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갑오년 새해가 밝았다. 양력 새해는 이미 한 달 전에 시작되었지만, 갑오년 첫날은 이제 막 시작했다. 흔히 양력이라고 부르는 그레고리력은 기원후 1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해마다 숫자를 늘려 부른다. 올해는 그레고리력(Gregorian calendar)으로 표기할 때 기원후 2014년이다.

올해는 갑오년 ‘파란 말’의 해다. 왜 그럴까? (사진: HJRooK, CC BY NC ND)

간지(干支) 혹은 갑자(甲子)

반면에 우리가 흔히 음력이라고 부르는 태양ㆍ태음력은 간지(= 갑자)로 해를 표기한다. 간지는 갑(甲)ㆍ을(乙)ㆍ병(丙)ㆍ정(丁)ㆍ무(戊)ㆍ기(己)ㆍ경(庚)ㆍ신(辛)ㆍ임(壬)ㆍ계(癸) 십간(十干)과 자(子)ㆍ축(丑)ㆍ인(寅)ㆍ묘(卯)ㆍ진(辰)ㆍ사(巳)ㆍ오(午)ㆍ미(未)ㆍ신(申)ㆍ유(酉)ㆍ술(戌)ㆍ해(亥) 십이지(十二支)로 해의 이름을 정하는 방식이다. 간을 앞에 쓰고 지를 뒤에 써서 갑자, 을축, 병인, 정묘…… 이런 식으로 해를 지정한다. 십간과 십이지의 맨 앞만을 따서 ‘갑자’라고도 부른다.

두 갑자 전에 있었던 갑오농민전쟁의 지도자 전봉준
두 갑자 전에 있었던 갑오농민전쟁의 지도자 전봉준

역사적인 사건에는 그 사건이 일어난 해의 간지를 표시한 경우가 많다. 임진왜란은 임진년에 왜가 일으킨 난이란 뜻이고, 병자호란은 병자년에 오랑캐가 일으킨 난이란 뜻이 된다. 올해는 갑오년이다. 갑오년에 일어난 큰 사건으로는 동학농민전쟁(東學農民戰爭)이 있다. 120년 전 갑오년에 농민들은 학정과 외세에 맞서 전쟁을 벌였다. 두 갑자 전의 일이다.

같은 간지를 갖는 해는 60년에 한 번씩 돌아온다. 이것을 회갑 또는 환갑이라고 한다. 예전엔 환갑을 맞으면 회갑연을 열고 공식적으로 ‘노인’이 된 것을 축하했지만, 요즘은 환갑 잔치를 열자고 하면 내가 어딜 봐서 노인이냐고 오히려 손사래를 친다.

‘갑자년’은 있어도 ‘을자년’은 없는 이유

간지를 무작위로 병렬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당연히 120가지다. 조금 지루하지만 이를 모두 나타내 보면 아래와 같다.

십간과 십이지가 만들어낼 수 있는 경우의 수
십간과 십이지가 만들어낼 수 있는 경우의 수

하지만 갑자년은 들어봤어도 을자년은 들어본 적이 없다. 왜일까? 간지 둘을 합하여 나타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모두 120개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간지는 60개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실제 사용하는 간지만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실제로 사용하는 간지(갑자)는 모두 60개
실제로 사용하는 간지(갑자)는 모두 60개

위에 나열한 실제 사용하는 간지를 보면, 간지 모두 절반만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갑자년 다음은 을축년이 놓이기 때문에 갑축년이나 을자년은 쓸 수 없다. 이것은 배열 규칙 때문인데, [갑자→을축→병인→정묘]와 같은 순으로 배열하다 보면 배열할 수 있는 것과 배열할 수 없는 것이 생기게 된다. 그럼 어떤 것은 배열할 수 있고 어떤 것은 배열할 수 없을까? 이것은 다음과 같이 생각하여 알아낼 수 있다.

갑자년부터 세어 다음 간이 다시 갑이 되는 해는 갑술년이다. 순서대로 써 보면 다음과 같다.

  •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간은 모두 열 가지고, 지는 모두 열두 가지다. 그 때문에 당연히 십이지가 돌아가는 중에 열 번째가 될 때마다 다시 갑이 돌아온다. 갑자가 늘어서는 모양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johnjin_0202_3
갑자가 늘어서는 모양

이렇게 하여 그다음 갑은 갑신년이 되고, 순서대로 갑오, 갑진, 갑인년이 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갑술, 을해, 병자, (……), 임오, 계미, 갑신, 을유, (……), 갑오, (……), 갑진, (……), 갑인

한 번 갑이 돌아올 때마다(즉, 10년마다) 갑과 만나는 띠의 순서는 두 개씩 앞당겨진다.

따라서 갑과 함께 쓸 수 있는 띠는 여섯 개(자ㆍ인ㆍ진ㆍ오ㆍ신ㆍ술)가 되고, 다른 여섯 개의 띠(축ㆍ묘ㆍ사ㆍ미ㆍ유ㆍ해)는 쓸 수 없다. 한편, 갑이 반복될 때마다 걸리는 시간은 10년이기 때문에 갑자년에서 다시 갑자년이 되는 데는 60년이 걸린다. 즉, 한 갑자는 60년이 된다.

결국, 각 띠엔 다섯 가지 간이 붙는다. 위에 나열한 것을 살펴보면 띠는 ‘갑’계와 ‘을’계 두 종류로 나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쥐띠를 예로 들면 ‘갑자, 병자, 무자, 경자, 임자’가 있고, 소띠는 ‘을축, 정축, 기축, 신축, 계축’이 있다.

즉, ‘갑ㆍ병ㆍ무ㆍ경ㆍ임’과 ‘자ㆍ인ㆍ진ㆍ오ㆍ신ㆍ술 ‘이 한데 묶여 갑계를 이루고, ‘을ㆍ정ㆍ기ㆍ신ㆍ계’가 ‘축ㆍ묘ㆍ사ㆍ미ㆍ유ㆍ해’가 한데 묶여 을계를 이룬다. 이를 알고 있으면 어떤 간지는 쓰이고, 어떤 간지는 쓰이지 않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갑오년은 ‘갑’계이므로 무오년은 있어도 기오년은 있을 수 없다.

옛사람들은 간지를 음과 양으로 나누어 이를 표현하였는데 양은 양끼리만 만나고 음은 음끼리만 만난다.

양은 양끼리, 음은 음끼리 만난다
양은 양끼리, 음은 음끼리 만난다

간단한 산수

간단한 산수를 곁들이면 십간과 십이지가 60년을 주기로 다시 시작하는 것은 10과 12의 최소공배수가 60이기 때문이다. 최소공배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고대 그리스때부터 알려졌는데 아래와 같은 수식을 사용한다.

a와 b의 최소공배수(lcm)을 구하는 수식
a와 b의 최소공배수 수식

위 수식은 a와 b의 최소공배수는 a×b를 a와 b의 최대공약수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10×12 = 120이고, 10와 12의 최대공약수는 2 이므로, 최소공배수(10,12) = 120/2 = 60이 된다. 따라서 1갑자는 60년이다. 이 계산은 초등학교에서 아래와 같은 세로셈을 사용하도록 가르친다. 한편, 이 세로셈은 앞서 그려놓은 음양표와 본질에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때 배우는 최소공배수 계산법

올해는 왜 파란 말의 해일까?

이제 조금은 수학과 관련이 없는 분야로 넘어가서 이른바 ‘파란 말의 해’에 대해 알아보자. 천문학의 흑역사에 점성술이 있고, 화학의 흑역사에 연금술이 있다면, 수학의 흑역사엔 수비학(숫자와 사람, 장소, 사물, 문화 등과의 숨겨진 의미와 연관성을 공부하는 학문)이 있다. 간지에도 수비학적인 요소가 들어 있는데, 십간을 다른 여러 가지에 대입하여 생각하는 풍습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유래한 것이다.

  • 갑 = 청(파랑) = 동 = 4
  • 을 = 청(파랑) = 동 = 5
  • 병 = 적(빨강) = 남 = 6
  • 정 = 적(빨강) = 남 = 7
  • 무 = 황(노랑) = 중 = 8
  • 기 = 황(노랑) = 중 = 9
  • 경 = 백(하양) = 서 = 0
  • 신 = 백(하양) = 서 = 1
  • 임 = 흑(검정) = 북 = 2
  • 계 = 흑(검정) = 북 = 3
OLYMPUS DIGITAL CAMERA
푸른 말의 해는 수비학의 산물이다. (사진: Ezio-Armando, CC BY NC ND)

위와 같이 색상과 방위를 묶어 생각하는 사고방식에 십간이 연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올해는 갑오년이니까 파란 말의 해가 된다. 말의 해엔 갑오(청마), 병오(적마), 무오(황마), 경오(백마), 임오(흑마) 다섯이 있다. 옆길로 잠시 새면 성리학을 국가이념으로 받아들였던 조선 시대에는 우리나라가 동쪽에 있으니 청색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대부들도 푸른 옷을 입으라고 권장되었다.

하지만 예로부터 흰색이나 밝은색을 좋아했기 때문에 슬쩍 푸른 빛이 도는 옥색의 옷으로 면피했는데, 그때부터 옥빛 한복이 유행한다. 그러니까 간지에서 색상은 순환을 상징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의미가 없다. 다만 최근 들어 각종 상술과 결합해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을 뿐이다.

끝으로, ‘갑을’은 햇수를 헤아릴 때만 따지는 것이 되었으면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어찌 ‘갑을’이 있을 수 있겠는가.

퀴즈

  1. 갑오농민전쟁이 일어난 해는 서기 몇 년일까?
  2. 갑신정변이 일어난 해는 서기 몇 년일까?
  3. 삼천갑자 동방삭은 도대체 몇 년을 살았단 말일까?

  • 기원후 첫 갑자년은 서력으로 기원후 4년이다.
  • 갑자는 해를 세는 것뿐만 아니라 달과 일, 시를 셀 때도 쓰였다. 사인검(四寅劍)은 인년, 인월, 인일, 인시에 벼린 검이란 뜻이다.
사인검(四寅劍) (사진: 전쟁기념관)
사인검(四寅劍) (사진: 전쟁기념관)

관련 글

4 댓글

  1. 올해 2014년 甲午年이 갑목으로 동방 목으로 靑으로 보고 午를 말로 보고 靑馬라고 부르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청마라고 부르는 것은 일반 역학자들이 보는 시야로서 역리 공부가 깊지 않은 데서 오는 오류입니다….. 천간이 갑목이라고 청으로 보고 오를 말로 보고 청의 말이다 라고 보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것으로서 역리를 겉으로만 공부하고 이치를 깊이 깊이 공부하지 않은데서 오는 일반 역학자들의 淺學을 의미하는 바입니다….. 정말 안타까운 바입니다….. 천간은 지지를 꾸미는 형용사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기운으로 보아야 합니다….. 한 때 2007년 정해년을 황금돼지 해라고 한 적이 있었는데 일반 역학자들이 정해년이면 정화 불로써 붉은 돼지이지 어찌 황금돼지이냐? 이는 잘못된 것이라고 글까지 쓰고 난리를 핀 적이 있었는데 이러한 것도 공부를 깊이 하지 않은 무식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천간은 행성에서 온 것이고 지지는 별자리인 sign에서 온 것입니다….. 지지인 별자리가 행성에게 영향을 주긴 하지만 행성인 Planet이 조디악의 지지인 별자리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전체적인 기운으로 보아야 하는데 전체적인 기운은 천간과 지지가 어우러져서 하나로 나타나는 기운으로 보아야 합니다….. 그러한 기운이 바로 납음오행입니다….. 납음오행은 엄청난 비밀을 숨기고 있고 그 유래는 헬레니즘 바빌로니아를 거슬러 올라가서 기원전 2천년에서 3천년 전의 하나라 상나라를 훨씬 넘어서서….. 기원전 3만년 전까지 올라갑니다….. 납음오행은 현상과 차원 에너지를 지니고 있으며 음양인 섹트(서양 점성학의 Sect)의 현묘함과 각종 디그니티와 디빌리티의 오묘함을 두루 포함하고 있습니다….. 납음오행은 삼명통회에 나오는 정도의 지식으로 나타나고 이해되어 지는 수준이 아닙니다….. 시중에 책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분명히 고대의 통한 자들은 묘한 방법으로 이를 전하고 있습니다….. 시중에 수리로 계산해서 나오는 수준의 오행이 납음오행이 아닙니다 납음오행이 나오게 된 유래는 수리의 계산이 아니고 천문에서 나온 것입니다….. 이에 대한 이해와 납음오행의 이치에 대해서는 나중에 언제 기회가 있으면 알려 드리겠습니다….. 즉 정해년은 납음오행으로 옥상토입니다….. 정과 해가 만나서 나타내는 주파수 에너지가 토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황색을 띠어서 2007년에 붉은 돼지라고 하지 않고 황금돼지라고 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올해 2014년 갑오년 또한 갑오는 사중금입니다….. 금은 백색의 기운이고 이러한 기운을 탄 갑목의 기운이고 오화의 기운인 것입니다….. 그래서 백색의 목성(주피터 – 태양계의 목성)이며 칠정사여로는 백색의 화성(칠정사여에서는 갑목이 화성이 됩니다)이며 또한 백색의 말이며 백색의 사자자리(오화 월장의 sign)인 것입니다….. 그렇기에 올해 2014년 갑오년은 白馬(백마)의 해인 것입니다….. 이런 글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잘못된 이론으로 잘못 인식시키는 것은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돌이킬 수 없는 큰 잘못을 저지르는 것으로 혹세무민하는 것이며 아울러 개인에게도 큰 카르마를 만드는 것이니 앞으로는 이러한 글을 올리시려면 좀 더 제대로 더 깊이 공부를 하시고 글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

댓글이 닫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