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현의 택시일기 3: “몰려 오는 손님을 무슨 힘으로 막노?” 김창현 시간 2013년 02월12일.2013년 03월21일. [box type=”note”] 전직 정치인인 울산 택시기사 김창현 님은 하루하루 겪은 이야기를 페이스북에 연재합니다. 이 택시 일기를 필자와의 협의를 거쳐 슬로우뉴스에도…
공간과 문화에 남겨진 한 전문 기자의 소중한 흔적들 – 구본준(1968-2014) capcold 시간 2014년 11월13일.2014년 12월25일. 2014년 11월 12일 이탈리아에서 급작스런 심장마비로 유명을 달리한 고 구본준 한겨레 기자는, 국내에 보기 드문 건축 전문기자이자, 동시에 만화에 대한…
인터뷰: 박주민이 말하는 민변 민노씨 시간 2012년 05월29일.2014년 04월16일. 1996년, 신도림역 부근, 세 가구만 남은 아주 작은 철거촌. 더는 기댈 곳 없는 이들이 찾은 곳은 서울대 법대 학생회였다. 학생들은…
상담 노동자의 인격권: ‘넛지’와 ‘엔딩 폴리시’를 아시나요? 최병천 시간 2017년 08월02일.2017년 08월02일. 아래는 GS칼텍스의 기업 이미지 광고다. 훌륭한 접근이다. 고객센터 상담 노동자는 고객으로부터 온갖 욕설을 들으며 감정노동에 시달린다(참조: 매일노동뉴스, 토요경제). 당사자 입장에서는…
KT 대국민 사기극과 10년 소송: 이래서야 공익제보하겠습니까?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시간 2022년 01월26일. [box type=”note”] 이해관 씨가 공익제보한지 만 9년 10개월만에 모든 소송이 종료되었습니다. 2021년 11월, 서울서부지방법원은 파기환송심에서 7대 자연경관 전화투표 비리를…
슬로우뉴스와 같은 실험은 계속될 수 있을까 박장준 시간 2016년 03월30일. [box type=”note”]이 인터뷰 전문(前文)은 인터뷰 대상의 특성에 맞춰 특별하게도 1인칭 주인공 시점이라는 문학적 형식을 빌려 작성하였다. (필자)[/box] 만나기 전부터 민노씨를…
[미생]만큼 떠야 했을 만화, [동재네 식구들] 완결에 부쳐 박은하 시간 2014년 11월11일.2014년 12월25일. 동재네 식구들 글/그림: 김민재 연재기간 : 2012.6.1.-2014.11.7. (총100화/일부 유료) 연재처 : 미디어다음 만화속세상 금요웹툰 만화 보기 [미생] 드라마화로 작품 자체와…
대법원, 민주화운동 피해자 등에 비수를 꽂다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시간 2017년 07월28일.2017년 07월28일. 대법원 긴급조치 제1호 위헌 판결[footnote]2010.12.16.선고 2010도5986 판결[/footnote]은 1970년대 긴급조치 시대에 대한 첫 사법적 단죄였다. 긴급조치를 발동할 상황도 아니었고, 그 목적도…
소셜미디어, 가장 자주 이용하지만 가장 못 믿을 매체 민주언론시민연합 시간 2022년 01월20일.2022년 01월20일. 세계적으로 소셜미디어 사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소셜미디어 사용자 수가 증가하면서 단순히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정보 공유와 업무 활용, 때로는…
변하는 건 기술이지 저널리즘이 아니다 진민정 시간 2017년 11월27일.2017년 11월27일. 15만 유료독자 ‘메디아파르트’ 창간자 에드위 플레넬 인터뷰 [divide style=”2″] 변화하는 것은 기술이지 저널리즘이 아니라는 에드위 플레넬 메디아파르트 대표. 그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