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box type=”note”]하루에도 정말 많은 뉴스가 만들어지고, 또 소비된다. 하지만 우리가 소비하는 뉴스들은 정해져 있다. 굵직굵직한 정치 이슈나 자극적인 사건 사고, 주식과 부동산이 얼마나 올랐느니 하는 소식이 대부분이다. 그 와중에 좋은 기사는 묻힌다. 그래서 ‘의미 있는’ 기사들을 ‘주간 뉴스 큐레이션’에서 선별해 소개한다.

소소하지만 우리 삶에 중요한 이야기, 혹은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목소리에 귀 기울인 기사, 그리고 지금은 별 관심이 없지만 언젠가 중요해질 것 같은 ‘미래지향’적 기사들, 더불어 세상에 알려진 이야기 ‘그 이면’에 주목하는 기사 등이 그 대상이다. (필자)[/box]

2017년 5월 둘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유승민과 심상정에게 던진 ‘산 표’

2017년 5월 9일 대선은 여러 가지 장면으로 기록될 것이다. 1등과 2등의 표 차이가 가장 컨던 대선, 1등 후보가 전국에서 고른 지지를 받은 대선 등등. 하지만 4등과 5등에 주목하면, 한 가지 장면이 더 있다. 많은 유권자가 사표론에 휘둘리지 않고, 소신투표를 했다는 점이다. 한국일보는 유승민과 심상정을 찍은 422만 표의 가치에 대해 말한다.

“심상정 찍으면 홍준표 된다.”

“유승민 찍으면 문재인 된다.”

이번 대선 마지막까지 ‘사표론’이 기승을 부렸다. 그럼에도 13%의 유권자는 사표론을 극복하고 한 표 던졌다. 그들의 한 표는 기득권에 눈멀지 않은 소신과 상식을 지키는 멋진 보수가 나올 때도 되지 않았느냐는, 노동자와 약자에게 시혜 아닌 정당한 권리를 보장해 주는 정당이 집권해도 좋지 않으냐는 한 표였다. 많은 유권자가 탈당 사태를 버티고 견딘 유승민에게, 노동자들과 성 소수자들을 위해 토론 시간을 할애한 심상정에게 한 표를 아끼지 않았다.

두 후보에게 던진 한 표는 두루뭉술한 민주 대 반민주 프레임, 거대 정당으로 담을 수 없는 유권자의 열망을 대표했다. 반공 보수를 넘어선 새로운 보수, 진보정당의 대중성 확보라는 정치사적 의미도 남겼다. 칼퇴근법, 슈퍼우먼방지법 등 문재인 정부가 도입해도 좋은 정책들도 던졌다. 그렇게 422만 표는 죽은 표가 아니라, 생생하게 펄떡이는 산 표가 됐다.

● 한국일보

한국일보 큐레이션

[divide style=”2″]

2. 대한민국 보수, 3년 안에 부활할 수 있을까?

2017년 대선의 또 다른 이름은 2017년 대선을 ‘보수가 패퇴한 선거’다. 이번 대선에서 보수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 내내 단 한 차례도 당선권에 근접하지 못했다. 보수는 이번 선거가 ‘예외적인 선거’가 되길 소망하며, 3년 내 문재인 정부가 실패하면 다시 보수가 부활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지만, 이번 선거는 한국 정치지형의 구조변동을 예고하는 ‘중대 선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시사IN은 보수의 위기가 3년 내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 보수연합은 지역적으로는 영남, 세대로는 고연령층, 계층으로는 부동산 등 자산을 소유한 중산층이 주축이었다. 하지만 이 세 축이 모두 균열양상을 보인다. 영남의 두 축 중 하나인 부산·울산·경남은 이탈했다. 과거 386들이 50대에 접어들면서 50대가 보수라는 법칙도 깨졌다. 박근혜의 국정교과서 등 ‘극우 편향’으로 인해 자산 소유 중산층의 이탈이 심각해졌다. 문재인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강남 3구에서도 홍준표, 안철수 후보를 앞섰다.

균열이 생기면서 홍준표는 확고한 지지층을 잡아야 했고, 더 오른쪽으로 내달렸다. 그 결과 557만 표 차이로 문재인에게 패배했다. 대안세력으로 등장한 유승민과 바른정당은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다. 보수의 위기가 3년 안에 극복되기 어려운 이유다.

● 시사IN

시사IN 큐레이션

[divide style=”2″]

3. 15만 발달장애인 유권자 앞에 놓인 투표의 벽

지난 4일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지지자인 장애인시설 책임자가 지적장애인 10여 명을 대상으로 기호 2번을 찍는 연습을 시킨 의혹으로 경찰이 내수에 착수한 사실이 알려졌다. 장애인들의 주권 행사를 막는 건 이런 불법동원만이 아니다. 민주주의가 발전할수록 투표는 점점 쉬워지기 마련이지만, 장애인들은 여전히 투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겨레가 15만 발달장애 유권자들이 경험하는 투표의 어려움에 대해 짚었다.

대다수 발달장애인은 공보물을 보고 후보를 선택하기 어렵다. 투표장에 가도 기호와 이름이 쓰인 투표용지만으로는 후보자를 식별하기도 어렵다. 숫자와 글자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가족이 동행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해 투표소에 ‘공적 조력인’을 배치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투표, 누군가에게는 아직 접근하기 어려운 벽이다.

● 한겨레

한겨레 큐레이션

[divide style=”2″]

4. 팩트체크를 팩트체크하자

이번 대선에서 떠오른 또 다른 키워드는 ‘팩트체크’였다. 각 언론은 팩트체크팀을 꾸려 정치인의 주장을 검증했다. JTBC가 실시한 심층 설문조사에서 ‘후보선택을 할 때 어떤 점을 가장 많이 고려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9.9%가 ‘팩트체크 등 언론보도’라고 답했다. 하지만 팩트체크마저 팩트가 아니라면 어떨까? 미디어오늘이 ‘팩트체크’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편파적 뉴스의 허점을 짚었다.

누가 ‘거짓말쟁이’인지 결정하는 권한은 언론에 있다. 조선일보의 팩트체크 주요대상은 문재인 후보였다. 다른 후보보다 문재인이 거짓말을 많이 했기 때문일까? 안철수 후보와 관련해 지속적으로 불거지는 ‘부인 특혜 채용’은 다루지 않은 반면, 문재인 후보에 대해서는 ‘예비 내각 명단 관련 지라시’, ‘전두환 표창’, ‘여론조사 양자구도 비판’ 등 크게 중요하지 않거나 주목받지 않은 이슈까지도 팩트체크했다는 점에서 언론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가짜 뉴스를 이야기해도 팩트체크로 검증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홍준표 후보는 “동성애가 국방 전력을 약화시킨다”는 거짓 발언을 했으나 JTBC는 판단하기 모호한 면이 있다며 ‘판단유보’ 결정을 내렸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대학 등록금을 자율화해서 등록금 113% 올랐다”는 홍 후보의 주장은 거짓과 사실을 섞은 것으로 조선일보는 ‘사실 반 거짓 반’을, 중앙일보는 ‘일부만 사실’이라고 판단했다. 정치인들은 이런 팩트체크의 허점을 파고들어 사실과 거짓을 뒤섞어, 사실이나 거짓 둘 중 하나라고 명확히 밝힐 수 없는 주장을 한다.

이외에도 기간이나 대상에 따라, 맥락에 따라 정치인의 발언은 팩트체크를 통과하기도 하고, 거짓이라는 판명을 받기도 한다. 언론사의 팩트체크 역시 ‘팩트체크’ 대상이 되어야 하는 이유다.

● 미디어오늘

미디어오늘 큐레이션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