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x type=”note”]벌써 한편에서는 아직도 세월호 이야기를 하느냐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은 아쉬운 마음에 ‘그때 정부가 이랬다면’, ‘그때 해경이 저랬다면’, ‘만약 대통령이…’, ‘만약 장관이, 해경이…’ 라며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을 마음속으로 무한 반복합니다.
결국, 돌아오는 건 원점인 것 같지만 곰곰이 생각할수록 작은 차이들이 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차이들은 오늘 이 시간, 다른 모습이 되어 있었겠죠.
세월호 사건과 그 이후에 벌어진 일련의 일들에 대해 조금은 냉소적으로 생각하는 두 명의 가상 대화를 통해 과연 어떤 일들이 있었고, 어떤 오늘이 돼야 했는지를 반추해봅니다. (편집자)[/box]
A: 문재인이 대통령이었다면 세월호 참사를 막을 수 있었을까?
B: 아니. 운항 안전이 개판인 건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었고, 구난체계도 개판인 데다 배가 너무 빨리 가라앉았으니까. 그걸 미리 총점검을 통해 잡아냈을 가능성은 낮지.
하지만 어떻게든 제대로 된 상황을 보고받으려고 노력하고, 끊임없이 체크할 수는 있었을 거고, 일단 본부는 빨리 세웠을 가능성이 높지. 어쨌든 해난이잖아. 그게 정말 빨랐다면, 아주 조금은 달라졌을지도 모를 일이고. 하지만 크게 달라지진 않았을 거야.
[box type=”info”]
- 노컷뉴스 – [망각의 세월호] 미스터리의 핵심은 ‘朴 대통령 7시간’
- 뉴스타파 – ‘진도 관제센터에 세월호는 없었다.’
- MBC – 6번 바뀐 세월호 승선자 집계 ‘혼선’…”발표 창구 일원화”
- SBS – 진도센터-세월호 교신 공개…’우왕좌왕 31분’
- 경향신문 – 관제당국 진도VTS, 2시간 동안 세월호 지나가는 것도 몰랐다
[/box]
[divide style=”2″]
A: 그래도 더 많은 사람을 구할 수는 있었을 거 아냐?
B: 사실 그것도 모를 일이야. 유속이 빠르고 시계가 안 좋았다잖아. 잠수사가 조난을 당할 가능성도 있었고. 어떻게든 되게 하고 비용이니 뭐니 다 나중에 생각하라며 노무현처럼 윽박을 질렀다면 혹시 뭔가 나왔을 수도 있겠지만, 가능성이 아주 많이 달라지진 않았을 거야.
다만, 그런 상황을 정확히 설명하고 구조가 늦어지는 상황에 대한 대안을 세우고 있다고 솔직히 고백할 수는 있었을지도 몰라. 그런 방식으로 ‘대통령이 정보를 직접 전달받고 정부가 열심히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완벽할 수는 없다’고 제대로 말해 줄 수는 있었을지 모른단 얘기지.
[box type=”info”]
- 미디어몽구 – 세월호 현장 분위기 늘 이렇습니다
- 오마이뉴스 – “구조사진 없다”… 국방부, 세월호 활약 부풀렸나
- 민중의 소리 – “해달랄 땐 나몰라라”…대통령 지시에 구조 중계장비 바로 설치
- 뉴스타파 – 계속되는 말 뒤집기…무능한 정부, 커지는 분노
[/box]
[divide style=”2″]
A: 다이빙 벨을 넣는 건?
B: 그것도 사실 해 보니 제대로 설치가 안 됐잖아. 하지만 문재인이 대통령이었다면, 설치 가능성에 대해 검토를 지시하고, 어떻게든 해 보라고 하고, 그랬다면 어쨌든 쓸 가능성이 높아졌을 수도 있지. 그러다 안 된다고 결론이 나오면, 사람들이 그 이유를 좀 더 쉽게 납득할 수 있었을지도 모르고. 방송이 검증하고 인터넷이 터지고 이상호가 다큐 찍겠다고 들기 전에 했다면 말이지.

[box type=”info”]
- 연합뉴스 – 세월호참사 ‘다이빙 벨’ 투입 논란 재연
- 미디어오늘 – 이종인은 다이빙벨 잠수시켜놓고 왜 철수했는가
- 국민TV – [세월호] 이종인 대표, 다이빙벨 수색 직후 “입증됐으니 그만 하고 싶다”
[/box]
[divide style=”2″]
A: 어차피 유가족들이 진도에서 청와대까지 행진은 했겠다는 얘기네.
B: 응. 하지만 총리, 안 되면 장관이라도 내보내서 설득하고 돌려보내는 시도는 했을 거야.
[box type=”info”]
- 한겨레 – 세월호 유족, 교황 만나 “정부 진실은폐…도와달라”
- 경향신문 – ‘세월호 유가족’ 가로막힌 청와대행…416시간 농성 돌입
- 뉴스1 – ‘416시간 농성’ 세월호 유가족·경찰 충돌…1명 연행(종합)
[/box]
[divide style=”2″]
A: 결국 네 말은, 문재인이 대통령이었다 해도 진실을 밝히자고 특별법 제정을 요구했을 수는 있다는 거잖아.
B: 할 수 있지. 하지만 법리 문제를 따지고 드는 야당이 있었을 테고, 여당도 설득하자면 쉽지는 않았을 거야. 그래도 열심히 받아들이겠다는 시그널을 국민들에게 보내고, 그런 다음에는 그게 왜 좌절될 수밖에 없는지, 아니면 현재 법처럼 될 수밖에 없다고 말을 할 수 있었겠지.
[box type=”info”]
- 슬로우뉴스 – 세월호 유가족 특별법에는 의사상자 지정, 특례입학 없다
- 조선일보 – 朴 대통령, “세월호 특별법에 수사권, 기소권 포함은 사법체계 근간 흔드는 일”
- 노컷뉴스 – “세월호특별법, 조사권도 특검도 한계 뚜렷”
- 오마이뉴스 – 법학자 229명 “세월호 특별법 수사권, 헌법상 문제 없어”
[/box]
[divide style=”2″]
A: 농성도 했겠네, 그럼.
B: 뭘 해도 달래줄 수 없는 아픔이 있으니까. 다만, 거기 대한 일베 등의 모욕에 대해 단호히 대처한다는 모습을 보여줄 수는 있었겠지.

[box type=”info”]
- 한겨레 – ‘일베’ 게시물 퍼나른 인물을 ‘세월호 조사위’에…
- 오마이뉴스 – 세월호 유족에 맞선 변호사 일베 ‘리트윗’하는 뉴라이트
- 뉴스1 – [e톡톡] 부장판사의 정치편향 댓글 논란, 그가 옹호한 일베 반응은?
- 오마이뉴스 – ‘일베 권하는 정몽준’, 이런 이유 있었다
[/box]
[divide style=”2″]
A: 1주기에 광화문에서 노숙 농성하던 사람들은? 시민들이 그 근처에 떼로 모인 건?
B: 글쎄… 추모식에 대통령이나 총리가 참석하는 방안도 있었겠지만, 위험하니까 결단은 어려웠겠지. 만에 하나 그렇게까지 한 다음에도 그들이 유가족들과 합류하여 청와대로 진군할 가능성이 있다면, 제압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 수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야.

[box type=”info”]
[/box]
[divide style=”2″]
A: 결국 네 말은, 누가 대통령이든 달라질 게 없었다는 얘기잖아.
B: 그랬을 수도 있지.
그런데 너, 진짜 그렇게 생각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