 온갖 막말 트윗을 날린 것뿐 아니라, 자신을 음해하면 거짓 사실로 인한 명예훼손으로 케이식의 수퍼팩을 고소하겠다는 위협까지 했다. 부동산 재벌이니 막강한 변호사들을 데리고 있을 것은 물론이다.
그런 트럼프의 위협을 들은 케이식 측은 이렇게 반응했다.
“Unfortunately, you can’t sue your way to the Oval Office. Trump can hire every trial lawyer in the country, but voters will ultimately decide this election. You can’t sue ISIS away. Suing Vladimir Putin won’t evict Russia from the Ukraine. The role of commander in chief requires leadership, not lawyers.”
-Politico, Trump threatens to sue pro-Kasich super PAC (2015.11.19)에서 재인용
한마디로 요약하면: 소송을 통해 대통령이 될 순 없다.
정말 멋진 시리즈예요 팬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