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조본좌의 주간 뉴스 큐레이션

2018년 2월 첫째 주 좋은 기사 솎아보기

1. MBC 정상화, 지역의 복원

보수정권 9년 간 벌어진 공영방송 MBC의 몰락은 다양하게 참담한 결과를 불러왔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다양한 지역의 목소리를 전달하던 지역MBC를 중앙의 하수인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16개 지역 MBC가 공동 기획을 통해 소수의견을 짓밟은 MBC의 과거를 전했다.

MBC는 지역을 고립된 섬으로 만들었다. 밀양 송전탑 반대운동은 통진당과 연관시켰다. 경남MBC에서 취재한 것이 아니었다.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성주 시민들에게 ‘외부세력’ 딱지를 붙였다. 역시 대구MBC가 취재한 것이 아니었다. 세월호 참사 때도 전원구조가 아니라는 목포MBC의 거듭된 요청을 묵살한 것도 중앙 MBC였다. 그렇게 MBC는 여론의 중심에서 지역의 목소리를 삭제했다.

지역MBC는 중앙MBC가 만들어낸 왜곡 보도를 주구장창 전달하고, 5분간 지역 소식을 전하는, 지역민들 입장에서 있으나마나한 방송사로 전락했다. 김재철 사장 이후 진행된 MBC 광역화는 ‘그런 시골 이야기는 쓰지 말고 광역 단위, 더 큰 이야기만 쓰라’는 취재 지시로 이어졌다. 중앙에서 내리꽂은 낙하산 사장들이 그 역할을 철저히 수행했다. MBC 정상화가 지역의 자율성 회복과 연결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 지역MBC 공동기획

YouTube 동영상

[divide style=”2″]

2. 모든 것을 놓을 때, 아이들도 놓는다.

2016년 한 해 동안 1만 8,700명에 이르는 아이학대를 당했다. 전체 아동 학대의 80.5%,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 사건의 86%를 친부모, 계부모, 양부모가 저질렀다. 언론에서는 이런 사건을 무정하고 잔인한 부모로 다룬다. 하지만 가해자를 악마로 만든다고 문제를 예방할 순 없다. 시사IN은 ‘만약 무엇이 달랐다면 그 아이가 살 수 있었을까’에 집중했다.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이라는 것 외에 이들 사건에는 공통점이 있다. 가해자인 엄마 또는 아빠가 모두 벼랑 끝에 서 있었다는 것이다. 경제적 궁핍, 정신적 피폐, 사회적 고립이 있었다. 벼랑 끝에 선 이들은 더 약자인 아동을 향해 분풀이를 저질렀다.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 일련의 아동 학대 사건들에서는 일정한 유형이 발견됐다. 상당수 가해 부모들이 너무 이른 나이에 아이를 낳았다는 점이다. 아주 작은 정보를 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를 살릴 수 있다. 돈 10만원의 병원비가 없어서 살해, 매매, 유기가 벌어지지만 지원받을 방법은 찾아보면 있다. 이 어린 부모들을 사회가 방치하지 않았다면 몇몇 아이들은 잘 살아 있을지도 모른다.

● 시사IN

MBC

[divide style=”2″]

3. 지진도 공포도 끝나지 않았다

지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딱 ‘여진’만큼이다. 여진이 멈추면, 사람들은 지진이 끝났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지진은 그렇게 쉽게 끝나지 않는다. 뉴스타파 목격자들이 2017년 11월 15일 이후 아직 지진이 현재진행형인 포항을 찾았다.

포항 지역에 5.4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여진이 70차례 진행됐다. 위험 판정을 받아 철거 예정인 건물이 132개다. 나머지 건물에 대해선 시가 공식적으로 안전하다는 판정을 내렸다. 하지만 지금도 300여명의 주민은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대피소의 텐트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 안전 판정을 믿을 수 없는 증거들이 속속 쏟아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이 공포에 시달리는 이유는, 다시 지진이 발생했을 때의 암담한 상황 때문이다. 1년 사이 경주와 포항 지역에 지진이 잇따라 일어났지만 지진 발생에 대한 안전 시스템은 아직 남의 나라 이야기다. 대한민국이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국가의 안전 불감증이 존재하는 한 포항 주민들에게 여진도 공포도 현재진행 중이다.

● 뉴스타파 목격자들

YouTube 동영상

[divide style=”2″]

4. 대한민국의 축소판, 세종요양병원

포항 지진 말고도 현재진행형인 재해는 많다. 중앙일보가 재난 전문가들과 함께 서울 곳곳의 안전을 점검했다. 포항 지진, 영흥도 낚싯배 사고, 제천 스포츠센터 사고,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를 겪었음에도 공사장은 물론 대로변·다중이용시설 등에 이르기까지 안전 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모습이 도처에 널려 있었다.

서울 서초구 공사현장, 작업 도중 자재나 벽돌이 떨어져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낙하물 방지망은 접혀 있었다. 서울 종로구 한 숙박업소 옥상, 불법 증축된 맥주집(PUB)이 버젓이 영업을 하고 있었다. 스티로폼으로 지어져 화재에 취약한 구조였다. 인근 한 카페에도 불법 증축된 구조로 소화전 앞에 비품들을 잔뜩 쌓아 둔 상태였다.

지난해 3월 불이 난 인천 남동구의 소래포구 어시장. 천막형 임시좌판 곳곳에 전기히터들이 커져 있었고, 주변엔 플라스틱 의자와 가스통 등 인화물질이 가득했다. 어시장 입구에 설치된 소화전엔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했다.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 선착장. 104t급 여객선에 탑승한 승객 120여 명 중 구명조끼를 입은 사람은 한 명도 없었고, 구명조끼 입으라는 방송도 없었다.

얼마 전 참사를 겪은 세종병원은 불안한 성장을 거듭한 대한민국의 축소판이다. 세종병원은 여러차례 증축과 확장, 의원에서 병원으로 업그레이드를 거쳤다. 그럼에도 안전시설은 제자리 걸음이었다. ‘건물을 얼마나 싸게 짓느냐’가 아니라, ‘안전에 얼마나 비용을 들였나’가 좋은 건축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 중앙일보

큐레이션 중앙일보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