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슬로우뉴스가 ‘잊혀질 소리’를 찾아 나섭니다. 며칠 전(2013년 11월 25일) 있었던 국회 대정부질의 마지막 날, 교과서 왜곡 논란과 관련해 도종환 의원이 질문하자, 정원홍 총리가 이렇게 답했다고 합니다.

“그것은 역사학자들이 판단할 문제입니다.”

기획/디자인: 써머즈
기획/디자인: 써머즈

출처를 찾아서

역사 교과서 왜곡 논란을 둘러싼 공방은 파행으로 이어졌습니다.

도종환/민주당 의원 : 90년대 교과서엔 모두 다 수탈로 돼 있어요. 그런데 이 교과서엔 쌀 수출로 돼 있어요. 우리가 언제 쌀 수출했습니까?

정홍원/국무총리 : 그것은 역사학자들이 판단할 문제입니다.

– jtbc 뉴스(안지현 기자), [대정부질문 ‘시국미사·교과서 문제’ 공방…파행 빚기도], 2013년 11월 25일

여러분의 목소리를 찾아서

우리는 역사를 무겁고, 두렵게 생각해야 합니다. 역사로부터 배우지 못하는 민족에게 내일은 없습니다. 역사는 그저 역사학자에게 맡기고 잊어도 좋은 화석화된 무엇이 아닙니다. 역사는 우리가 숨 쉬는 공기입니다. 지금의 우리를 있게 한 토양입니다.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지침입니다.

2012년 7월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의원은 박정희 시대“역사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발언했습니다. 언제까지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지금 당장 고민하지 않고, 다른 누군가에게 그 판단을 대신하게 하고, 미래의 후손에게 귀찮은 짐처럼 “맡겨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더 다른 말은 하지 않겠습니다. 긴 글 하나 소개합니다. 한 번 읽어주십시오. 그리고 판단해주십시오. 정홍원 총리의 발언과 그 안에 담긴 의미는 역사학자들이 아니라 지금 당장 여러분이 판단할 문제입니다. 지금 이 순간이 바로 역사입니다.

 

관련 글

5 댓글

  1. ㅋ 어찌보면 총리말이 아주 틀린말이 아닌게 역사학자들이 판단할 문제인데 자꾸 역사학자들이 아닌 사람들이 역사교과서를 만든다고 설치기에 이번 역사교과서 문제가 불거진거죠. 이번 문제가 된 역사교과서 저자 경력들을 살펴보면 죄다 경제학자 아니면 정체불명의 사회과학자이거나 교육학계통. 정작 역사학자는 한명도 없다는거. 총리말대로 그런 역사판단능력 부족한자들이 기존 역사교과서를 애초에 있지도 않는 좌편향으로 몰고 나온겁니다.

  2. 이런 포스팅은 슬로우뉴스 답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런 기사보다는 쌀 수탈, 쌀 수출이라는 표현이 왜 나왔으며 현재 어떻게 교차하고 있는지, 그것이 단순히 친일사관에 의한 것인지 아님 경제사적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일지(물론 그 연구의 입장을 교과서에 싣기로 결정한 주체와 그 의도에 대한 의심이 있을 수 있으나, 이것은 결국 관심법의 영역이기에), 이것이 토론 가능한 영역인지 아님 한점 의심 없이 확언이 가능한 역사적 정론인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이 필요했을 것 같거든요. 느리지만 한 번 더 생각하는 슬로우뉴스, 라는 슬로건을 생각해 보면 이렇게 단문성의 포스팅은 아쉽습니다.

    요즘 저런 걸 보면, 약간 사상검증식의 인터뷰 같다는 생각도 했어요. 종북이냐? 친일이냐? 민주화냐? 독재냐? 이런 것들 말입니다. 이런 일련의 흐름이 적절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3. 포스팅 말미에 링크한 기사는 다소 거시적인 담론이라고 해야 하나, 특정 집단의 의도와 성격에 대한 추론과 해석의 영역이 많이 삼입되어 있는 포스팅인데, 해당 글을 재탕하기보다는 사안의 영역을 최소한으로 잡고 그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게 좋지 않았을까 하는 바람입니다. 어떤 사안에 대해 다른 시각을 제공하고 천천히 곱씹어보자는 게 슬로우뉴스의 지향점이라면 더더욱 그런 기사를 보고 싶네요.

  4. 좋은 의견이십니다.
    저희 슬로우뉴스 편집팀에서도 과객 님께서 주신 말씀의 취지를 거듭 경청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앞으로 좀 더 신중하게, 한 번 더 생각하는 슬로우뉴스가 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댓글이 닫혔습니다.