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25% 상호 관세 부과.

  • 트럼프가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MAWA)”를 내걸고 상호 관세를 단행했다. 기본 관세 10%에 개별 관세가 +알파로 붙는다.
  • 한국은 25%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도 높은 편이다. 일본은 24%, 중국은 34%, EU는 20% 등으로 다르다.
  • 영국(10%)과 브라질(10%), 싱가포르(10%), 이스라엘(17%), 호주(10%) 등도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적용받는다.
  • 한국을 직접 겨냥한 발언도 있었다. “아마도 가장 최악인 것은 한국, 일본, 다른 많은 나라들이 부과하는 비금전적인 장벽”이라면서 “한국에서 팔리는 자동차의 81%는 한국에서 생산된다”고 주장했다.
  • 악시오스는 “관세 전쟁의 결과, 물가가 오르고 성장이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높은 실업률이 지속하는 상황) 우려도 나온다.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트럼프의 거짓말.

  • 미국에서 팔리는 차의 81%를 한국에서 만든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현대자동차는 이미 미국 생산 비중을 60%까지 높인 상황이다.
  • 조지아주 등에 현지 공장을 짓고 있는 것도 언급하지 않았다.

윤석열 심판 D-1.

  • ‘빼박’ 증거가 차고 넘친다.
  • 그날 밤 윤석열은 국무위원들이 대부분 반대했는데도 일방적으로 계엄령을 선포했다. “내가 결단하고 책임지고 하는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 군인과 경찰 3582명을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 등에 투입했다. 군인들이 국회 유리창을 깨고 난입했고 정치인 체포 명단도 확인됐다.
  • 탄핵 심판에서는 계엄군 투입 목적을 묻는 질문이 12차례 있었다.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느냐는 질문도 반복됐다. 모든 증거와 진술이 일관되게 윤석열의 내란을 입증한다.

윤석열의 계산된 침묵.

  • 끝내 승복의 메시지를 내지 않았다. 강성 지지층을 앞장세워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의도다.
  • 채진원(경희대 교수)은 “끝까지 싸우겠다는 의지 표명이 담겼다”면서 “파면 이후 자신을 지켜줄 여당 후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점심식사 후 용산어린이정원에서 산책하는 윤석열. 2023.10.18.

최상목도 탄핵 간다.

  • 민주당이 어제 최상목(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소추안을 본회의에 보고했다. 72시간 안에 표결하게 된다.
  • 내일 윤석열 파면 이후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 마은혁(헌재 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미룬 건 명백한 위헌이라는 게 민주당 입장이다. 여론의 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최상목을 그냥 두고 갈 수는 없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최상목(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024.12.31. 기획재정부.

쟁점과 현안.


키워드는 ‘승복’.

  • ‘승복’을 키워드로 잡은 신문이 많다.
  • 국민일보: 내전 수준 분열에도 승복 회피하는 윤석열과 이재명.
  • 서울신문: 법치의 명령 앞 승복만이 남았다.
  • 세계일보: 격해진 승복 공방… 윤석열과 이재명은 침묵.
  • 동아일보: 광장의 불복 부추기는 정치권.
  • 경향신문과 한국일보는 탄핵 인용에 무게를 실었다. 한겨레는 헌재를 압박하고 있다.
  • 경향신문: ‘임박한 정의’… 시민들 “이 불안, 끝이 보인다.”
  • 한국일보: 국민 다수 납득할 결론, 헌재가 답하라.
  • 한겨레: 탄핵 심판 전 재보선, 민심은 야권 택했다.
  • 중앙일보는 개헌이 키워드다.
  • 중앙일보: 이젠 개헌이다.
  • 조선일보는 1면 머리기사가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다. “마음의 병, 편견을 깨자”는 기사가 1면 하단에 배치된 것도 눈길을 끈다.

재보궐 선거, 거제와 아산에서 민주당 당선.

  • 서울 구로구청장은 국민의힘이 후보를 내지 않았다. 문헌일(전 구로구청장)이 주식 백지신탁을 피하려 사퇴한 뒤 치르는 선거다. 민주당 장인홍(후보)이 56.0%를 득표해 당선됐다.
  • 김천시장은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됐고,
  • 거제시장과 아산시장은 민주당이 가져갔다. 모두 국민의힘이 시장을 지냈던 곳이다.
  • 담양군수는 민주당을 꺾고 조국혁신당 후보가 당선됐다.
  • 부산교육감은 진보 진영 김석준(후보)이 당선됐다.

더 깊게 읽기.


산불 피해 2조 원.

윤석열 왼팔, 이복현 사의 표명.

  • 한동훈(전 국민의힘 대표)이 오른팔이었다면 이복현(금융감독원장)은 왼팔이었다. ‘빅 브레인’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 이복현이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에 반대한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대통령이 있었다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 일찌감치 “직을 걸고 반대하겠다”고 주장했다.
  •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은 “금감원장이 감히 대통령 운운하면서 대통령이 자기 생각과 같을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주장한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물가도 심상치 않다.

다르게 읽기.


삼성 재판은 왜 오락가락할까.

  • 이용우(전 민주당 의원)는 기업 경영의 사법적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세 가지 해법을 제안했다.
  • 첫째, 규칙 중심에서 원칙 중심으로 규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 둘째, 배임죄를 형사 소송이 아닌 민사 소송으로 다루고 증거 개시 절차를 도입해야 한다.
  • 셋째, 이사회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이사회와 집행 임원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위임의 범위와 한계를 정해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15년 뒤 조선소 숙련공 사라진다.

해법과 대안.


비밀번호 해킹, 패스키로 막을까.

작은 불 놔서 큰불 막기 가능할까.

  • 불 처방(prescribed fire)이라고 한다.
  •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말라붙은 나뭇가지 등을 미리 태워 없애는 선제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해외 매뉴얼을 보면 늦가을이나 이른 봄, 8~15km/h의 풍속에 경사도 30%를 초과하지 않는 등 통제된 조건에서 시행하라고 조언하고 있다.
  • 금시훈(산림청 산불방지과장)은 “간벌이나 임도 구축 같은 다른 예방 정책으로 숲의 밀도를 낮춰놔야 계획적 불놓기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한국은 산림이 전체 국토의 63%를 차지한다. 1ha의 나무 밀도(임분밀도)는 한국이 1596그루인데 독일은 700~1000그루 수준이다.

오늘의 TMI.


중국 생산 90%, 애플 아이폰은 어쩌나.

‘아이폰X’이 발표되던 날 팀 쿡(애플 CEO)의 키노트.

밑줄 쳐 가면서 읽은 칼럼.


한국판 러스트 벨트, 준비돼 있나.

  • 러스트 벨트는 제조업이 쇠락하면서 공동화한 미국의 오하이오와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등을 말한다.
  • 안선희(한겨레 논설위원)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러스트 벨트를 수출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 한국 제조업이 미국에 한 직접 투자가 2020년 23억 달러에서 지난해 65억 달러로 늘었다. 미국에 설립한 법인 수도 93개에서 162개로 늘었다.
  • 같은 기간 중국 직접 투자는 46억 달러에서 16억 달러로 줄었다. 법인 수는 113개에서 147개로 늘었다.
  • 양승훈(경남대 교수)은 “제조업처럼 평범한 수많은 사람을 균등한 임금으로 고용할 수 있는 산업은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 임지선(경향신문 경제부장)은 “넋 놓고 있는 건 정부와 정치권인데 무너지는 건 대응력 없는 노동자들”이라면서 “지금이라도 관세 논의를 일자리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경고했다.

보수에 대한 마지막 예의.

무엇이 진짜 보수인가.

  • 뒤늦은 손절일까. 이상렬(중앙일보 논설위원)은 “윤석열은 ‘보수다움’과는 거리가 멀었다”고 지적했다.
  • 돌아보면 지난 3년, 이태원 참사도, 의대 증원 갈등도, 총선 참패도, 여객기 참사도, 모두 책임지는 사람 없이 자리를 지켰다.
  • “소중한 것을 지키기 위해 책임져야 할 때 책임지는 것, 자기희생을 마다치 않는 것, 비겁하지 않은 것 그게 보수의 미학이다.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를 싫어하고,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추구하는 것이 보수다.”

윤석열 파면 이후 태극기 부대는 어디로 가나.

  • 극우를 찍어 누르겠다는 전략은 유럽과 미국에서 이미 실패했다.
  • 독일에서는 젊은 고학력 노동력 유출 → 고령화·인구 감소 피해 → 남은 주민들의 박탈감 → 난민·이민자에 분풀이하며 수용 거부 → 경기침체 지속 → 주류 정치에 대한 배신감의 고리가 극우의 양분이 됐다.
  • 최문선(한국일보 논설위원)은 “태극기 부대를 아스팔트에 드러눕는 괴물로 깔보기만 하면 희망이 없다”면서 “왜 그러는지부터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Inside Südkorea – USA, China und Nordkorea, 2025.02.25. 캡처.

한덕수와 최상목이 더 나쁘다.

한덕수와 최상목 둘 다 탄핵해야 한다.

우리는 4.3과 작별하지 않는다.

  • 청산되지 않은 국가 폭력이 대물림된다.
  • 한강(작가)이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강조한 것처럼 4.3의 진실을 밝히려면 4.3의 비극과 마주해야 한다.
  • 4.3의 본질은 국가 폭력이다.
  • 임재성(해마루 변호사)은 “4.3은 과거의 폭력이지만 그 폭력을 극복하는 데는 지금도 온 사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계엄 속 총칼이 만드는 고통이 얼마나 처절한지 가르치고 배우기만 해도 부족한 나라에서 어떻게 다시 계엄이 선포될 수 있는가. 죄스럽고 한스럽다.”
  • 구혜영(경향신문 논설위원)은 “국가 폭력을 몰아내지 않는 한 우리는 4.3의 상주가 될 자격도 4.3을 제대로 부를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슬로우레터는 뉴스를 더 열심히 읽고 구조와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더 잘 이해하고 문제에 더 깊이 뛰어들기 위해서입니다. 슬로우뉴스를 지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주변에 슬로우레터 구독을 추천하는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날마다 아침 7시에 찾아뵙겠습니다. 

슬로우레터 구독 신청.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피드백.


  • 어제 슬로우레터에서 아래 그래프는 헌혈 인구가 아니라 헌혈 건수입니다. 바로잡습니다.

관련 글

첫 댓글

  1. 비번 최대글자수를 8자, 12자, 16자 등으로 짧게 제한하면서 보안에 신경쓰는척하는 것들을 보면 토할것같아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