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box type=”note”]하루에도 정말 많은 뉴스가 만들어지고, 또 소비된다. 하지만 우리가 소비하는 뉴스들은 정해져 있다. 굵직굵직한 정치 이슈나 자극적인 사건 사고, 주식과 부동산이 얼마나 올랐느니 하는 소식이 대부분이다. 그 와중에 좋은 기사는 묻힌다. 그래서 ‘의미 있는’ 기사들을 ‘주간 뉴스 큐레이션’에서 선별해 소개한다.

소소하지만 우리 삶에 중요한 이야기, 혹은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목소리에 귀 기울인 기사, 그리고 지금은 별 관심이 없지만 언젠가 중요해질 것 같은 ‘미래지향’적 기사들, 더불어 세상에 알려진 이야기 ‘그 이면’에 주목하는 기사 등이 그 대상이다. (필자)[/box]

조본좌의 주간 뉴스 큐레이션

4월 첫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100% 정규직’ 스타벅스의 평등, 한국에서 깨지다  

1등 커피전문점 스타벅스는 ‘평등’의 상징과도 같이 떠받들어진다. 정규직 비정규직 차별 없이 모두가 정규직, 성별‧나이‧학벌‧인종 간 차별이 없는, 검정고시 출신 직원도 임원이 될 수 있는 그곳. 과연 그럴까? 시사저널이 평등의 이름 아래 감춰진 스타벅스코리아의 차별에 대해 짚었다.

고용노동부 고용 형태 공시제에 따르면 스타벅스코리아 전체 직원은 모두 정규직이다. 그러나 정규직 안에서도 차별은 존재한다. 스타벅스코리아의 두 가지 직급, A파트와 B파트는 사원증부터 노동시간, 임금, 복리후생은 물론 승진 기회까지 차별한다. 대졸자 직군은 A파트 군에 들어간다.

지표로 드러나지 않는 디테일을 짚어낸 이 기사 추천한다.

큐레이션 시사저널 스타벅스

2. 부모와 자녀 모두 중산층, 10년간 12%

어느 조직이든 허리가 가장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대한민국은 위기다.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중산층이 사라져가기 때문이다. 동아일보가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팀과 지난 10년 간 중산층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는 이러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

동아일보가 10년간 4,248가구의 삶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60대 부모가 10년간 경제적으로 안정돼 있고 그들의 30대 자녀도 대학을 나와 경제적으로 중산층의 삶을 유지하는 비율은 12.67%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부모나 자녀 세대 중 어느 한쪽 또는 둘 다 중산층 대열에서 이탈했다.

늘어나는 고학력 워킹푸어(빈곤 근로자)에 고용불안으로 중산층은 하층의 삶으로 이동했다. 마지막 희망이었던 ‘교육’마저 믿을 수 없게 됐다.

● 동아일보 – ‘父子 모두 중산층’ 12.7%뿐

동아일보 - [프리미엄 리포트]청년실업에… 명문대 나와도 워킹푸어 전락  http://news.donga.com/rss/feed/3/all/20150330/70416618/1
동아일보 – [프리미엄 리포트]청년실업에… 명문대 나와도 워킹푸어 전락

3. 비만 여성일수록 취업 잘 된다? 연구에 허점 있다

지난주 ‘비만 여성일수록 취업이 잘 된다’는 연구결과가 화제였다. 건국대 경상학부 교수팀의 연구 결과 남학생은 비만일수록 취업률이 낮았으나 여학생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일 경우 취업률이 적정이거나 마른 여성보다 취업률이 높았다고 매체들은 연구 소식을 전했다. 일반적인 통념과 다른 연구결과라 언론들이 이 연구결과를 주목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러나 JTBC 뉴스룸 ‘팩트체크’에 따르면 허점이 있다. 담당 교수는 JTBC에 “완전히 오보”라고 밝힐 정도다.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비만만 가지고 이 사람들의 (취업률이) 낫다고 볼 수 있느냐, 그건 아니라는 얘기거든요… 오보예요, 오보, 완전히.

– 김진영 교수(건국대 경상학부)

취업의 질을 따져보면 비만 여학생이 ‘괜찮은 직장에 들어간 비율’은 6%에 그쳤다. 비만 여학생이 취업은 많이 했지만, 결국 원하는 직장을 간 것은 아니라는 것. 게다가 조사 대상이 된 여학생 패널이 총 302명인데, 그중 비만자가 3%, 9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JTBC ‘팩트체크’가 만우절 거짓말 같았던 언론보도의 이면을 짚어냈다.

JTBC 비만 팩트체크

4. 청년들 중동에 가라? 세금만 축내는 해외일자리 사업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청년들을 향해 “중동에 가보라”고 제안했다. “대한민국에 청년이 텅텅 빌 정도로”라는 말까지 덧붙였다. 국내에서 취업문이 열리지 않으니 해외 일자리를 구하라는 말이다. 박 대통령이 새로운 해법처럼 제시한 해외취업은 역대 정권의 핵심 공약이었으나, 성공담보다는 실패담이 많았다. 세계일보가 청년 해외취업의 허와 실을 짚었다.

역대 정부는 청년실업을 해결하겠다며 해외취업을 장려하지만, 이 사업은 허점투성이다. 호텔경영학 전공을 살리려던 학생은 서빙 업무만 하다 9개월간 300만 원 밖에 벌지 못한 채 일을 그만뒀다. 마케팅업무를 하기 위해 해외로 떠났으나 복사나 우편업무가 전부였다. 연봉 2,000만 원 미만을 받는 3D 일자리에 내몰리는 청년들이 대다수다. 10년째 수천억 원을 쓰지만, 정식으로 현지 기업에 취직하는 비율은 10%에 그치고 있다.

이 와중에 이를 이용한 취업 사기도 빈번하다. 현재 해외취업 프로그램 하에서는 청년들이 중동 가서 착취당하고 중동 가서 ‘열정 노동’을 할 가능성이 크다. ‘중동에 가라’는 공허한 메시지에 현실적인 분석으로 답한 세계일보 기획 기사를 추천한다.

●세계일보 – 청년 해외취업 허와 실

세계일보 - 실업난 해소 장밋빛… 내실은 없고 세금만 축내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03/29/20150329002359.html
세계일보 – 실업난 해소 장밋빛… 내실은 없고 세금만 축내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